•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치과 수행업무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치과코디네이터 인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the Dental Coordinator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일순;이경희;윤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3-69
    • /
    • 2010
  • 임상치과위생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치과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 및 교육 후 맡고자 하는 업무분야와 수행해야 할 업무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치과코디네이터 교육 이수자들을 위한 업무분야의 확장과 더 심화해서 다루어야 할 교육 분야에 대해 알아보고자 2007년 3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약 1년 4개월 동안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한 비교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희망 취업조건을 조사한 결과, 희망 취업처의 경우 임상치과위생사는 치과병원 42.0%, 치과의원 28.4%, 학생은 치과병원 41.9%, 대학부속병원 및 종합병원 29.0% 순으로 나타났으며(p<0.001), 희망 근무지는 임상치과위생사와 학생 모두 서울이 각각 73.9%와 76.2%로 가장 많았다. 희망 소속부서의 경우 임상치과위생사는 진료지원팀이 33.0%로 가장 많았고, 학생은 진료팀이 41.9%로 가장 많았으며(p<0.05), 가장 선호하는 치과진료과목의 경우 임상치과위생사와 학생 모두 포괄진료가 각각 36.4%와 35.5%로 가장 많았다. 2. 치과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치과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도는 임상치과위생사가 100%, 학생은 81.9%가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p<0.001), 치과코디네이터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학생이 94.8%로 85.2%의 임상치과위생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치과코디네이터에 가장 적합한 직종에 대해서는 임상치과위생사의 65.9%, 학생의 84.5%가 치과위생사라고 응답하였다(p<0.01). 3. 치과코디네이터 교육이수자의 희망 직무분야의 결과, 희망 직명은 임상치과위생사는 상담실장이 34.1%로 가장 많았고, 학생은 실장(팀장)이 35.2%로 가장 많았으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직무 분야는 임상치과위생사와 학생 모두 상담이 각각 51.1%, 65.8%로 가장 많았다(p<0.05). 4. 치과코디네이터의 수행업무에 대한 인식은 임상치과위생사가 $4.00{\pm}0.41$로 학생의 $3.81{\pm}0.50$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적으로 임상치과위생사나 학생 모두에게 희망 근무처에 따른 맞춤형 심화 교육이 필요하며 두 그룹 모두 상담과 업무 중재자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재학여부나 임상경력을 고려한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로 치과코디네이터의 계속적인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 및 교육 요구도 (Status of dental physical therapy work and hygienists' educational needs)

  • Kim, Myoung-Hee;Jeong, Hyun-Woong;Hwang, Young-Su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15-321
    • /
    • 2022
  • 연구목적: TMJ 물리 치료를 제공하는 치과병의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 구강내과학에 수반되는 치과 물리치료의 교육내용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을 살펴보고 치위생학에서의 관련 교육의 중요도 및 수요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임상에 종사하고 있는 총 14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치과 물리치료 업무 경험 및 중요성, 관련 업무에 관한 치위생학 교육 수요도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절반에 가까운 49.3%가 치과 물리 치료 업무수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근무 영역은 주로 TMJ 자극치료 인증 클리닉이었다. 응답자 140명 중 88.6%가 '물리치료 작업이 중요하거나 중요해질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84.3%가 '치위생사에게 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물리치료의 경험이 없는(50.7%) 임상 치과위생사들에서도 치과에서 물리치료 업무의 중요성의 인지 및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치과위생사가 보다 실질적인 임상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치위생 교육과정에서의 치과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 권준영;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2-309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 직무만족, 조직기여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치과 병 의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8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온라인을 통해 회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경영지원업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28~33세, 경력이 6~10년차, 전문학사(3년제)졸업자, 중간관리치과위생사가 임상 및 진료협조업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책임치과위생사,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업무만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만족에서 기혼 치과위생사와 월 소득이 250만원 이상, 주 근무시간이 주 40시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연령이 41세 이상, 경력이 11년차 이상, 기혼치과위생사, 근무 직위가 중간관리치과위생사 이상, 월 소득 200만원 이상인 치과위생사가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과위생사 조직기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 유의한 관련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 소득, 경영지원업무, 업무만족이다. 이는 병원 경영에 참여할수록 조직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업무만족이 높을수록 병원에서의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해 병원 전체 목표 달성과 병원에서 업무가 순조롭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조직기여도와 관련 있는 요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기여도 향상을 위한 연구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과정에서 프리셉터(가칭: 임상실무지도자)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receptor System in Clinical Practice Proc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구민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2
    • /
    • 200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임상실습과정 동안의 수행경험정도를 파악하고 학습과정과 실습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리셉터(Preceptor)제도의 도입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8개 종합병원에서 실습하는 치위생과 학생 150명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58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1. 관찰 경험과 수행경험에서 기본진료 영역이 가장 높았고, 예방치과 업무에서 가장 낮은 관찰경험도가 나타났고 수행경험에서는 환자관리 업무, 예방치과, 치주과 업무 영역에서 낮은 수행 경험을 나타냈다. 2. 병원별로는 기본진료 업무영역에서 가장 높은 관찰 실습경험과 수행실습경험을 나타내었고, 위와 마찬가지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영역에서는 낮은 실습 경험도를 나타냈다. 3. 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활동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3년차 이상의 치과위생사의 인식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과위생사의 안전한 법적 업무범위 확보를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legal scope of clinical practice)

  • 정주희;문소정;배성숙;김선경;노희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7-219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ntal hygienist's main duties in clinical dental practice and examine whether dental hygienists can safely perform each duty by referring t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s and national examinations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A questionnaire on the main duties of dental hygienists was administered to 477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general dental hospitals, and university dental hospita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e divide the dental hygienists'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and clinical dental assist and analyze the legal scope of practice, university educational contents, and national examination cont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multi-frequency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2013. Results: All 48 items (except 2 items of 29 dental hygiene practice and 21 assist practice items) surveyed were covered i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Hygienists and included in the Dental Hygiene Education Learning Objective. The multi-frequency clinical dental practice of eight items of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and two assist practice items were within the legal scope of the dental hygienist's role. Conclusions: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to redefine the legal scope of the role of the dental hygienist.

치과 임상에서의 치위생사정 수행 실태 (Practice Status of Dental Hygiene Assessment in Dental Clinic)

  • 박보영;윤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39-144
    • /
    • 2021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치위생사정의 수행 실태를 조사하고, 치과의료기관 유형에 따른 수행 비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수도권 임상치과위생사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행실태를 조사한 치위생사정 항목은 치과병력 채득, 의과병력 채득, 생징후 측정, 구외 검사, 구내 검사, 치주조직 검사로 총 6가지였다. 연구 결과 수행 비율이 가장 높은 항목은 치과병력 채득 92.8%였고, 가장 낮은 항목은 구외 검사 57.9% 였다. 치과 유형에 따른 치위생사정 수행률을 비교하면, 모든 항목에서 치과의원이 치과병원과 대학병원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구내검사와 구외검사 수행률이 치과의원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반적으로 높은 치위생사정 수행률을 볼 때, 임상 실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에 대한 논의와 일부 치위생사정 항목에 대한 보험수가 반영이 필요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인식 (The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he National Practical Examination)

  • 고다경;배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88-494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가 임상에서 실질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국가 실기시험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치위생(학)과 교수 101명(50.8%)과 임상치과위생사 98명(49.2%)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현행 국가 실기시험의 공정성에 대한 의견은 치위생(학)과 교수 41.6%(42명), 임상치과위생사 56.1% (55명)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현행 국가 실기시험이 직무중심의 종합적인 임상실기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치위생(학)과 교수 36.6% (37명)가 '보통이다'라고 응답하였고, 임상 치과위생사 56.1% (55명)는 '평가할 수 없다'라고 응답하였다(p<0.05). 또한 환자 중재의 상담기법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치위생(학)과 교수 72.3% (73명), 임상 치과위생사 72.4% (71명)가 '평가할 수 없다'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5). 국가 실기시험의 문항으로 반드시 필요한 업무인지를 조사한 결과, 치위생(학)과 교수는 '치면연마'와 '칫솔질 교육'이 99.0% (100명)로 각각 가장 높았고 인상채득, 치주기구조작, 치면열구전색 98.0%(99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에서는 '초음파 치석제거'가 86.7% (85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상채득 및 칫솔질 교육이 78.6% (77명) 순이었다(p<0.05). 치위생(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조사한 실습교육 여부는 '치면연마' 및 '칫솔질 교육'이 '교육한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99.0%(100명)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인상채득'과 '치주기구조작', '치면열구전색'이 98.0% (99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가 임상에서 실제 수행하는 다빈도 업무는 '인상채득', '모형제작', '초음파 치석제거', '진료 주의사항 설명'이 99.0% (97명)로 가장 많았고 '진료기록부 작성'과 '임시부착물 장착 및 제거', '기구세척'이 98.0% (96명) 순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현행 국가 실기시험에 대한 치위생(학)과 교수 및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인식과 평가 그리고 국가시험 문항으로의 중요도, 다빈도 수행업무 등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치과위생사의 직무현황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asks and Education Needs for Dental Hygienist for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 김응권;임순환;권미영;최영윤;한지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2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료 종사자 144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업무의 수행빈도와 중요도 및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봄으로써 치위생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참고자료가 되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응답자가 생각하는 직무별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 정도를 알아본 결과 수행빈도는 경영관리지원이 4.14, 예방치과처치는 3.51, 치과진료협조는 3.41, 구강보건교육은 3.28 순을 보였다. 업무의 중요 정도 및 교육의 필요성은 경영관리지원, 치과진료협조, 예방치과처치, 구강보건교육 순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수행빈도를 살펴본 결과 변수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업무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구강보건교육은 연령에 따라 40대(p<0.05)가, 치과진료협조는 직종에 따라 치과위생사(p<0.05)가, 경영관리지원은 여자(p< 0.05)와 치과위생사(p<0.05)가, 또한 경력이 많을수록 중요하다고 하였다(p<0.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별 교육의 필요성을 예방치과처치는 성별에 따라 여자(p=0.014)가, 치과진료협조는 여자(p<0.001)와, 치과위생사(p<0.001)가, 경영관리지원은 지역에 따라 서울(p<0.05)이 가장 높았다. 수행빈도와 업무의 중요도, 교육의 필요성의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업무의 중요도와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현재 임상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업무영역 중 경영관리지원과 치과진료협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직무역량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치위생 교육과정 개발 시 경영관리 및 진료협조에 대한 업무의 과목을 적절히 안배하고 임상에서 요구하는 치과위생사가 될 수 있도록 직무능력을 표준화시켜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 역할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Role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이순영;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1-251
    • /
    • 2018
  • 임상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가 경험하는 역할갈등의 유발요인과 대처에 대한 본질을 탐색하고자 9명의 임상치과 위생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업무 범위, 역할갈등,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와 한계로 이루어진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업무 범위로 치과위생사가 인식하고 있는 업무 범위, 법적 업무 범위 및 실제 수행하는 업무 범위가 다소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 범주는 역할갈등으로 대인관계, 업무, 업무환경, 역량, 전문직으로서의 정체감으로 인한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세 번째 범주는 역할갈등에 대한 대처와 한계이며 치과위생사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역할갈등 상황을 해결하려 노력하였으며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결되지 않는 현실에 직면할 경우 한계를 느끼고 이직을 선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과위생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수준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 및 역할갈등 상황별 대처 방안의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and patient safety cultural activities)

  • 박보영;강채린;변유경;성은서;이수영;이지은;함유진;윤미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7
    • /
    • 2023
  • 목적: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와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치과위생사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18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는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안전문화 활동 문항은 총 25개로 안전문화활동 10개, 안전시설관리 1개, 진료전달체계 5개, 질관리 2개, 감염관리 4개, 방사선 안전관리 3개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5점 척도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의 직무만족도 평균점수는 3.44점이었으며 점수가 가장 낮은 문항은 '내 능력에 비해 업무량은 많은 편이다(2.78점)'와 '나는 업무수행 시 업무 외의 일이 없는 것에 만족한다(2.78점)'이었다. 환자안전문화 활동 6개 영역 중 감염관리의 평균점수가 4.12점으로 가장 높고 방사선 안전관리의 평균점수는 3.10점으로 가장 낮았다. 임상경력이 3년 미만인 경우(4.01점)에 3년 이상 10년 미만 그룹(3.72점)과 10년 이상인 그룹(3.69점)에 비해 환자안전문화활동 점수가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상경력이 적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치과위생사의 경우는 업무 전반에서 환자안전문화 활동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환자안전문화 활동 영역에 대한 적극적인 실천 의지와 필요하지만 환자진료에서 병원관리까지 다양한 업무를 맡고 있는 치과위생사는 업무과중으로 인해 직무만족도가 떨어지고 업무수행의지를 저하시켜 환자안전문화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자안전문화 활동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 활동의 핵심 직종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