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전문간호사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via Smartphone's Simulation Appli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전문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재학습이 간호사의 지식 및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Pyo, Mi Youn;Kim, Jung Yeon;Sohn, Joo Ohn;Lee, Eun Sook;Kim, Hyang Sook;Kim, Kye Ok;Park, Hye Jung;Kim, Min Ju;An, Gi Hyun;Yang, Jung Ran;Yu, Jun Hee;Kim, Yung A;Kim, Hyo Jin;Choi, Mo Na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 /
    • v.18 no.2
    • /
    • pp.228-23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simulation application via smartphone effects nurses' ACL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nurse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CU), surgical ICU and emergency room.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fifty nurses who were self-learned with ACLS simulation application via smartphone and the control group of seventy-one nurses who used traditional learning materials. Outcome variables included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ch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scores of ACLS knowledge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001) while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p=.444). In learning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nterest than the control group (p=.019) while the control group rated higher on the item,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reliable' (p=.007). Conclusion: ACLS knowledge score was graded higher in control group that used traditional learning method tha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raining with the new material significantly increased nurses' interest in ACLS education. Hence, mo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self-learning environment for nurses and improve care quality.

The Change of Health Service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in a Rural Area (한 농촌지역 2개면 보건지소 통합전후 보건의료사업 변화 연구)

  • Sul, Sue-Jeong;Park, Hyang;Sohn, Seok-Joon;Park, Jong;Kim, Ki-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2
    • /
    • pp.427-440
    • /
    • 2000
  •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about health resources, medical care service statistics and public health service statistics by health subcenters at Jangdong and Jangpyung townships, Jangheung County, Chollanamdo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 to improve their function. 1. While two general physicians, one dentist, 4 nurse aids arid one oral hygienist were working at two health subcenters with simple facility with examination room and public health office in 1997 prior to the unification, in 1999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14 staff including a specialist physician, a general physician, a dentist, a herb hygienist, a radiology technician and a physical therapist were working in the new health subcenters equipped with appropriate facilities in two storey building. 2. In 1997 before the unification the yearly total income of two health subcenters was 78,815 thousand won(about 14,000 won per capita) and the amount was 140,376 thousand won(about 25,000 won per capita) in 1999 after the unification. And the income was used for operation of health subcenters excluding personnel expense. 3. While 90.5% of visitors to the health subcenters came for general medical care, and 91.6% came for the revisit before the unification, after the unification 71.2% came for general medical care, 10.8% for dental care, 16.5% for oriental physician's care, 29.7% for the first visit and 70.3% for revisit. Most common problem cared for was musculoskeletal disorder like arthralgia. Average treatment cost per person per month was 9,363 won before the unification and 8,309 won after the unification. 4. Through the comparison of execution rate of public health services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the practice rate of most health service among target population including visiting service for chronic illness,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 and immunization service increased after the unification. The practice rate of tuberculosis control service, hypertension control and diabetes management was a little decreased. In conclusion, continuous effort to satisfy all persons in two townships and evaluation are necessary to coincide with the spirit of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 PDF

Database for Hospice Nursing in Electronic Medical Record (호스피스 전자기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개발)

  • Kim, Young-Soon;Lee, Chang-Geol;Lee, Kyoung-Ok;Kim, Ok-Kyum;Kim, In-Hye;Kim, Mi-Jeong;Hwang, Ae-Ran;Lee, Won-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7 no.2
    • /
    • pp.200-21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to build a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to be used in the u-hospital EMR system.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1. To generate a complete, accurate, and simple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2. To verify its appropriateness following documentation with the standardized hospice protocol. 3. To verify its validity and finalize the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through discussion among hospice professionals. Methods: Nursing records from three independent hospice organiz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five expert hospice nurs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a nursing record database was developed. This database was applied to 81 hospice patients at three hospice organizations to verify its completeness. Results: 1.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form with completeness, accuracy, and simplicity was developed. 2. The completeness of the standardized home hospice service protocol was 95.86 percent. 3. The hospice nursing process database contains 18 items on health problems, 79 items on related causes and major symptoms, and 229 items on nursing interventions. Conclusion: The new nursing record form and database will reduce documentation time and articulate and streamline the working process among team members. They can als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ce services, and ultimately enable us to estimate hospice service costs.

  • PDF

Reseach on Transcultural Nursing (횡문화 간호에 관한 연구)

  • Shin, Kyng-Rim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2 no.4
    • /
    • pp.454-463
    • /
    • 1992
  • 세계가 일일 생활권화 됨과 더불어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므로써 횡문화 간호 연구는 전문직 간호(Professional Nursing)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많은 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다(Brink, 1976 : Leininger, 1977 : Roberston & Boyle, 1987). 횡문화 간호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잘 이해하고 그들의 건강을 돌봄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호이론 개발, 간호모형(Model)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본 연구는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전문적 간호연구지에 실린 10편의 횡문화 간호연구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췌하여 간호지식체의 본질적인 과정인 비판적 문헌고찰을 통해 각 논문들을 비교 분석 한 것으로써, 미래의 간호연구를 위한 간호실무, 간호교육, 간호연구 방법 및 간호 행정면에서 그 적용성을 높여줄 것이다. 비판적 문헌고찰을 위한 기준은 Burns와 Grove(1987)의 방법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선정하였다. 1. 분석대상 : 목적, 가설 진술, 문헌고찰, 표본조사, 방법론적 논점, 결과 해석 2. 이론적 틀의 유도 흑은 통합 3. 발전적인 간호수행을 위한 중요성, 적용성 및 제언 이상의 내용으로 비교 분석을 해본 결과 1984년에서 1987년 사이에 발표된 횡문화 간호에 관한 논문들의 주제는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돌봄, 자가간호, 건강신념, 수유, 임신 그리고 간호사와 소수민족 노인과의 의사소통 양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이론적 틀은 주로 사회학, 정신심리학, 인류학 이론으로부터 도출되었고, 오직 두 편만이 간호 이른에 틀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1. 10개의 논문의 가설과 목적의 분석에 있어서 4편의 논문은 목적과 가설이 구체적으로 진술되어 있었고, 나머지 6편은 목적이 전반적으로 진술되어 있었으며 가설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제한점은 각 논문의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단지 수편의 논문만을 제시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분석 해 볼 수 있겠다. 2. 문헌고찰 부분에서는 각각의 연구주제를 지지해줄 수 있는 문헌들이 충분히 고찰되지 못하였고, 이론적배경 또한 횡문화 이론과의 관련성이 적었다. 또한 횡 문화 연구에 기초가 되는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역사적 배경은 잘 나타났으나,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 간에 괴리가 있었다. 3. 표본추출방법은 문화에 기반을 둔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점에서 한계성 이 있었다. 4. 방법론적 이유로는 대상자와의 면담시간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았으며, 고유한 언어를 통역하는 과정에서 의미론적 문제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면접과 기록과정에서 보면 자료의 기록과정과 분류 및 분석과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참여관찰과 면접방법을 사용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되어 있지 않았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및 이에 대한 논의는 상당히 제한되어 있었는데, 수편의 연구만이 방법론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분야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특이한 것은 어 떤 연구자도 이른 개발을 위한 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

  • PDF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고학년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ho, In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3
    • /
    • pp.118-128
    • /
    • 2020
  •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bjective happin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35 nursing students in grades 3 and 4 in K city from May 1, 2019 to May 28, 2019.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tained items on subjective happiness, professional intuition, human relationship, major satisfaction, family health, and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subjects averaged 4.75±1.16 on the 7-point scale,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 (F=6.826,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subjects' subjective happiness were health status (β=.177 p=.005), academic satisfaction (β=.138, p=.027), and family health (β=.268,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6.7% (F=15.160,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of Parents in School Age: Analysis of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학령기 부모의 우울에 대한 가족 상호작용과 자아존중감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커플관계분석을 활용하여)

  • Han, Jeong 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8
    • /
    • pp.231-23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the depression of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by identifying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among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Data on 1,475 pairs from the Wave 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AMOS 18.0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a hypothetical model, parents' family interaction exerted an actor effect on self-esteem. Mother's family interaction and self-esteem exerted an actor effect on depression; however, the partner effect on father's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ther's family interaction and self-esteem exerted an actor effect on depression; however, the partner effect of father's family interaction on mother's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only father's self-esteem exerted a partner effect on mother's depre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ng factors of depression in school-aged parent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the child, were identified and the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arents'. It is expected that clinical nurses will be used as data to convey professional knowledge to control parents' depression.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