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Health Service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in a Rural Area

한 농촌지역 2개면 보건지소 통합전후 보건의료사업 변화 연구

  • Sul, Sue-Jeong (Jangheung County Health Center) ;
  • Park, Hyang (Kwangju City Seo-Gu Health Center)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J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su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Ki-S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su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설수정 (장흥군보건소) ;
  • 박향 (광주시 서구보건소) ;
  • 손석준 (전남의대 예방의학교실) ;
  • 박종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예실) ;
  • 김기순 (조선의대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about health resources, medical care service statistics and public health service statistics by health subcenters at Jangdong and Jangpyung townships, Jangheung County, Chollanamdo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 to improve their function. 1. While two general physicians, one dentist, 4 nurse aids arid one oral hygienist were working at two health subcenters with simple facility with examination room and public health office in 1997 prior to the unification, in 1999 after the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14 staff including a specialist physician, a general physician, a dentist, a herb hygienist, a radiology technician and a physical therapist were working in the new health subcenters equipped with appropriate facilities in two storey building. 2. In 1997 before the unification the yearly total income of two health subcenters was 78,815 thousand won(about 14,000 won per capita) and the amount was 140,376 thousand won(about 25,000 won per capita) in 1999 after the unification. And the income was used for operation of health subcenters excluding personnel expense. 3. While 90.5% of visitors to the health subcenters came for general medical care, and 91.6% came for the revisit before the unification, after the unification 71.2% came for general medical care, 10.8% for dental care, 16.5% for oriental physician's care, 29.7% for the first visit and 70.3% for revisit. Most common problem cared for was musculoskeletal disorder like arthralgia. Average treatment cost per person per month was 9,363 won before the unification and 8,309 won after the unification. 4. Through the comparison of execution rate of public health services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the practice rate of most health service among target population including visiting service for chronic illness, maternal and child health service and immunization service increased after the unification. The practice rate of tuberculosis control service, hypertension control and diabetes management was a little decreased. In conclusion, continuous effort to satisfy all persons in two townships and evaluation are necessary to coincide with the spirit of unification of two health subcenters.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과 장편면 2개면 보건지소를 통합하여 보다 수준 높은 통합보건지소를 설치하기 전인 1997년과 통합후인 1999년의 보건의료자원의 변화, 환자진료통계, 보건사업통계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합전 보건지소의 시설은 진료실과 보건사업 사무실 등 극히 제한된 시설에 2개 보건지소를 합하여 일반의사 2인, 치과의사 1인, 간호조무사 4인, 치과위생사 1인 이상 8명의 직원이 근무하였으나 통합보건지소는 일반 진료실, 치과진료실 외에도 한방진료실, 소독실, X-선실, 임상병리실, 약국, 물리치료실, 보건사업 사무실이 갖추어진 지하 1층, 지상2층 총 건축면적이 $335m^2$이나 되는 시설을 갖추었고 전문의 l인, 일반의 1인, 치과의 1인, 한의 1인, 간호사 2인, 간호조무사 4인, 임상병리사 1인, 치과위생사 1인, 방사선사 1인, 물리치료사 1인 등 이상 다양한 전문직종이 포함된 14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었다. 2. 통합적인 1997년 1년동안 2개 보건지소의 수입을 합하여 78.815천원이어서 주민1인당 평균 14,000원이었던데 비하여 통합후인 1999년 1년동안 통합보건지소의 수입은 140,376천원으로 주민1인당 평균 25,000원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수입액은 인건비를 제외한 보건지소 운영비로 사용되었으며 의약품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3. 통합전후 진료사업 통계를 비교한 결과 통합전에는 진료과목으로 일반진료 90.5%, 치과 9.5%이었고 초진 8.4%, 재진 91.6% 이었으나, 통합후에는 진료과목으로 일반진료 71.2%, 치과 10.8%, 한방 16.5%, 임상검사 1.5%의 분포를 보이고 초진 29.7%, 재진 70.3% 이었다. 통합전후 모두 치료받은 질환 종류는 근골격계 질환인 관절염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한방진료도 요각통으로 가장많은 치료를 받았다. 통합전에는 치과진료로 매복치 및 매몰치가 가장 흔한 문제였으나 통합후는 치수염이 가장 빈도가 많은 문제이었다. 치료가 1인당 월평균 치료비는 통합전에는 9,363원이었으나 통합후에는 8,309원이었다. 6. 통합전후 대상인구당 보건사업 실시율을 분석한 결과 독거노인관리, 고혈압관리, 당뇨 환자관리, 임부등록에서는 통합후에 통합전보다 다소 감소하였지만 그 외 대부분의 만성질환자에 대한 방문보건사업, 모자보건사업, 예방접종 사업량은 정체되거나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을 보면 통합전 2개 보건지소에 비하여 통합보건지소는 시설, 규모, 조직, 예산이 방대해져서 진료환자수는 증가하였으나 1인당 진료 단가는 다소 감소하였다. 예방 보건사업은 일부 사업량은 증가하였으나 일부 사업은 감소하였다. 통합보건지소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개면 전체주민을 위한 보건의료사업 활성화를 위한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계속적인 평가도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