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교육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3초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과정 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Nursing process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BAR technique knowledg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Alternative clinical practicum)

  • 이외선;임정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05-61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간의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임상실습에 참여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20명,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 참여한 학생 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test,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과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 교육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간호과정수행능력, 비판적사고성향, SBAR 기술지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상실습에서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SBAR 기술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 임상실습대체 교내실습에서는 간호학 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비판적사고성향과 SBAR 기술지식이 높았고, 학점이 높을 때 비판적사고성향이 높았다. 향후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여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비판적사고성향 및 SBAR 기술지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임상실습대체 실습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Nursing Students' Coping with Stress)

  • 이소영;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07-520
    • /
    • 2023
  • 이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지식과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자가성장하는 간호사를 육성할 실습교육 및 심리적 지원 전략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및 충북지역에 거주하는 간호대학생으로 2022년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총 259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활용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신종감염병지식,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진입(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습교육환경, 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적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17 p<.005, r=.15 p=.017), 대인관계 갈등, 환자와 갈등, 업무부담, 바람직하지 않은 역할모델로 인한 스트레스는 소극적 스트레스대처방식과 양의 상관관계(r=.18 p=.040, r=.28 p<.000, r=.17 p=.006, r=.19 p=.003)를 보였다. 임상실습만족도에서 만족한다(B=.25, p=.003), 실습교육환경 스트레스(B=.17 p=.004), 성별(B=-.19, p=.023)순으로 적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15%를 설명하였고, 실습업무부담으로 인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소극적인 스트레스대처방식 총 변화량의 7%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상담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의 대상자 교육후 교육경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정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ient Education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모성간호학 실습시 대상자에게 제공한 교육경험의 만족도, 실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들은 대상자 교육시 문제점으로는 대상자와의 접근, 교육시간 확보의 어려움 및 자신감 부족 등 이었다. 교육실시후 교육경험만족도는 3.84점, 임상실습만족도 4.00점, 자아효능감 2.68점으로 나왔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 교육경험의 만족도는 교육방법과 실습시기, 이론교육의 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만족도는 실습자의 태도, 실습만족도, 실습장소에 따라, 자아효능감은 성적, 이론교육의 만족도, 교육장소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모성간호학 실습의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병원관계자와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하고, 간호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방법과 실습지도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 경험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 개념 인식 비교 (Comparison of the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about 'Happy Doctor' by Clerkship Experience)

  • 유효현;신세인;이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62-26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전문대학원생들의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 인식 구조와 임상실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의 인식 구조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의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1~4학년 학생이었고,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교육과정 전과 후에는 학생들이 공유하는 행복한 의사에 대한 개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임상실습 경험 전과 후에는 환자, 치료, 보람과 같은 단어들을 포함하는 '전문성'에 대한 하위그룹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상실습 경험 전에는 '개인적인 삶의 질' 그룹과 '자아실현' 그룹이 나타났다. 반면 임상실습 경험 후에는 '전문성' 그룹과 함께 '가족과의 시간' 그룹,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 그룹, '대인관계' 그룹, '신체적 정신적 건강' 그룹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기본의학교육에서 행복한 의사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e-briefing Team-bas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71-279
    • /
    • 2020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부담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면서 불안과 소극적인 실습참여는 실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72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팀 기반 학습을 사전브리핑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중요한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확대 적용 및 사전브리핑 단계를 표준화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노인간호학 실습 후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 및 간호이미지와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fter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Im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문옥;차주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47-256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 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및 간호이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1일부터 9월2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3.13, 임상실습만족도는 3.14, 간호이미지는 3.32이었으며, 상관분석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이미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이미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임상실습만족도(${\beta}=.602$)로 설명력은 40%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이미지, 노인간호학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교육 및 실습전략이 필요하다.

인체해부학 수업에서 골학실습의 활용 사례 연구: 임상병리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Osteology Practice at Human Anatomy Course: Focused on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 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44-152
    • /
    • 2016
  • 본 연구는 의과대학을 포함하지 않은 보건의료대학에서 실물(시신)실습이 용이하지 않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인체해부학 수업에서 골학실습을 시행했을 때 맨눈해부학의 교육개선 효과가 있는지 살펴볼 목적으로 실시한 국내 최초의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임상병리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인체해부학 수업에 골학실습을 실시하였고 실습 전 후에 자기보고식 설문과 실습 종료 후 지문평가 하였다. 설문지와 지문평가지의 각 문항은 고등교육 교과과정과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골학실습이 해부학수업의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해부학 수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실습 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뼈의 이름을 잘 알고 있었으나 이과보다는 문과출신 학생이 뼈의 해부학적 방향을 묻는 질문에 매우 취약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생은 골학실습 후에도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물실습을 하고자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으로 골학실습은 의과대학을 포함하지 않은 보건의료대학 임상병리학과 학생에게 해부학수업에 대한 기대 부응 및 학습효과의 증대를 가져왔다. 본 연구를 통해 맨눈해부학 교육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이 병행한다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제언한다.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간의 간호과정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교육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Nursing Process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ducation Satisfaction between Clinical Practicum and School Practicum)

  • 우진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45-451
    • /
    • 2022
  • 본 연구는 장기화되고 있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교육 간 간호과정 자신감, 비판적 사고 성향, 교육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연구로 성인간호학실습을 수강한 간호대학생 3학년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5명을 대상으로 교내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실험군(N=29), 임상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대조군(N=26명)으로 분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간호과정 자신감과 비판적 사고 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군에서 교육 전반에 대한 만족도(t=-9.82, p=.040) 및 타 학생에게 추천(t=-1.88, p<.001)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본 연구의 결과로 임상실습과 교내실습 효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추어 실습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교수법, 실습으로 구성된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행능력, 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tress, Performance Ability,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on Nursing Professional Self Concept)

  • 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13-22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 수행능력,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에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에 임상 수행능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의 직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근거중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교수법 적용과 교육환경 등 다각적인 변화와 임상 수행능력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줄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과정의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Clinical Practicum with Simulation Used Additionally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 오한교;송라윤;안숙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57-369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과정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D시 소재 일 간호대학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임상실습과 병행하여 받은 일 개 학년 학생들을 대상(n=77)으로 2년 동안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종단연구이다. 본 연구대상 대학의 실습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수집된 자료 중 일부(2015~2016년도)를 사용한 2차 자료분석으로, 3학년과 4학년의 학년 초와 학년 말에 측정된 변수들을 반복측정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에서의 임상수행능력이 학년 초에 비해 학년 말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t=-13.75, p<.001), 임상수행자신감과 비판적 사고는 2년에 거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F=177.86, p<.001; F=247.79, p<.001). 한편, 문제해결능력은 시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