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교육

검색결과 608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경험, 임상실습만족도,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 양현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19-226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경험, 임상실습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참여자는 3학년 간호대학생으로 교육과정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있는 일개 대학의 학생 95명과 교육과정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없는 일개 대학의 학생 102명으로 총 197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에서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경험,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상황의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와의 융합적 관계 (Relation among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Cours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신승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9-2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지역의 간호학과 1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2017년 9월 자료수집을 하였고, 기술통계와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교육환경의 평균은 $3.32{\pm}0.41$점, 실습교과목 만족도의 평균은 $3.88{\pm}0.55$점, 전공만족도 평균은 $3.99{\pm}2.30$점이었다.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실습교과목 만족도는(r=.586,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실습교과목 만족도와 전공만족도(r=.560, p=.000), 임상실습 교육환경과 전공만족도는(r=.530,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변수간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후 세부영역에 따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개선하여 실습교과목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the Clinical Judgment, Self-confid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

  • 이숙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77-5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S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2학년 시뮬레이션 실습교과목을 수강한 45명의 학생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판단력과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추후 임상판단력, 자신감,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모듈 개발 및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융합적인 연구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5-8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3.17점/5점, 3.24점/5점).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실습동료와의 관계, 간호직에 대한 의미에 따라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임상실습 만족도는 종교 유무, 전공 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048, p=.615). 향후 일부 간호학생으로 한정되었던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임상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실습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대학 교수와 실습현장의 간호교육자들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Satifaction and Improvement of Clinical Experiment of Student Radiotechnologists)

  • 유광열;김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4호
    • /
    • pp.303-310
    • /
    • 2006
  • 임상실습의 목표는 학생들이 유능한 방사선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technic)과 태도(attitude) 그리고 지식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이 갖추어야 할 교육시스템과 이를 운영할 임상교육 지도자가 확보되어야 한다. 임상기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평가하기 위해서 반드시 높은 수준의 교육 시스템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임상지도자들이 학생들을 전문가로 육성하고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목표와 실습 수행 원칙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임상실습을 담당하는 지도자는 적어도 유능한 임상실습 지도자의 자질과 구조적이며 능동적인 실습교육의 피드백 특성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평가와 피드백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실습 학생의 능력을 평가한 후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임상실습지도자의 특성을 제시하고 실제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방사선과 임상실습 현황의 한 예를 실습생 설문을 통하여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by Incivility Experienced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f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Stress)

  • 곽은미;윤희장;박민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60-16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간호대학생 204명이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자가보고하는 형식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의 평균은 1.58점, 임상실습교육환경의 평균은 2.79점, 임상실습스트레스의 평균은 3.3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스트레스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과 정적 상관관계, 임상실습교육환경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임상실습 중 경험한 무례함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2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임상현장에서 경험하는 무례함을 감소시키고 임상실습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핵심실기역량강화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re Practical Capacity Enhancement Training on the Key Compet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신화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79-287
    • /
    • 202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실습위주의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과목 학습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2주간 1일 8시간씩 네 영역의 핵심간호수기영역 교육을 실시한 그룹과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육을 받은 그룹으로 나누고 15주간 임상실습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가 보고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 부문의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부문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실습교육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Integrat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and Outside School Clinical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 임세미;염영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00-10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에게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의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효과적인 실습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8일부터 7월 3일까지 G시 소재 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며,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받은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을 적용한 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비판적 사고 성향정도가 교육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교외 임상실습을 통합한 교육은 임상수행능력 향상과 더불어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교외 임상실습 전 임상상황에 맞는 다양한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 Science)

  • 고성진;강세식;김창수;최석윤;김정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4호
    • /
    • pp.287-296
    • /
    • 2011
  •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 실습교육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학제에 따라 3년제와 4년제 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3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 분포와 임상 실습 특성은 빈도분석, 둘째, 변인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차이는 일원분산분석, 셋째, 변인 간 관계는 단순 적률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임상실습교육과 관련하여 실습과목의 도움, 지도자의 전문성, 실습내용, 실습환경, 실습시간, 실습 후 평가, 그리고 실습 전반에 대한 만족도 분석 결과, 실습 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임상실습 내용, 시간 순이었다. 그리고 임상실습교육 만족도 관련 요인들은 높은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년제 치기공과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 일부 치과기공소 소장을 중심으로 - (Study on Acknowledge and State of Clinical Experience for 3-years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 박명자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57
    • /
    • 1995
  •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는 중견기술인을 교육하고 직업교육을 통하여 현장에 취업케 하는 것인바, 치기공과는 치과보철학의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치과에서 의뢰한 치과기공물을 제작할 수 있는 치과기공사를 교육하는 학습내용이 요구된다. 임상실습은 3년제 교과과정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대부분의 전문대학이 임상실습 학점을 강제규정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임상실습은 단순한 실기능력 향상 만을 기대하기보다는 실기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실무적응능력과 취업률의 향상, 그리고 치과기공소의 유능한 기공사의 확보에 있어 임상실습의 3년제 교과 과정중 가장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상실습은 본인과 학교의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기관의 임상실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전폭적인 지원이 요구되어야 하며 임상실습은 취업과 연계되어 치과기공사의 질적인 향상은 궁극적으로는 치과기공소의 경영에 유익을 주는 것이다. 3년제 교과과정의 임상실습을 산학협동체제로 교육함에 있어 졸업 후 취업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하는데, 임상실습기관에 대한 사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임상실습기관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임상실습교육의 효율적인 운영과 실습효과의 제고와 이에 따른 취업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대학의 서울지역 임상실습기관과 협조 의뢰하게 될 27개 치과기공소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와 아울러 전국 14개 전문대학 치기공과 교과과정표에 나타난 임상실습교과목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실습기관 대표자의 연령은 35-39세가 40.7%로 가장 많았고, 남자가 96.3%로 대부분이며 학력은 전문대 졸업 이상이 97.5%와 경력 10년 이상이 92.6%이며 85.2%가 도재기공물 분야에 주력하고 있었다. 교육을 위한 세미나실이 준비되어 있는 기공소는 29.6%였는데, 건평이 40평 이상인 기공소에서는 11.1%로 가장 높았고, 30-34평과 35-39평이 각각 7.4%였다. 치과기공소의 경영측면에서 치과기공소에 제작하는 기공물의 종류를 보면, 전 분야의 기공물을 제작하는 곳은 29.6%였으며, 교정장치물 또는 토재기공물의 단일 품목만을 전문으로 하는 곳은 각 각 7.4%와 3.7%였다. 거래치과수는 30-39개소가 40.7%가 가장 많았고, 1일 의뢰 건수는 10-19건수가 40.7%가 가장 많았고, 의뢰받은 기공물의 제작기일은 77.8%가 3-4일이었다. 임상실습에 대한 협조 의뢰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한 후 수락하겠다가 51.9%, 순서대로 수락하겠다가 36.0%였고 교육가능 인원은 1개 대학 3명까지가 40.7%, 2개 대학 3명까지가 37.0%였다. 기공소 대표자 3년제 교육과정 연장에 따라 졸업생에 대한 견해는 3년제 교육과정 교육연한의 연장으로 인한 3년제 졸업생들의 초임을 포함한 임금에 대한 견해는 지급 수준보다 높아야 한다가 44.4%, 그렇지 않다가 55.5%로 더 높았고, 3년제 졸업생들은 2년제보다 치과기공사로서 직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은 74.1%나 되었고, 교육과정 연장에 따라 이론 및 실기 모두가 향상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51.9%, 실기면에서 우세할 것이 29.6%, 이론이 향상할 것이다는 14.8%의 순서로 96.3%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임상실습시 기대는 단지 실습기회만 제공한다가 59.3%였고, 임상실습시 별 문제가 없었다가 33.3%였으나 시간낭비와 번거롭다가 25.9%, 29.0%였으며, 임상실습시 강조점은 투철한 직업관 확립이 44.4%로 가장 높았다. 본 대학 임상실습기관으로 협조 의뢰 할 치과기공소는 임상실습을 위하여 선별된 것으로 비교적 규모면에서 면적이 널고 경영상태가 양호하나, 대부분의 기공소는 경영규모가 영세하고 작업 환경이 열악하므로 실습생을 교육할 수 있는 일정 규모 이상의 임상실습기관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임상실습기관인 치과기공소는 단지 실습지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입장에서 실습지도를 할 인력이나 시간도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학교 간의 일정한 시간 차를 두어 실습시기를 탄력적으로 운영하며, 치과기공소의 경영유형에 따라 일부 기공물을 제작하지 않는 곳도 있고 또 단일 품목의 전문 치과기공소도 있어서 이들은 상호 연결하여 실습생들이 실습기관을 순환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학협동차원에서 임상실습이 취업이 연계될 수 있도록 인턴사원제로 적극 활용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