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사물인터넷에서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Powerlessness and Career Identity in the IoT)

  • 김해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5-124
    • /
    • 2024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에서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이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청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관련 무력감은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임상실습관련 무력감과 진로정체감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습에 참여하기 전 치위생과 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기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융합 시대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임상실습관련 무력감, 현장실습적응, 간호전문직관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Powerlessness, Field Practice Adapta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Caring Efficacy in Convergence Era)

  • 제남주;김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69-47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대학 간호학과 173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돌봄효능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42, p<.001), 현장실습적응(r=.53, p<.001), 간호전문직관(r=.42, p<.001)과 상관관계, 임상실습관련 무력감(r=-46, p<.001)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돌봄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장실습적응(β=.330, p<.001), 그 다음으로, 간호전문직관(β=.188, p=.005), 임상실습 교육환경(β=.176, p=.015), 내성적(β=-.146, p=.018), 외향적(β=.134, p=.035) 순이었다. 설명력은 41.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돌봄효능감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 관련 무력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 오윤경;김은영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36-4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Methods: Participants were 149 nursing students from a university who had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 in B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was 2.99 out of 5 points, the powerlessness related to the clinical practice, 2.96 out of 5 points, and the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73.69 out of 100 points, respectively.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explained 11% of the powerlessnes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and 3% of the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the nursing students after controlling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for decreasing the feeling of powerlessness and increasing the self-efficien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among the nurs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