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금구조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recarity and Hope in Digital Labor: In-depth Interviews on the Off-campus Internship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디지털 노동의 불안과 희망: 대학생의 '대외활동'에 대한 심층 인터뷰)

  • Lee, Hee-E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6
    • /
    • pp.211-241
    • /
    • 2014
  • In the era of neoliberalism with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young college students are forced to believe that the only way to enter the job market is by accepting and participating temporary off-campus apprenticeship, which often disguised as an internship for the creative culture and knowledge. This article discusses that the mode of off-campus apprenticeship, which is supposed to voluntary and participatory, bears in fact a strong resemblance with digital labor. Based on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apprentice-typed labor denotes a process by which immaterial labor or free labor coincides with self-directed job training. Throughout the digital labor processes young college students are in a constant oscillation between precarity and hope, negotiating their autonomy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neoliberal work environment. The digital labor accumulates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form of commodity, which in turn supports communicative capitalism.

  • PDF

The Labor Force Transformation in Korea: 1960~1980 (한국에 있어서 각 산업부문간 노동력의 변천과정)

  • Kim, Hang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9 no.2
    • /
    • pp.107-128
    • /
    • 198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력의 사회적 특성적인 면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력의 "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의 산업 각 부분간의 변천과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1960, 1970, 1980년에 실시된 한국 센서스 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1960년과 1980년 사이의 한국의 산업 구조적인 면에 있어서의 급속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주로 경제발전 정책과 더불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이동에 기인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1960년에 65%의 노동력이 1차 산업에 종사한 반면에 1980년에는 38.5%로 감소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1960년에 오직 8.7%의 노동력이 2차산업에 종사하던 것이 1980년에는 27.6%로 증가하였다. 3차 산업 역시 1960년에 23.8%에서 1980년에 33.9%로 10%의 증가를 보였다.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실업자들이나 잠재 실업자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구조 자체가 예전에 비해 더 안정이 되고 생활수준도 향상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계속된 5개년 경제개발 계획에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경제발전 과정에서의 대도시로의 인구집중, 특히나 2차 산업과 3차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로의 인구집중은 주택, 교통, 범죄등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동시에 도시지역에의 과잉 노동력의 존재와 농촌지역에는 특히나 농번기에 노동력 부족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성노동력의 비율, 전문직과 사무직 종사자, 그리고 서비스분야 종사자들의 비율이 증가하였는 데 비해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처럼 한국에 있어서도 자영인의 비율은 경제발전 과정에서 감소하였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보다 전문화되고 조직화된 시장중심의 생산체제가 가구와 지역사회 중심의 생산기능을 흡수하므로서 많은 노동력이 임금 노동자가 되었다. 특히나 단순노동을 통한 많은 젊은 여성들을 고용하는 제조산업 분야에서 여성들이 낮은 임금과 과로 그리고 나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그들의 건강을 해치고 직업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겠다. 지난 20년에 걸친 급속한 정부 주도형의 경제발전은 노동력의 제 산업 간의 급속한 변천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 social integrative law & institutions and labour market policy (노동시장양극화와 사회통합방안 - 사회통합적 법·제도와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 Lee, Ho-Geun
    • 한국사회정책
    • /
    • v.20 no.2
    • /
    • pp.261-304
    • /
    • 2013
  • This article is aiming intensively to analyze the polariz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social integration.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s being regarded as one of the hottest issues not less important than those problems of economic growth, employment, income distribution and national security etc. in the national policy. In this article, we will first follow up the important phenomena of labour market polarization and the background as well as its consequence. Especially, it asks if the present labour policy in the new government which is now being concentrated on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from the present 63% to the 70% in the future) could deserve to diminish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in korea. At one side, this article makes the special attention on the diversifying tendency of labour market and the various phenomena of fragmentation and segmentation in the labour market according to the forms and types of employment and according to the employee's status as much as the company's size. At the other side, it emphasizes that to overcome the polarization of labour market should require the wide reform from the legal measure to the improvement of the wage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social investment as well as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article stresses the importance of integrative approach between the active market policy and the social policy instead of choosing each policy option, seperatively.

신발산업의 공급망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 현승용;최형림;임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43-259
    • /
    • 2002
  • 국내 신발산업(Footwear Industry)은 주로 외국의 대형 바이어에 의존적인 형태로 생산하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신발 제조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어서 대형 바이어들이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저임금 국가로 신발 생산기지를 옮겨가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신발산업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국내의 신발제조기업들도 상당수 해외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공장은 그 규모가 굉장히 축소되어 있거나 혹은 연구개발 및 부품 조달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산업의 환경에 변화에 대해 산업 차원에서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국내 신발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전체 공급망의 협업체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망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해야 하며, 기업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새롭게 정립하여 혁신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발산업의 공급망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개선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공급망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발 완제품 제조기업과 부품 제조기업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개선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한국(韓國)의 경제성장(經濟成長) : Kaldor법칙(法則)에서 성장양식분석(成長樣式分析)까지

  • Mun, U-Si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2
    • /
    • pp.161-179
    • /
    • 1993
  • 본고는 생산성(生産性)과 성장률(成長率)간의 누적적(累積的) 성장과정(成長過程)이라 불리는 Kaldor의 축약(縮約)모델을 구조(構造)모델로 확대하여 우리나라의 성장과정을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저임금(低賃金)을 통한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경제성장을 추구해 왔으나 87년 이후로 고임금화(高賃金化) 및 수출역할(輸出役割)의 감소(減少)라는 구조적(構造的) 위기(危機)를 겪고 있다. 과거 선진제국에서 고도성장을 가능케 하였던 "포디즘"적 성장체제는 이러한 위기(危機)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 왜냐하면 오늘날과 같이 국가간 상호의존성(相互依存性)이 크게 증대되고 국가간(國家間) 경쟁(競爭)이 심화되는 상황(globalization)하에서는 국내시장(國內市場)과 해외시장(海外市場)간의 구분 자체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輸出)과 내수(內需)가 독립적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어떠한 성장양식으로 이행하든 그 방향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강화(競爭力强化)와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고성장(高成長)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이 소비증대(小費增大)가 아니라 수출증대(輸出增大)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Improvement in Calculating Engineer Standard Wage Rate and Its Appropriate Level Computation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산출기준 개선방안과 적정 노임단가 추정)

  • Lee, Jae Yul;Lee, Hae K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6
    • /
    • pp.853-86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engineer standard wage rate (ESWR) and to compute a reasonable ESWR. To this end, an adequacy review of theESWR calculation criteria was conducted along with an extensive engineering industry surve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n effective response sample of 748 companies out of 1,000 survey samples extracted by stratifying the 5,879 survey popula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①When calculating the engineering service fee, the prime contractor's engineer wage is suitable for the ESWR. The ESWR can be estimated by the formula 'average wage÷[1-proportion of subcontract orders×(1-subcontract rate)].' ②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the number of monthly working days was 20.35-20.54 days at 99 % confidence interval,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tandard (22 day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legal review of the ESWR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working days should b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Labor Standards Act after 2022. ③ Applying government guideline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wage survey and the ESWR application can be corrected by the past ESWR increase rate for a specific period. ④ Using modeling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e current ESWR was 13.5-14.5 % low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A lower ESWR was driven by the non-reflection of subcontract structure (4.1 %), overestimation of monthly work days (6.8-7.8 %), and application of past wage (2.6 %). The proposed model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policy making, as it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calculating the standard wage rate in similar industries as well as calculating appropriate engineering fees.

Training Incentives in the Korean Levy-Grant System and the Performance: Evidences from the KLIPS Data (재직자 직업훈련 관련 공적재정의 구조와 성과: 효과 분석)

  • Lee, Chul-In;YOO, Gyeongjo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3 no.3
    • /
    • pp.87-120
    • /
    • 2011
  • This paper examines how the levy-grant system for on-the-job training affects individual workers' training level and the subsequent wage growth. Some notable results include: (i) the workers at the firms facing high net benefits (i.e., grant minus levy) receive more firm training indeed, and (ii) training provision raises post-training earnings substantially. All these results are found to be robust to changes in firm size and estimation method.

  • PDF

인적자본(人的資本)과 제조업(製造業) 무역구조변화(貿易構造變化): 헥셔올린 구축가설(驅逐假說)을 중심으로

  • Han, Jin-Hu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0 no.1_2
    • /
    • pp.231-290
    • /
    • 1998
  • 본고에서는 한 국가가 요소부존도의 독특성을 상실함으로써 교역조건의 악화 및 후생손실을 겪을 수 있다는 '헥셔올린 구축가설'을 이론적 토대로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제조업의 구조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당면하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려 하였다. 그 결과 그간 중고등교육 노동력의 급속한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부문(전기 전자, 기계 등 일본가 같은 선진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부문)의 비교우위 획득속도가 매우 더디었을 뿐 아니라, 이 부문의 상대가격이 중장기적으로 하락하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이 요소부존도의 독특성 상실에 기인하는 한 이는 헥셔올린 구축가설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숙련산업(섬유 의류 등)은 중국 및 동남아의 등장 이후 비교우위를 급속히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부문에서 수입물가대비 수출물가가 오히려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은 헥셔올린 구축가설이 의미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종합적으로 반숙련 및 숙련(화학 등)산업에서의 상대가격 및 교역조건(수출물가/수입물가) 하락현상이 두드러져 제조업 전체로는 80년대 후반 이후 교역조건 악화현상이 일어났다고 판단된다. 교역조건의 악화현상은 우리가 만든 물건을 값싸게 수출하고 값비싼 물건을 수입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후생의 손실을 의미한다. 동태적으로도 반숙련 및 숙련산업에서의 상대가격 및 교역조건 악화는 중등 및 고등교육인력의 상대임금을 하락시켜 인적자본의 축적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이 본고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요소부존도의 독특성 상실에 있다면 이에 대한 대책은 차별화 및 혁신능력을 보유한 양질의 인력양성과 같은 것이 될 것이다. 그러나 본고가 물적자본이나 기술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한 한 구체적 정책적 함의의 도출에는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Changing Industrial Location Factors in Korea: A Review on Structural Approach (우리 나라산업입지 변화요인 분석: 구조적 접근)

  • 김재철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 no.1_2
    • /
    • pp.27-45
    • /
    • 1999
  • Recently, the changes of industrial loc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concentration of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firms or high technology industries by industrial restructur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ispersion of large companies'branch plant into the peripheral region in Korea. Particularly deindustrialization is progressing in the inner city and manufacturing firms disperse into the outer c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reviews on the structural perspectives for the changing industrial location factors.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organizes economic spacial structures and Its characteristics can be reasons which can raise changes in industrial location. Korean economy rapidly grew in the move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capital. And capital accumulation by continuous economic growth is raising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or the spatial difference and inequality on land price, wages. the base of labor reproduction. Therefore, these factors are the most reasons to raise the changes of industrial location in Korea. Hereafter the study on these factors, that is, in relation to sociocultural structure and land use structure have to be progress more concretely.

  • PDF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nd Employm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Oriented Delay on the Employment Outcomes (대학생의 졸업연기 유형과 취업성과 : 취업목적 휴학의 효과를 중심으로)

  • Pyoun, Jin-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6
    • /
    • pp.228-236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voluntary delayed graduation for employment preparation on their employment outcom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14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voluntary delayed graduation for employment preparation on their employment statu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voluntary delayed graduation for employment preparation on the wage of their first job.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leave for employment preparation were more likely than others to be employed. In addition, those students who delayed their graduation for employment were more likely than others to earn higher wages on their first job. From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hows that firms should present specific criteria of recruitment for job applicants. In addition, the colleges should enhance the short term program for work experience during higher education.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intervene in dual labor market to reduce the inequality and decrease the college students' anxiety about their first-j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