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carity and Hope in Digital Labor: In-depth Interviews on the Off-campus Internship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디지털 노동의 불안과 희망: 대학생의 '대외활동'에 대한 심층 인터뷰

  • Lee, Hee-Eun (Journalism & Communications, Chosun University)
  • 이희은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4.03.02
  • Accepted : 2014.04.30
  • Published : 2014.05.15

Abstract

In the era of neoliberalism with high rate of youth unemployment, young college students are forced to believe that the only way to enter the job market is by accepting and participating temporary off-campus apprenticeship, which often disguised as an internship for the creative culture and knowledge. This article discusses that the mode of off-campus apprenticeship, which is supposed to voluntary and participatory, bears in fact a strong resemblance with digital labor. Based on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apprentice-typed labor denotes a process by which immaterial labor or free labor coincides with self-directed job training. Throughout the digital labor processes young college students are in a constant oscillation between precarity and hope, negotiating their autonomy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neoliberal work environment. The digital labor accumulates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form of commodity, which in turn supports communicative capitalism.

청년실업률이 높은 신자유주의적 경제구조 하에서, 오늘날의 20대 대학생들은 소위 '스펙 쌓기'라는 노동 시장에 어쩔 수 없이 내몰리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대학생 중 절반 정도가 참여하고 있다는 '대외활동'을 중심으로, 창의적 생산과 자율적 선택을 기반으로 한 것처럼 보이는 경제 활동 기회의 제공이 사실은 자본주의 발전의 한 단계로서 디지털 노동의 국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탐색한다. 대학교 재학 중 대외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대외활동은 자발적 참여와 문화 지식 생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강도 높은 노동이 무임금 혹은 저임금으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디지털 노동의 모습을 보였다. 대외활동은 경험을 시뮬레이션으로, 친구와 동료를 인맥으로, 창의적 생산을 표준화된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었으며, 강제된 것은 아니지만 선택할 수밖에 없는 노동의 형태로 대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이러한 노동 과정에서 대학생들의 지식과 정보는 데이터와 상품의 형태로 축적되어 커뮤니케이션 자본주의의 구조를 구축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