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읽기 전략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생의 읽기불안감과 영어성취도에 따른 읽기전략사용 연구 (The Use of Reading Strategy by Reading Anxiety and English Proficiency of Korean College Students)

  • 임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30-63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읽기불안감과 영어성취도에 따른 읽기전략의 사용에 관한 연구이다. 총 86명의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읽기 전략[9]과 읽기 불안감[10]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SPSS 21을 사용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결과로는 영어성취도에 따른 읽기전략으로 상급과 중급은 문제해결 읽기전략이 높았고, 반면에 초급은 총체적 읽기전략이 높았다. 읽기불안에 따른 읽기전략의 관계에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으나, 불안감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에 약간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불안감이 높은 그룹은 읽기내용에서 단서나 자료 이용하는 전략이나 이해의 어려움이 있을 때 더 내용에 집중하는 전략을 선호하였고 불안감이 낮은 그룹은 독해 도중 집중력을 잃었을 때는 다시 돌아와서 읽는 전략, 읽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읽는 내용의 이해에 신중을 기하는 전략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토론하였다.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 최선일;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49-6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 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읽기 학습 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한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Design Strategies)

  • 김광호;이미화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9-254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 부진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읽기 부진아의 원인 및 특성, Blended learning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읽기 학습부진아의 원인과 개별적 특성을 바탕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학습을 결합한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Blended learning 설계 전략에 따라 읽기 학습부진아를 지도한다면 읽기 학습부진아의 학습참여도 향상과 학업성취도 증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읽기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일반학생과 수·과학 영재들의 영어 읽기과정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Reading among General Learners, Gifted Learners in Science and Mathematics)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46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수 과학 영재학생의 영어읽기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학생 98명, 과학영재 79명, 수학영재 8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MARSI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그 자료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과학영재 사이의 영어읽기 과정 중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수 과학 영재학생들과 일반 학생들 사이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영어 평가 지문 읽기에서 영어 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대한 연구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Test-typed Text Reading between Gifted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General Middle School Learners)

  • 방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45-3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의 영어 평가 지문을 읽는 동안 메타인지 읽기전략사용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C시의 영어 영재 74명과 일반 중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연구 대상자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학기 말에 두 연구대상자들에게 MARSI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이 영어 평가 지문을 읽는 동안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에는 차이를 보였다. 다시 말해, 영어 영재 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에 비해 영어 평가 지문 읽기에서 더 자주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전략에 대해 말하자면, 영어 영재 학생들이 일반 중학생들에 비해 총체적 전략과 문제해결 전략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그룹의 연구대상자들은 지원전략의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 영재 학생들과 일반 중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 읽기 지도에 대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과학 텍스트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mantic Mapping as a Science Text Reading Strategy On High School Students' Inferential Comprehension)

  • 이수진;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5호
    • /
    • pp.362-377
    • /
    • 2023
  • 이 연구는 과학 텍스트 읽기 전략으로 의미지도가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학년 과학중점반 2개 학급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의미지도 읽기 전략을 활용하여 8개 주제의 과학 텍스트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과학 텍스트의 추론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을 개발하여 추론적 이해 수준을 분석하였다. 추론적 이해 변화를 분류하기 위해 추론적 이해 분석틀의 세부 항목인 3개 항목의 수준을 점수로 환산하였다. 학생들의 추론적 이해 변화 분석 결과는 의미지도 읽기 전략 수업이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추론적 이해의 하위 유형 중 교량 추론과 정교화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한 읽기 학습이 흥미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ze Procedure with a Cartoon on Academic Interests and Reading Achievements)

  • 최인희;김성일
    • 교육심리연구
    • /
    • 제22권1호
    • /
    • pp.215-234
    • /
    • 2008
  • 이 연구는 학습자의 받아쓰기 성취도와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서 만화와 문자 빈칸 메우기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1학년 학급 중 교과 흥미 사전검사와 국어과 읽기 학업성취 사전평가에서 동질성을 확보한 3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은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 실험집단 2는 문자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하여 읽기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기존의 교과서 위주의 읽기 학습을 실시하도록 하여 총 15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첫째, 만화 텍스트 빈칸 메우기 전략의 활용은 교과흥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특히 하위 성취도 집단에서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둘째, 빈칸 메우기 전략의 활용은 사후 받아쓰기 성취도 및 지연된 받아쓰기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하위 성취도 집단에서는 만화 텍스트의 활용이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직후 독해력 검사에서는 텍스트 유형에 상관없이 빈칸 메우기 전략을 활용한 읽기 학습이 독해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독해력 하위 요소 중 사실적 이해를 묻는 문항보다 추론적 이해를 묻는 문항에서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국어 읽기 학습에서 흥미 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텍스트의 유형과 학습 전략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한국어 관계절 문장의 이해 과정과 구조 (Comprehension Processes and Stuctures of Korean Relative Clause Sentence)

  • 김영진
    • 인지과학
    • /
    • 제6권2호
    • /
    • pp.5-27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관계절 문장의 마디별 읽기 시간을 측정한 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어 문장 해독의 처리 전략 및 수행 구조를 제안하였다. 첫째로,읽기 시간의 증가가 주로 명사 마디에서 일어났다는 결과에 근거해,한국어 해독이 명사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둘째로 문장 구조의 특성과 작업 기억의 부담을 읽기 시간의 증감과 관련지어 세가지 처리를 구분하였으며,병행기능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처리 전략을 제안하였다.셋째로 인접한 마디간의 읽기 시간의 차이에 기초해 관계절 문장 이해의 수행 구조를 제안하였다.이들 전략과 수행 구조는 관계절문장에서 보이는 마디별 읽기 시간의 변화를 잘 설명할 뿐만 아니라,현재 실험 자료가 없는 관계절 문장 유형에서 마디별 읽기 시간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실험을 위한 여러 생각들을 논의 하였다.

  • PDF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mplementing Semantic Mapping Reading Strategy in Science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Text Reading Ability)

  • 이수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376-389
    • /
    • 2022
  •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고등학생의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소재의 과학중점학교 3학년 학생들(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사회과학적 이슈와 화학 개념에 대한 8개의 과학 텍스트를 이용하여 의미지도 읽기 전략 수업을 적용하였다. 의미지도 읽기 전략이 과학 텍스트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사전·사후 과학 읽기 능력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지도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읽기 능력 검사 점수의 평균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읽기 과제를 해결하기 전에 의미지도를 그리는 것은 학생들이 텍스트에서 정보를 찾고, 의미를 추론하는 것에 효과가 나타났다. 학생들 역시 의미지도가 텍스트의 내용을 시각화하여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쉽고, 자신의 배경지식과 텍스트 내용을 연결시킬 수 있어 텍스트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읽기문화 활성화를 위한 해외 PR 캠페인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PR Campaign Cases for Revitalization of Reading Culture)

  • 최진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47-159
    • /
    • 2016
  • 본 연구는 읽기문화 활성화를 위해 독서 선진국들이 시행했던 성공적인 PR 캠페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읽기문화 활성화를 위한 PR 캠페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해외의 성공적인 읽기문화 활성화 PR 캠페인 사례들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유럽, 북미, 남미, 그리고 오세아니아 지역 등에서 성공적인 읽기문화 활성화 PR 캠페인 사례들을 선별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와함께, 본 연구는 읽기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확대하고 읽기문화를 우리사회에 확산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PR 캠페인 전략 수립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선별된 해외 읽기문화 PR 캠페인 사례들을 대상으로 PR 캠페인의 목표와 목적, 전략 전술적 특성, 그리고 장점과 단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 대상으로 선별된 해외 읽기문화 PR 캠페인들은 독특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활용해 언론매체와 독자들의 눈길을 끌어 PR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었으며, 누구나 손쉽게 PR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주요 PR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나아가, 선별된 해외 읽기문화 활성화 PR 캠페인들은 평소에 독서를 좋아하는 독자들을 주 타깃으로 하여 PR 캠페인을 실행함으로써 PR 캠페인의 참여도를 높이고, 일반인들로부터 인기를 끌 수 있는 흥미로운 요소들을 PR 캠페인에 적극 활용하여 공중의 참여를 극대화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