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읽기 쉬운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쉬운자료 제작 교재 개발 연구 (Developing Textbook of Producing Easy-to-read Material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경양;남보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7-487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읽기쉬운자료 개발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재는 국내외 읽기 쉬운 자료 제작 지침서 분석, 차시 확인 및 교재 내용 개발, 타당도 검증의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자료는 독자 구분, 어휘, 상징, 레이아웃, 제작 실습을 포함하여 총 7차시의 교재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의 중요한 특성은 첫째, 국내 최초로 읽기 쉬운 자료를 읽는 독자를 분류하여 보통 읽기(Plain Language) 독자, 읽기 쉬운(Easy to Read) 독자로 소개하였다. 둘째, 읽기 쉬운 자료를 개발하면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을 체크리스트로 개발하여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주제별 활동지와 워크북을 개발하여 활동 중심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문자 없는 나라를 위한 문자 교육 시스템(소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People Who Don't Have Their Own Letters, SOUL)

  • 함혜령;노용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7-380
    • /
    • 2010
  •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육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교육을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약 6900여종의 언어 중 6600여종의 언어는 표기할 수 있는 고유 문자가 없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최소 조건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말은 있지만 문자는 없는 국가에 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보급하여 지식기반 발전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소울(SOUL)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울(SOUL)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자 교육 기능과, 지식 공유 공간 기능이다. 문자 교육 기능에서는 각 문자가 내는 소리와 조합방법, 그리고 각 문자의 표기법, 표기 순서 등을 익힘으로써 문자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SOUL은 말을 표기할 문자로 비교적 익히기 쉬운 언문인 한글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지식 공유 공간 기능에서는 문자를 익힌 사용자가 마치 위키피디아처럼 지식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지식을 축적하도록 도와주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서는 소울(SOUL)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3-4세 유아를 위한 '쉬운 책'의 개발 및 '쉬운 책'이 유아의 책 읽기 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asy-to-read' Books on Preschooler's Independent Reading)

  • 현은자;김영실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3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onstruct 'easy-to-read' books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sy-to-read' books on young children's independent reading, the subjects were twenty six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Saemaul murery school in Irk, chullapuk-do.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d of two storybook reading conditions: in the first condition. subjects were encouraged to read traditional storybooks and in the second condition, subjects were encouraged to read 'easy-to-read' books. The paired t-test and the Student's t-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in both groups attempted to read more frequently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Subject in the 'easy-to-read' condition attempted to read more frequently on the post test than subjects in the traditional book condition.

  • PDF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의 영어 정형화 배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loud on International Students' English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41-348
    • /
    • 2022
  • 정형화 배열이란 연속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은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는 어휘 덩어리이다. 정형화 배열은 언어 발달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형화 배열의 습득 여부가 언어 발달의 성패를 좌우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들의 정형화 배열 학습방안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제안한다. 서울 소재 대학의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유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소리 내어 읽기 활동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15주간 동영상 수업과 줌 실시간 수업을 병행하여 진행하였고, 교재는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이용하였다. 동영상 수업에서는 교사가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본을 해석하였고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학생들은 과제로 정형화 배열이 포함된 문장을 소리 내어 읽고 녹음하여 제출하였다. 실시간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동영상 수업에서 학습한 정형화 배열을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하였다.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정형화 배열 해석하기와 쓰기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다. 설문에서는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난이도가 다른 덩이글 읽기에서의 안구운동 양상 (Eye-movements in reading easy and difficult texts)

  • 윤낙영;고성룡
    • 인지과학
    • /
    • 제20권3호
    • /
    • pp.291-30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어려운 글과 쉬운 글을 읽는 동안에 안구운동을 측정하였다. 비교 분석은 전반적인 수준과 어절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전반적인 수준을 보면, 평균 고정시간은 어려운 글을 읽을 때가 217ms로 쉬운 글을 읽을 때의 190ms에 비해 길었고, 도약거리는 어려운 글을 읽을 때가 3.7자로 쉬운 글을 읽을 때의 4.8자에 비해 짧았다. 어절 수준에서는 어려운 글의 단일 고정시간(single fixation time: 227ms)과주시시간(gaze duration: 266ms)이쉬운글(각각195ms와 210ms)에서보다 더 길었다. 어려운 글과 쉬운 글 모두에서 단어 빈도 효과와 어절 길이 효과가 있었으며 빈도에 따른 고정시간의 차이와 길이에 따른 고정시간의 차이는 모두 어려운 글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of Children's Library)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87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 공공/어린이도서관 홈페이지에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27개의 어린이 열람실, 어린이 도서관 그리고 사설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검색 항목의 수에 따라 4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국외의 경우 International Children's Digital Library, Mid-Hudson Library System KidsOnline, LA Public Library Kid's Path의 정보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어린이용 검색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읽기 쉬운 글자크기로 언제든지 쉽게 바꿀 수 있을 것.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이 모두 가능할 것. 아이콘의 크기는 어린이들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하기 쉬운 크기로 디자인 할 것 철자 검사 기술은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자 문제를 최소화 시킬 것.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경우 이용 대상자를 참여시켜 이용자의 눈높이에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유학생 대상의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 방안: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Non-Face-to-Face General English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Reading Movie Scripts Aloud)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에서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가 유학생들의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에 다니는 유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한 번, 15주간, 애니메이션 라푼젤(Tangled)을 이용하여 교양 영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교사의 동영상 수업과 영화 대본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격주로 진행하였다. 교사는 쉬운 한국어로 영화 대사의 어휘 설명 및 해석으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LMS)에 게시하였다. 학생들은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은 줌을 통해 교사의 도움을 받으며 개인별 및 조별 소리 내어 읽기를 하였다. 사후 평가에서 사전 평가 대비 읽기와 쓰기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설문에서는 이해도, 만족도, 흥미도, 추천도의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한국인의 쉬운 한국어, 어려운 한국어, 영어 읽기 상황에서의 음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peakers' voice under easy Korean, difficult Korean and English reading situations)

  • 김지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1호
    • /
    • pp.1-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ice under stressful and relaxed conditions. Ten undergraduate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roduced 아, 에, 이 vowels in English reading, difficult Korean reading under stressful conditions, and easy Korean reading under relaxed conditions. After that, F0, jitter, shimmer, NHR, F1, F2, and F3 valu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peech parameters related to stress are jitter, shimmer, and NHR in that these values are lower under relaxed situations (easy Korean reading) than that of stressful situations (English and difficult Korean reading).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to verify that the analysis of acoustic characteristics can serve as a quantitative tool for measuring stress levels.

4칼라 변형신문광고에 나타난 타이포그라피와 색상에 대한 연구 (TYPOGRAPHY AND COLOR; FOCUSED ON 4 COLOR TRANSFORMATIONAL FORM IN NEWSPAPER)

  • 이광숙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3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 제작 배포된 한국신문광고, 9단 7칼럼 4칼라 변형광고를 중심으로 활자체와 색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한글과 영문을 사용한 카피가 자주 사용되고 있었으며, 읽기 쉬운 신명조체와 고딕체가 카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두드러진 것은 복잡한 생상의 활용이었다. 배경색도 매우 다양화되어 있었으며, 특히 이에 따른 카피에 사용된 색상은 매우 복잡한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조사결과로부터 활자체의 통일성과 색상의 다양성에 따른 광고의 구독률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