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축압축강도시험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3초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를 이용한 지반강도 증대 효과 (Effects of Ground Strength Increase using Polysaccharide Environmentally Friendly Soil Stabilizer)

  • 김선태;도종남;조현수;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1호
    • /
    • pp.13-21
    • /
    • 2011
  •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 및 문화 등을 되살리기 위한 국가적 사업인 4대강 국가하천 정비사업은 홍수에 안전한 문화 및 생태가 살아있는 친환경 하천 공간을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재료의 친환경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당류 친환경 개량재인 콘알파를 활용한 토양 및 시멘트 혼화제를 개발하여 다짐시험, 투수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통하여 친환경 하천 공간을 위한 건설재료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축압축시험의 결과로는 다당류 지반개량재가 강도 증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토사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균들이 본 연구에서 정확한 배합비를 얻기 위해 건조로에서 고온으로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활동성이 극 저하되어 강도증진 효과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와 관련된 시험에서는 각 시료를 자연상태에서 함수비를 측정하여 적정함 수비로 다진 뒤, 다당류 지반개량재를 혼합하여 공학적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점성토(粘性土)의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 시험방법(試驗方法)에 대(對)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Unconfined Compression Test Method of Cohesive Soil)

  • 강예묵;이세진;이달원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95-101
    • /
    • 1990
  • 점성토(粘性土)의 일축압축시험(一軸壓縮試驗)에서 공시체(供試體)의 크기와 압축속도(壓縮速度)를 변화(變化)시키면서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체(供試體)의 단면(斷面)이 증가(增加)하면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는 감소(減少)하는 현상(現像)을 나타낸다. 2. 공시체(供試體)의 높이와 지름의 비(比)가 증가(增加)하면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는 감소(減少)하였다. 3. 압축속도(壓縮速度)가 매년(每年) 3%까지는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가 증가(增加)했으나 3%를 초과(超過)하면 오히려 감소(減少)하는 현상(現像)을 나타냈다. 4. 압축속도(壓縮速度)가 클수록 변형계수(變形係數)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 PDF

세종기지 및 시베리아 흙의 동결특성 시험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King Sejong Station and Siberian Frozen Soils)

  • 김영진;신재원;손승모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12
    • /
    • 2009
  • 남극 세종기지 및 시베리아의 블라디보스톡에서 채취한 흙 시료에 대하여 지반공학적인 기본 시험 즉, 비중시험, 다짐시험, 입도시험, 온도변화에 따른 열전도율시험, 부동수분시험,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블라디보스톡시료에 대해 온도변화별 인장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시험과 인장강도 시험시 시료의 동결에 의한 부피의 팽창을 억제하면서 공시체를 만들어 온도 변화 및 함수비 변화에 따른 강도변화를 비교하였다. 열전도율 시험 결과 영하 상태에서 흙의 열전도율은 영상 상태에서의 그것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온도변화에 따른 부동수분시험 결과 부동수분은 $0{\sim}-5^{\circ}C$ 사이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0^{\circ}C$까지도 부동수분이 존재하였다. 압축강도시험 결과 함수비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응력-변형률 곡선을 보였으며, 남극의 사질동결토는 동일 온도의 얼음보다 훨씬 큰 강도를 보였으나, 블라디보스톡의 점성동결토는 초기 영하상태에서는 얼음 보다 작은 강도를 보이다가 $-15^{\circ}C$ 이하에서 서서히 얼음 보다 큰 강도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또한 온도저하에 따라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 PDF

친환경 그라우팅 재료를 통한 현장 적용성 연구 (A Study Of Practical For Eco-Grouting Materials)

  • 김학문;장경준;허원;허형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53-1257
    • /
    • 2010
  • 그라우팅은 건설공사에서 지반의 갈라진 틈이나 공동, 공극 등에 적절한 충전재를 압력을 이용하여 주입하는 것으로, 굴착공사 시 누수방지와 불안정한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그라우팅 주입재의 재료로는 물유리계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약액주입공법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물유리계 재료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용출현상 및 강도저하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소성을 부과한 무기질계 재료ECG(Eco Clean Grouting)를 사용하여,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주입재의 용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가 거의 없는 영구적인 차수 및 보강에 적합한지와 친환경적 특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가소성 무기질계 재료인 ECG(Eco Clean Grouting)재료를 사용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는 재료인 물유리계 재료로 일축압축강도, 체적변화, 내구성 평가, 투수시험, 어독성 시험, 용탈시험등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일축압축 시험결과 재령 28일 강도는 ECG가 물유리재료에 비해 크게 발현되었고, 내화학성시험 결과 ECG의 길이변화율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내화학성에서 강점을 보였다.

  • PDF

친환경 임도포장공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Forest Road Pavement Using Eco-Friendly Method)

  • 오세욱;이길호;김동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31-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고화재와 자연토, 물을 혼합하여 포설한 후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을 고결시키는 임도포장공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포장체의 목표강도는 2.0MPa로 설정하였고 고화재의 혼합비, 자연토의 종류, 양생기간별로 공시체를 제작하여 일축압축강도특성과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일축압축강도시험은 동일한 혼합비의 시멘트를 혼합한 공시체와 친환경고화재를 혼합한 공시체를 제작하여 강도를 비교하였으며,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시험은 표면마모시험, 유수저항성 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임도의 특성상 탐방객들도 이용이 가능하므로 보행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쇠구슬과 골프공을 이용한 SB, GB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오폴리머계 그라우트재의 강도 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Geo-polymer Grout)

  • 이종휘;김선주;차경섭;김선곤;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3-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오폴리머계 그라우트재(HIT)의 강도 및 내구성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시험, SEM, 공시체 표면변화관찰 및 용탈시험을 실시하였다.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HIT의 경우 초기강도가 높고, 재령일이 경과할수록 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SGR과 LW 경우 재령 28일 이후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SEM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HIT의 경우 지속적인 수화반응을 통하여 밀실한 형태의 C-S-H 수화물이 다수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어 물유리계 재료보다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시체의 표면변화 및 용탈시험 결과에서도 양생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HIT의 경우 양호한 표면을 유지했으며 중량감소율도 극히 미미했다. LW, SGR의 경우에는 표면의 수축정도가 심했으며, 중량감소율도 HIT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HIT가 물유리계 재료보다 강도, 내구성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 해상구조물 그라우트재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료토의 특성에 따른 경량기포혼합토의 압축강도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Air-mixed Soil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Soil)

  • 송준호;임종철;홍석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157-166
    • /
    • 2008
  • 경량기포혼합토(LAS)의 일축압축강도($q_u$)와 변형계수($E_{50}$)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위해 모래, 실트, 점토의 함유율이 서로 다른 건설발생토(원료토)를 이용하여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시험 분석결과 동일 원료토에서 LAS의 목표단위중량(${\gamma}_m$) 및 시멘트 첨가량($C_i$)이 강도-변형특성의 지배인자로 분석되었으며, 서로 다른 원료토에서는 단위중량과 시멘트 첨가량이 동일할 경우 원료토의 입도분석시험(KS F2302)결과 산출된 모래, 실트, 점토의 상호비율과 강도-변형특성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양생일에 따른 LAS의 강도발현속도는 원료토내 점토의 함유율($C_%$)이 증가할수록 강도발현을(a)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 혼합토 및 복합지반의 강도, 변형 특성 및 수치해석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Numerial Analysis for Cement Admixed Clay and Composite Ground)

  • 전제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51-5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원지반 점토와 시멘트 혼합토를 포함하는 복합지반을 조성하고 이에 대한 실내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원지반 점토 함수비 및 치환율, 시멘트 함유율 등에 따른 강도 및 변경 특성치를 분석하였으며, 혼합토에 대한 개별요소 수치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시멘트 함유율 15 % 이상에서는 최종적인 복합지반의 강도에 있어 치환율을 증가시키는 것보다 시멘트 함유량 증가 등을 통한 혼합토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더욱 유리함을 알 수 있었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원지반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와 시멘트 혼합토의 시멘트 함유율, 복합지반 치환율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복합지반의 일축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예측이 가능하였다. 치환율과 함께 최종적인 복합지반의 강도 및 변형 특성치 예측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멘트 혼합토의 일축압축강도는 실내시험 및 본딩모델이 적용된 3차원 개별요소 수치모델링을 통해 그 검증과 예측이 가능하였다.

간접인장강도시험을 통한 이방성 암석의 인장강도 특성 (Characterization of Tensile Strength of Anisotropic Rock Using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 김영수;정성관;최정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33-141
    • /
    • 2002
  • 암반파괴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장강도는 등방의 암석과 횡등방의 암석의 경우는 분명히 다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축압축강도시험에서 횡등방 암석의 탄성정수를 구하고, 간접인장강도시험을 통하여 횡등방 암석의 인장강도와 인장파괴 거동을 분석하였다. 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이방성 탄성정수와 간접인장강도시험에서 얻어진 변형률로 시료중앙의 응력집중계수를 구하여, 등방으로 가정하여 구한 인장강도 값과 이방성일때의 인장강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횡등방성 암석의 응력집중계수는 층리면의 각도에 따라서 등방재료의 응력집중계수와는 크거나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횡등방 암석의 인장강도 산정시 등방의 응력집중계수를 사용하는 것은 층리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인장강도의 과대 혹은 과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동결융해시험에 의한 사암 및 안산암의 풍화특성 평가 (Estimation of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and Andesite by Freeze-Thaw Test)

  • 강성승;김종인;오바라 유조;히라타 아츠오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2호
    • /
    • pp.145-150
    • /
    • 2011
  • 사암과 안산암에 대한 풍화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결융해 반복시험을 실시한 후, 두 암석에 대한 중량 감소율, 탄성파속도, 일축압축강도 등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 변화의 경우 두 암석 모두에서 동결 융해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안산암에서는 중량 감소 경향이 시험편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탄성파속도 변화에 있어서 사암은 5%이상의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안산암은 동결융해 반복시험 500 사이클까지 탄성파속도 변화가 거의 없다가 1000 사이클부터 5%이상의 감소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안산암이 비교적 풍화에 강한 암석인 반면, 사암은 풍화받기 쉬운 암석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안산암의 탄성파속도 변화 양상은 안산암의 중량 변화와 일치한다. 사암의 일축압축시험 결과에서 일축압축강도는 동결융해 반복시험 초기 사이클 구간에서 미미한 강도저하를 보이다 64 사이클부터는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중량 감소가 적은 암석 시험편일수록 강도저하율도 작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