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round Strength Increase using Polysaccharide Environmentally Friendly Soil Stabilizer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를 이용한 지반강도 증대 효과

  • 김선태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도종남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조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4.11
  • Accepted : 2011.10.25
  • Published : 2011.11.01

Abstract

To recover basic functions of river such as water control, irrigation, environment, culture, a national river improvement project, the four river restoration projects were currently planned and under construction in Korea. This project is designed to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ecosystem from flooding, for that reaso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of construction are strongly emphasized. In this study,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re developed. And, the compaction test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probiotics as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re conducted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s a result, the probiotic culture was not active in completely dried specimen to obtain accurate mixing proportion. It indicates that the probiotics canno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the soil and cement admixtures. A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the effect of response between polysaccharide environmentally friendly soil stabilizer and natural specimen.

하천의 기본기능인 치수, 이수, 환경 및 문화 등을 되살리기 위한 국가적 사업인 4대강 국가하천 정비사업은 홍수에 안전한 문화 및 생태가 살아있는 친환경 하천 공간을 정비하기 위한 것으로 건설재료의 친환경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당류 친환경 개량재인 콘알파를 활용한 토양 및 시멘트 혼화제를 개발하여 다짐시험, 투수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통하여 친환경 하천 공간을 위한 건설재료로의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축압축시험의 결과로는 다당류 지반개량재가 강도 증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토사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균들이 본 연구에서 정확한 배합비를 얻기 위해 건조로에서 고온으로 건조를 시키는 과정에서 활동성이 극 저하되어 강도증진 효과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와 관련된 시험에서는 각 시료를 자연상태에서 함수비를 측정하여 적정함 수비로 다진 뒤, 다당류 지반개량재를 혼합하여 공학적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주(2009), 4대강살리기 사업;다기능보의 역할, 한화건설 기술지, Vol. 2, pp. 54-59.
  2. 한국도로공사(2009),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한국도로공사 표준 시방서, pp. 54-59.
  3. 한국표준협회(2005), 흙의 입도 시험 및 물리 시험용 시료 조제 방법, KS F 2301, pp. 1-3.
  4. 한국표준협회(2002), 흙의 입도 시험 방법, KS F 2302, pp. 1-10.
  5. 한국표준협회(2001), 흙의 다짐 시험 방법, KS F 2312, pp. 1-6.
  6. 한국표준협회(2001), 흙의 일축압축 시험 방법, KS F 2314, pp. 1-5.
  7. 한국표준협회(2006), 흙의 공학적 분류 방법, KS F 2324, pp. 1-6.
  8. 相澤政明, 宮田 彰(2008), "湧水利用公園造成で環境に配慮した バイオ系土質改良方法", 応用地質株式会社, pp.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