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and Andesite by Freeze-Thaw Test

동결융해시험에 의한 사암 및 안산암의 풍화특성 평가

  • Received : 2011.04.12
  • Accepted : 2011.04.22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Variations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ight loss rate, wave velocity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fter performing freeze-thaw cyclic test were measured in order to defin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and andesite. Weight change in specimens of the two rock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petition number of freeze-thaw cyclic test. In particular, weight loss of andesite specimens was very irregular. P-wave velocity of sandstone specimens decreased more than 5%. On the other hand, P-wave velocity of andesite specimens do not vary up to 500 cycles and decreased more than 5% after 1000 cycles. This implies that the sandstone are easily weakened and loosened by weathering processes, while the andesite are relatively strong. In addition, the wave velocity changes of the andesite specimens coincident with the weight chang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sandstone specimens slight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the freezing-thawing cyclic test, then tended to be irregular after 64 cycles. In conclusion, the rock specimens showed smaller weight loss, less had lower strength reduction rate.

사암과 안산암에 대한 풍화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결융해 반복시험을 실시한 후, 두 암석에 대한 중량 감소율, 탄성파속도, 일축압축강도 등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중량 변화의 경우 두 암석 모두에서 동결 융해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안산암에서는 중량 감소 경향이 시험편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탄성파속도 변화에 있어서 사암은 5%이상의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안산암은 동결융해 반복시험 500 사이클까지 탄성파속도 변화가 거의 없다가 1000 사이클부터 5%이상의 감소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안산암이 비교적 풍화에 강한 암석인 반면, 사암은 풍화받기 쉬운 암석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안산암의 탄성파속도 변화 양상은 안산암의 중량 변화와 일치한다. 사암의 일축압축시험 결과에서 일축압축강도는 동결융해 반복시험 초기 사이클 구간에서 미미한 강도저하를 보이다 64 사이클부터는 불규칙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중량 감소가 적은 암석 시험편일수록 강도저하율도 작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진철, 백환조, 2000, 풍화에 의한 국내 편마암체의 지질 공학적 물성의 변화, 한국자원공학회지, 37, 262-271.
  2. 권오일, 백용, 임성빈, 서용석, 2007, 국내 주요 암종별 사 면의 동결-융해에 의한 열화심도 계산, 대한지질공학화지, 17, 3, 359-365.
  3. 김성수, 박형동, 1999, 인공풍화실험을 이용한 석재 물성의 변화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6, 141-149.
  4. 김영택, 이찬희, 이명성, 2005,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보존과학적 풍화훼손도 평가,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8, 6, 675-687.
  5. 김영화, 홍순호, 1990, 풍화현상에 수반하는 화강암의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23, 2, 221-232.
  6. 박연준, 유광호, 양광용, 우익, 박찬, 송원경, 2003, 동결-융해 시험에 의한 화강암의 풍화 특성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13, 3, 215-224.
  7. 백용, 서용석, 정자혜, 권오일, 2005, 동결융해에 의한 암반 사면의 열화심도 산정, 대한지질공학회지, 15, 3, 325-335.
  8. 송원경, 우익, 김복철, 2009, 풍화가속실험을 통한 독도 암체의 풍화특성 분석, 터널과 지하공간, 19, 4, 318-327.
  9. 엄정기, 신미경, 2009, 경남 함안군 백악기 이암의 동결-융해에 따른 물성변화 및 미세균열 발현특성, 터널과 지하공간, 19, 2, 146-157.
  10. 윤석봉, 곽연천, 박성미, 이정은, 이찬희, 최석원, 2006,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9, 6, 629-641.
  11. 이찬희, 이정은, 신은정, 김사덕, 2008, 경천사십층석탑의 암석학적 특성과 풍화훼손도, 지질학회지, 44, 6, 765-779.
  12. 장현식, 장보안, 이준성, 2004, 강원도 횡성군 풍암분지 백악기 셰일의 동결-융해에 따른 지질공학적 특성 변화, 대한지질공학회지, 14, 4, 401-416.
  13. 정형식, 유병옥, 1997, 암석의 풍화에 따른 강도변화 특성 및 강도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13, 6, 73-.
  14. 조태진, 이상배, 황택진, 원경식, 2009, 풍화진행에 따른 한라산조면암의 역학적 특성변화, 터널과 지하공간, 19, 4, 287-303.
  15. 최석원, 이찬희, 2000, 부여 대조사 화강암 미륵보살입상의 물리적 및 화학적 풍화, 지질학회지, 36, 4, 559-574.
  16. 尾原祐三, 平田篤夫, 1998, 岩石の風化に関する研究, 墓石調査とその検討結果報告書, 熊本工業大学と熊本大学
  17. Chigira, M., 1988, Chemical weathering of mudstone of the Pleistocene Haizume Formation, Niigata Prefecture, central Japa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94, 6, 419-431. https://doi.org/10.5575/geosoc.94.419
  18. Chigira, M., 1990, A mechanism of chemical weathering of mudstone in a mountainous area, Engineering Geology, 29, 119-138. https://doi.org/10.1016/0013-7952(90)90002-I
  19. Chigira, M. and Sone, K., 1991, Chemical weathering mechanisms and their effects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soft sandstone and conglomerate cemented by zeolite in a mountainous area, Engineering Geology, 30, 195-219. https://doi.org/10.1016/0013-7952(91)90043-K
  20. Harrison, J. P. and Hudson, J. A., 1997, Engineering rock mechanics - Part 2: Illustrative worked examples. Pergamon, 73-74.
  21. Jayaverdena, U. de S. and Izawa, E., 1994, A new chemical index of weathering for metamorphic silicate rocks in tropical regions: a study from SriLanka, Engineering Geology, 36, 303-310. https://doi.org/10.1016/0013-7952(94)90011-6
  22. Nicholson, D. T. and Nicholson, F. H., 2000, Physical deterioration of sedimentary rocks subjected to experimental freeze-thaw weathering,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5, 1295-1308. https://doi.org/10.1002/1096-9837(200011)25:12<1295::AID-ESP138>3.0.CO;2-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