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주활동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the Volunteer Program for the Aged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 Aged and the Aged Welfare)

  • 이은주;한창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33-124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조사대상은 사회복지관련 학과 대학생 72명이다. 이 중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34명을 실험집단, 참가하지 않은 학생 3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사회복지사로부터 노인대상 재가복지 서비스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기본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일주일에 한 번씩 4개월 간 대상자 노인의 집을 방문하여 말벗해드리기, 건강 체크 등의 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집단 모두 자원봉사 프로그램 시작 전과 프로그램이 끝난 후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문조사 내용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척도와, 노인에 대한 공경심, 노인복지에 대한 지식 및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한 4점 리커트 척도가 포함되었다. 사전조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노인복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공경심, 노인복지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조사결과 통제집단은 사전조사결과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노인에 대한 태도가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노인에 대한 공경심도 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대상 자원봉사 활동이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의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ork Activit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김기전;송브라이언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70-2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 "C" 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Periods for Planting and Felling Larix kaempferi Based on the Period of Its Cambial Activity)

  • YOO, Hye-Ji;JU, Jeong-Deuk;PARK, Jun-Hui;SHIN, Chang-Seob;EOM, Chang-Deuk;SEO, Je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399-415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 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각 지역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도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과 미동산에서 일본잎갈나무 5본씩을 선발한 후, 월악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10월 6일, 미동산에서는 2017년 4월 7일 ~ 9월 29일까지 직경 2 mm 미니 생장추(trephor)로 형성층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형성층 시료는 PEG2000에 임베딩 한 후,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두께 10-15 ㎛로 박편 제작을 하였다.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월악산 일본잎갈나무 1본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 1본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현미경으로 월악산과 미동산 일본잎갈나무의 형성층 개시 일을 관찰한 결과, 4월 28일에 월악산에서 2본, 미동산에서 3본이 개시하였다. 나머지인 월악산 2본과 미동산 1본은 일주일 후인 5월 4일에 개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개시를 유도한 적산온도는 월악산의 경우 196.4-271.8이었으며, 미동산은 204.7-277.3로 유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종료는 월악산 8월 4일 ~ 8월 25일, 미동산 8월 4일 ~ 9월 1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월악산과 미동산에 적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시기는 형성층 활동 약 한 달 전인 4월 이전이며, 벌채 시기는 형성층 활동이 완전히 종료되는 10월부터로 확인되었다.

의과대학 학생들의 일주기 유형과 수면의 질 및 회복탄력성과 불안 증상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Sleep Quality and Resilience as Well as Anxiety Among Medical Students)

  • 김지인;김봉조;이철순;차보석;이소진;이동윤;서지영;최재원;이영지;임은지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1호
    • /
    • pp.21-28
    • /
    • 2022
  • 목적: 의과대학생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으며 점점 불안감이 높아지고 수면시간의 부족과 함께 수면양상도 불규칙 해진다. 따라서 의과대학생들의 일주기 유형, 수면의 질, 회복탄력성 그리고 불안이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생 본과 1학년 52명과 2년 후, 44명의 본과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다. 벡 우울 척도, 벡 불안 척도, 불면증 심각성 척도, 아침활동형 척도 그리고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를 자기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상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과 1학년 때의 불안이 높은 것은 2년 뒤인 3학년때 저녁형을 예측했고 본과 1학년때의 불안이 낮을수록 본과 3학년의 수면의 질이 좋았다. 본과 3학년의 수면의 질이 낮은 것은 저녁형 그리고 낮은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었다. 또한, 본과 3학년의 우울감이 적은 것은 높은 회복탄 력성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의과대학생 본과 1학년 때의 불안의 정도가 2년 후 3학년 때의 수면의 질과 저녁형을 예측했다. 앞으로 1학년 학생들의 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학생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청소년 수면의 질은 또래 친밀감을 높이는가? (Does a Good Night's Sleep Increase Peer Intimacy Among Adolescents?)

  • 신지은;김정기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29-142
    • /
    • 2018
  • 수면은 인생의 약 삼분의 일을 차지하는 중요한 활동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을 통해 수면이 개인의 인지 및 정서에 차지하는 중요성이 밝혀졌지만, 수면이 타인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는 수면이 청소년의 또래 친밀감에 기여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수면이 기억 응고화에 핵심적이라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수면의 이러한 관계적 효용이 긍정적인 사회적 기억에 의해 설명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대로 중학생 수면의 질은 이들이 또래 관계에서 느끼는 친밀감을 예측하였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사회적 일화를 긍정적으로 기억하는 데 기인하였다(연구 1). 이러한 현상은 고등학생에게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수면의 질이 높은 고등학생일수록 또래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사회적 일화 기억의 긍정성 수준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되었다(연구 2). 인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 2에서 일주일 간격을 두고 기억 과제를 반복 실시한 결과, 잠을 잘 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사회적 일화를 더 긍정적으로 기억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수면의 질은 비사회적 기억의 긍정성 변화와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면의 대인적 기능 및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하타요가수련이 컴퓨터 사용후 만성요통에 시달리는 노인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Elderly Having Chronic Back Pain because of Computer Usage)

  • 유시영;홍순안;문경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121-1128
    • /
    • 2013
  • 본 논문은 노인의 하타 요가 수련의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만성요통에 시달리는 65세 이상의 노인의 통증과 일상생활에 있어 기능적 장애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는 65세 이상의 남녀로 현재 노동활동에 종사하지 않고 6개월 이상 허리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이다. 연구는 하타 요가나 다른 체계적인 운동을 경험하지 않는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일주일에 세 번 하타 요가를 수련하는 그룹과 다른 조건은 동일하지만 하타 요가를 수련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는 하타 요가를 수련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하타 요가가 근육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기르게 하여 만성요통을 가진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Chinese EFL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Ability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양정;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3-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생 총 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참가자들을 자율성 지지 그룹, 정서적 지지 그룹, 인지적 지지 그룹, 통제 그룹으로 나누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두 시간씩 총 17주 동안 영어 듣기 수업에 참가하였고. 실험 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 교사의 지지를 받았다. 교사의 지지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험 전과 후 사전 사후 듣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그룹의 영어 듣기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정서적 지지보다 자율성 지지와 인지적 지지가 학생의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환경에서 교사가 수업 계획과 활동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체감형 게임을 위한 운동 동작 기반 인터페이스 설계 (Interface Design for Motion-Based Physical Interactive Games)

  • 장원준;길영익;서혜란;성보경;김다인;고일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5-26
    • /
    • 2019
  • 체감형 게임은 현대인의 신체활동을 늘릴 수 있는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감형 게임을 위한 운동 동작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운동 상황에서 사용되는 운동 동작으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달리기 기반 체감형 게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운동성이 내포된 동작을 콘텐츠에 적용함과 동시에 게임 오브젝트를 활용하여 운동 프로그램 형태로 운동 동작을 유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인터페이스는 ICT기술을 적용하여 제작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확장성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다른 종목의 체감형 게임 인터페이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데이터 시각화를 적용한 클라우드 기반 곱셈구구 연습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cloud-based multiplication table practice application using data visualization)

  • 강설주;박판우;배영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285-293
    • /
    • 2022
  • 예상보다 길어진 코로나19 사태는 학생들의 수학 교과 기초학력에 적지 않은 손상을 끼쳤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기초 곱셈 연산 능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곱셈구구 연습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 기반하여 개발하였으며, 학생 개별 맞춤형 지도를 위해 데이터 시각화 기술을 접목시켜 교사의 피드백을 돕고자 하였다. 구글에서 개발한 Flutter framework, Google Cloud, Google Sheets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였다.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72명의 학생들이 본 애플리케이션을 일주일간 곱셈구구 활동에 활용한 결과, 학생들의 곱셈구구 소요 시간이 초기에 비해 28%이상 감소한 가운데,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가 오류없이 정교하게 수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Flutter framework를 통해 진행한 개발 사례가 다른 교육용 학습 애플리케이션 개발로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수학학습에서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교차연습의 효과 (The Effect of Interleaved-practice by the Discriminative-contrast hypothesis in Mathematics)

  • 류지민;박미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99-21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과에서 학습하는 내용이 영역과 유형의 차이에 따라 구획연습과 교차연습의 성취도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통해 수학학습에서의 교차연습의 효과가 '분산-연습 가설'에 의한 것인지 혹은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대부분이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 선행 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중학교 1학년 103명을 구획연습, 교차연습, 먼-구획연습, 먼-교차연습 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4회에 걸쳐 학습활동을 하였고 일주일의 파지간격을 둔 후 최종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영역에서의 유사한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났고, 서로 다른 영역의 다른 유형에서는 교차연습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결과를 통해 교차연습의 효과는 '분산-연습 가설'보다는 '구분-대조 가설'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가 필요한 연구문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