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상생활활동능력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48초

노인여성들의 힐링요가 수련을 통한 신체능력 및 스트레스 수치 변화 (Effects of Healing Yoga Training for Old Women on Physical Ability and Stress Levels)

  • 정선영;김한철;김헌준;박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4
    • /
    • 2016
  • 힐링요가를 수련하는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조성 및 신체능력, 그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건강한 삶의 방향을 긍정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A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B복지관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에 지장이 없는 노인으로 이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자로서 자립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16명을 선정하여 힐링요가수련 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단순무선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로 할당하여 참여하였다. 자료처리는 사후검사 측정값을 서로 비교하는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으로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힐링요가집단에게 12주간의 힐링요가 프로그램을 주3회, 50분씩 총 36회기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조성, 신체능력은 힐링요가집단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수치의 변화인 하위 요인에서 집단 간 통계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힐링요가집단이 사회적 역할수행 및 자기신뢰에서 많은 증가를 보였고, 우울 수면장애, 일반건강 및 생명력 요인에서 통제집단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1-4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 결과, 최종 1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경향은 모두 인지강화를 주목적으로 하되 국내연구는 운동요법 등의 신체적 활동보다 음악치료와 웃음요법 등의 정서적 활동이 병합된 경우가 많은 반면, 국외연구는 정서적 활동보다는 신체적 활동을 병합한 연구가 많았다. 중재 프로그램 효과는 결과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차적 변수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나타났고, 이차적 변수는 신체적 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앉기자세에서 실시한 가상현실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앉기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Sitting Balance Training Program on Ability of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Patients)

  • 이민재;구현모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19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on sitting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 : In the study, 20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 (EG) of 10 patients and control group(CG) of 10 patients. The two groups receive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per day, at a rate of 5 times per week for 6 weeks. The EG was additionally conducted which was performed virtual reality balance training and the CG was conducted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balance training for 30-minutes, once a day, 3 times a week for 6 weeks. Result : The evaluations of this study included: limit of stability(LOS),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mFRT), and modified Barthel Index(MBI). The patien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ir six week training program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OS, mFRT, MBI were foun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both the EG and CG groups(p<.05). Also, LOS, mFRT, MBI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t post-test(p<.05). Conclusion :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virtual reality balance training can improve sitting balance and ADL ability in stroke patients.

Cox의 상호작용이론을 근거로 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n Ability for Daily Life and Depression in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 윤미진;성경미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2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pression among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quasi-experimental design-ba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enrolling 30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utilized, whil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twice weekly for 6 weeks in 12 sessions. ADL and depression were assessed for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Overall functions were assess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in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s well as psychological, emotional function and social function following each session (p<.001). The horticulture program was effective in both ADL ($Z^2=5.65$, p<.001) and depression (t=-5.24, p<.001).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the Cox's interaction model had positive effects for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Therefore, horticultural therapy may be commendably applied to older patients with mild dementia as a nursing intervention.

경추손상 환자를 위한 효능증대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it효s Effect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 황옥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44-555
    • /
    • 1996
  •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it's Effect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o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EEPP)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 for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CSCIP), and invesgated it's effects. The research process of this study was done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as an analysis of the patient's life experience. The second phase was to develop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VTR Tape Program(EEPP) that reflected the life experience of the CSCIPS. EEPP was composed Performance Accomplishment and Vicarious Experience with a home visitation program based on Verbal Persuation, which are all induction modes of efficacy expectation of Bandura. The third phase was an experimental stage.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n AB Single Experimental Design. Research subjects were three CSCIPs (cervical area 5-7).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th June to 22th Oct, 1995.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tion showed great increase self-efficacy score, subject self-care score, all competence of daily living score, and social activitie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n EEPP is an effective home nursing intervention technique for rehabilitation of CSCIPs.

  • PDF

뇌졸중 환자의 균형, 인지, 일상생활 평가의 상관성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the Balance,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강보라;정은송;김재희;하유나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2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BBS, MoCA-K, MBI와의 상관관계를 제시하고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수행능력 평가에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고양시에 소재하는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기준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한 자, 둘째,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MMSE-K 20점 이상인 자, 셋째, 편측무시가 없는 자, 넷째, 하위운동신경 병변이 없고 양하지 및 척추에 정형외과적 질환이 없는 자, 다섯째, 시청각계 이상이 없고 운동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또는 수술을 받지 않은 자, 여섯째, 환자본인이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평가는 재원 중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에 의해 BBS, MoCA-K, MBI를 측정하였으며 균형능력 평가 시 안전을 위하여 한명의 보조자가 동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BBS와 MoCA-K r=.459, BBS와 MBI r=.550, MoCA-K와 MBI r=.565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결론: 본 연구는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BBS, MoCA-K, MBI의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경험과 적응에 관한 현상학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Resilience of Incest Sexual Victims in Adolescence)

  • 천해리;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37-46
    • /
    • 2021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들이 사건 이후 겪게 되는 다양한 심리적 변화와 현실을 그들의 목소리로 전달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과 상담을 통해 삶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현상학적인 접근을 통해서 이해하고 기록하였다.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부모의 정서적인 방치와 가족구성원의 폭력적 행동과 위협, 침묵을 강요하는 과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대한 불신감과 낮은 자존감이 형성 되었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둘째, 성폭력 사건에 의한 고통과 후유증은 사건이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현실부적응과 사회활동 회피를 반복하면서 역할의 갈등을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근친 성폭력의 후유증은 PTSD를 통해 극단적으로 드러났다. PTSD의 경험은 참여자가 정신과에서 처방받은 약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물질에 의존하고 환청과 환각, 망상의 경험으로 외부활동을 더욱 기피하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넷째, 적응 과정을 통한 변화는 사건에 대한 직면과 분리,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이다. 적응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과거의 상처로 인해 표현하지 못한 말과 감정을 표현하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목표를 세우고 앞으로 나아가려고 했다. 현실에서의 극복 경험은 참여자에게 자기존중감과 삶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신뢰하는 자기효능감, 건강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믿음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서 근친 성폭력 트라우마가 새로운 일상의 위기를 통해 재경험되고 각 과정마다 새로운 적응 과정을 반복하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태극권이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유연성, 지각된 건강 상태 및 일상생활활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Effects of Tai-Chi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steoarthritis Patients)

  • 백명화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9-13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Tai-Chi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steoarthritis patients. To evaluate the effect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used for pre and post tes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Method: Fifty-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twenty-seven for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five for control group) and they were from two different senior citizen centers in J city. The experiment period was from April 2002 through August 2002. The experiment group took part in Tai-Chi exercise program for eighteen weeks(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five times a week for fourteen week). The exercise was performed for 50 minutes at every time (15 minutes for warm-up, 30 minutes for Tai-Chi exercise, and 5 minutes for ending). In order to pursue study purpose, the SPSS/WIN 8.0 program was chosen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COVA was employed in examining test hypothesis; t-test and $X^{2}-test$ were used to examine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ul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Score of pa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of Tai-Chi exercise program. Score of flexi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f Tai-Chi exercise program.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f Tai-Chi exercise program. Score of IADL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f Tai-Chi exercise program. Conclusion: As shown in the results, Tai-Chi exercise program can b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osteoarthritis patient to improve pain, flex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PDF

진로적 측면에서 본 독서자본의 개념화 및 구성요소 탐색 : 빅 데이터 분석 활용 (The conceptualization of reading capital and the search for its components from the career perspective: Using Big Data Analysis)

  • 최미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14-426
    • /
    • 2018
  • 본 연구는 진로적 측면으로서 독서자본을 개념화하고 구성요소를 탐색하여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독서관련 다양한 활동을 통해 효과성이 검증된 논문 209편을 대상으로 빅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독서자본의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자본(讀書資本, Reading Capital)은 독서를 통해 체화된 소양, 경험, 태도 등 유 무형 능력이 표출되어 인간을 이해하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이를 실행해 나감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독서역량이란 독서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흥미, 경험, 태도, 능력이 축적이 되어 독서를 지속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힘으로 정의하였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인간의 참된 본성과 전인성의 토대위해 인간을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이를 실천해 나 갈수 있고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을 통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독서자본의 구성요소는 독서흥미, 독서활동, 독서태도, 독서능력을 독서역량으로, 정서지능, 관계성, 자아정체성, 창의성, 적응성, 주도성, 가치관 등을 인문학적 소양으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독서자본의 정의, 구성요소의 탐색 및 정의는 관련 후속연구들 간의 연구 확장에 기초자료로써 그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 운동부 특기자 학생들의 일상 경험 (The Daily Life of University Student Athletes)

  • 김동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59-369
    • /
    • 2018
  • 이 연구는 운동과 학업을 겸하는 대학 운동부 특기자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과정을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학생선수들의 일상을 기술하고 해석하며, 바람직한 인재 상을 정립하는데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학생선수들의 교육에 필요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에 위치한 J대학교 재학 중인 운동부 특기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10]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으로 개념을 도출하고 개념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코딩 패러다임을 구성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에서 120개 개념, 17개 하위범주, 10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로 대학생활동 동기의 맥락적 요소는 "운동참여", "학업참여", 중심현상은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대학생활의 의미"로 보았다. 중재조건은 운동과 학업 병행 속에서 "나의 관계형성", "능력향상"으로 정리하였고, 작용/상호작용전략은 "학업의 중요", "부정의 사고"로 범주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대학생활 되돌아보기", "나만의 정체성", "미래설계"로 범주화하여 운동과 학업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학생선수의 역량 증진을 위한 정책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