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 RI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벽랑공주는 왜 탐라에 왔을까? (Why did the Byeokrang Princess come to Tamra?)

  • 이성국;김정수;이문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27-134
    • /
    • 2023
  • 물(水)의 신(神)인 발타라(跋陀羅, Bhadra: 인도 북부지방 탐몰라주(耽沒羅洲: '몰'자와 '주'자가 탈락되면서 '탐라(耽羅)')존자가 BC 563-483년경에 900명의 아라한(弟子)과 같이 탐라(BC483-AD1105 고려 숙종 때 탐라 왕국이 고려에 한군현이 됨)에 왔다.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신성한 물(신성성(神聖性), Heiligkeit, 4대 원소인 물, 불, 공기, 흙의 하나)을 통한 불교의 전파와 세계에서 가장 큰 나한(한라는 나한이란 뜻: 니한(拏漢):한나(漢拏) 한라산의 한라의 역, 부록: 전주 황방산 서고사(西固寺) 나한전)의 돌(石) 등신불(等身佛)을 찾기 위해서다. 옛부터 제주 사람들은 남녘에서 불어오는 태풍 등을 한라산이 막아준다고 진산(鎭山Truth Mt.)이라고 부르는데, 성불(成佛)한 거대한 나한이 한라산 화산 폭발시에 불(火)에 의해 백록담 바위의 등신불로 굳어버린 모양새다. 오는 날 제주에서 발타라존자의 가장 큰 숨결은 올레길 1번 성산포 시흥리(始興里)에서 26번 구좌면 종달리(終達里) 길이다. 바로 천부경(天符經)의 무시무종(無始無終) "시작은 끝이고(시즉종(始卽終)), 끝이 시작(종즉시(終卽始))"을 타원형 제주 "길(도로(道路)Way)"에서 확실히 보여준다.

고대 한반도 주조철기 열처리 기술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ast Ironware Heat Treatment Technique in Ancient Korea)

  • 최영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168-183
    • /
    • 2020
  • 기원전 5세기부터 중국에서는 주조철기의 사용을 늘리기 위해 주조철기 특유의 취성(脆 性)을 제거하려 노력해 왔다. 그중 한 가지는 주조철기를 생산한 다음 별도의 가마에서 풀림열처리를 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조직 내 탄소를 응집하거나 제거해, 주조철기의 취성을 제거하고 단조(鍛造)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풀림열처리 기술의 실체를 명확히 하기 위해 현재의 제철 기술 및 중국·일본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출토 고대 주조철기 가운데, 풀림열처리 기술이 확인된 가단주철제 주조철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이전까지 가단주철제 주조철기는 모두 외부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일본 이시가미신궁에 소장 중인 칠지도가 한반도에서 제작된 것으로 본다면, 4세기에 들어서야 백제에서는 풀림열처리 기술을 확보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당시에는 괴련철을 중심으로 철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괴련철을 정련한 괴련강을 소재로 다량의 단조철기가 제작되었다. 또한 기존의 주조철기 중 주조괭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조철기가 단조철기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삼국시대까지 풀림열처리 기술은 많이 사용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 철 생산 및 유통의 지역 거점인 장안리 유적에서 확인될 정도로 기술이 확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접착제로서의 옻; 역사성과 현대적 활용 (Lacquer as Adhesive : Its Historical Value and Modern Utilization)

  • 장성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114-125
    • /
    • 2016
  • 옻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천연수지이다. 옻은 주로 옻칠 공예품의 재료로서 방수, 방충, 방부 등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있어 도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옻은 중국과 일본의 칠기유물 출토현황을 근거로 신석기시대에 출현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칠기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옻의 초기 용도는 접착제로 추정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옻이 역청, 교, 난백과 함께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평택 대추리 출토 옹관편의 복원에 칠과 대마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어 원삼국시대에 이미 접착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후 파손된 도자기의 접합 복원에 칠을 사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그 위에 금분 등으로 장식하는 사례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현재도 옻칠 개금, 나전칠기, 건축물 보수공사 등에서 옻은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문화재 보존처리에서 접착제의 주요 선택 기준의 하나인 가역성의 문제로 옻은 문화재 복원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고대부터 접착제로 사용되어 온 전통재료로서 옻은 강한 접착강도와 내구성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합성수지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존재와 환경에 의한 열화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어 천연수지인 옻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옻과 교의 배합으로 제조한 접착제를 통해 화학적 변용과 활용의 가능성이 확인된 바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옻을 현대적 도료 및 기능성 재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추후 옻의 분자수준의 화학적 연구가 진전되어 기능성 재료로 실용화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보물 제634호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검증 연구: 디자인과 문화 상징요소를 중심으로 (Verification Study on the Treasure #634 of Silla Face-Inlaid Glass Bea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ultural Symbolic Elements)

  • 최미숙;이효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4호
    • /
    • pp.71-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슬 문양 디자인의 상징성과 의미 및 신라문화와의 연관성, 유리구슬 제조의 제반 여건을 조사하여 예술성과 기술성이 뛰어난 신라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신라 자체 제작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분석 이외에 고문헌과 신화, 유리 유물, 유리 및 금속의 생산기술, 실크로드 교차로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산문화 유물, 다른 상감 유리구슬의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마한, 부여, 신라인은 구슬을 보배로 삼고 장신구에 애용하였는데, 구슬 속의 인면상 상투와 금관장식, 새와 꽃나무의 모든 디자인 요소가 김알지, 김수로, 박혁거세, 주몽 등 위인들의 난생설화, 북방의 새 및 신수 숭상 등과 밀접하였고, 디자인 요소와 배치가 신라의 다른 유물에서도 동일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슬과 인면상의 기원은 홍산문화였으며 하가점하층문화의 고조선 북표에서는 구슬용 석범이 발견되었다. 또 경주 식리총의 상감 유리구슬과 일본 토간모리 고분의 인면 상감 유리구슬의 출토는 신라 자체 제작설을 확증시켜주는 것이다. 백제인이 5세기 일본에 유리구슬 제작소를 둔 사실은 신라인이 인도네시아 자바에도 제작소를 두었음을 의미한다. 신라와 밀접한 관계였던 인도네시아 자바는 신라의 해상실크로드 교차로, 원석 및 노동력 제공지이고 유리구슬의 소비 지역이나 기원지는 아니었다. 이에 구슬에 대한 신화와 전통을 보유하고 머리에 상투와 금관을 착용하였으며, 금속 및 상감 기술 등 난이도 높은 기술을 보유했던 신라가 자체 제작한 것이 틀림없다.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웰빙의식과 외모관리에 따른 한방화장품 태도 연구 (The Effe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 이유리;정혜정
    • 복식
    • /
    • 제62권2호
    • /
    • pp.87-1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ceptual constru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for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and a total of 500 respons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CFA and the reliability test on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on each of the variant assessments. 2) In regards to the well-being consciousness,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ighly tended to perceive well-being as a benefit to the physical health and an eco-friendly lifestyle respectively. In the area of appearance management,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ad similar patterns that showed high scores of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showed favorable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 products. 3) The consumers' well-being consciousness reveal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oth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4) As a result of MGA, the well-being consciousness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Korean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the appearance management variable when compared to the Japanese respondents. On the other hand, appearance management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Japanes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well-being consciousness when compared to the Korean respon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herbal cosmetics are crucial when targeting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Portugal굴(Crassostrea angulata) 및 Olympia굴(Ostrea Iurida)의 이식 성장에 관한 연구 (GROWTH OF TRANSPLANTED PORTUGAL AND OLYMPIA OYSTER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 배경만;배평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2
    • /
    • 1972
  • 본 시험은 일본 Miyagi Ken 굴 연구소에서 1969년 채묘된 O. lurida 및 C. angulata를 항공편으로 우송하여 1970년 1월 20일부터 12월까지 경남 거제군 하청면 연구리 옥계지선에서 수하식으로 성육시켜 조사한 것이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O. lurida는 평균 각고 36.4mm 각장 29,5mm인 둥근모양으로서 소형굴로 자랐고, C. angulata는 각고 87.4mm, 각장 52.3mm인 타원형으로서 대형굴 형태로 성장했다. 2. O. lurida, C. angulata는 다같이 수온이 $16^{\circ}C$ 이상일 때 6, 7월시에 성장도가 좋았으며, 이때의 비중은 $1.01717\~1.02368$ 사이였다. 3. 각고 각장간의 상대적인 변화는 O. lurida는 년간 큰 차가 없었으나, C. angulata는 7월에서부터 현저한 차를 이루어 11월에 35.8mm로 그 차가 가장 컸다. 4. 치사율은 O. lurida는 $35.2\%$였으며, C. angulata는 $21.7\%$를 나타냈다.

  • PDF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A Short Record for the New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 황규진;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8-403
    • /
    • 2020
  •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 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mm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고적 암치리 지석묘를 통해 본 무묘실 지석묘의 성격 (Characteristic features of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Identifiable through those found in Amchi-ri, Gochang-gun)

  • 김선기
    • 고문화
    • /
    • 56호
    • /
    • pp.29-58
    • /
    • 2000
  • 호남지방에는 무묘실 지석묘들이 상당수가 발굴되고 있다. 이들 형식을 대체적으로 위석식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대형의 상석 아래에 드물게 지석을 배치하는 소위 제단이나, 거석기념물적인 성격으로 보는 형태의 것은 무묘실 지석묘로 구분하여 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무묘실 지석묘는 상석 대형이라는 점과 지석의 수는 4매를 기본으로 하고, 상석이 큰 경우에는 7매의 지석을 고이는 경우도 있다. 지석의 높이는 평균 45cm로 높거나 주형의 형태를 보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창 암치리에서 제단이나 거석기념물적인 성격으로 볼 수 있는 대형의 상석을 갖고 주변에 6개와 중앙에 1개의 지석을 고인 지석묘가 발굴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상석 아래 부석의 상면에서는 부장품적인 성격을 갖는 홍도편 1점, 무문토기 2개체분, 조잡한 형태의 석부 1점이 출토되어 이 지석묘는 묘장적 성격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호남지방에서 이러한 무묘실 지석묘에서 유물이 출토되는 예는 약 $50\%$에 달한다. 그리고 묘실이 있는 경우에도 많은 지석묘에서 유물이 출토되지 않는 예가 있어서 무묘실 지석묘를 묘장적 성격으로 보지 않는 것은 속단이 아닌가 생각된다. 무묘실 지석묘를 묘장적 성격으로 보았을 때 과연 어때한 장법을 사용했는지가 제일 큰 문제가 된다. 그러나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자료는 거의 없다. 단지 일본 지석묘에서 목관의 사용 예나 우리 지석묘에 있어서 관대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예 등에서 목관의 사용을 추정해 볼 수 있지 않는가 생각된다. 상석 아래의 조잡한 부석시설은 목관을 안장한 위에 흙으로 덮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이 외에 이차장이나 화장법의 사용도 상정해 볼 수 있다. 고창 운곡리 지석묘 상석 아래에서 근대의 옹기 안에 어린이 뼈가 담겨 놓여 있었던 예는 하나의 참고자료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러한 장법에 관한 문제는 어디까지나 추론에 지나지 않으며, 앞으로 많은 자료가 축적되면 다시 검토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하면서 호남지방에서 발견되는 무묘실 지석묘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제기를 해 보았다.

  • PDF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 -방한 미국인, 일본인, 중국인의 비교 연구- (Attitude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 A Comparison of American, Japanese, and Chinese Who Visited Korea -)

  • 조윤진;이유리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74-86
    • /
    • 2007
  •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fashion cultural products, targeting foreigners from diverse cultures. Its purpose was to identify foreigners'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which design sources were derived from the Korean culture. Th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 was targeted at Americans, Chinese and Japanese who visited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back-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for completion by the test subjects. Out of a total of 424 surveys returned, 393 were deemed usable. As a result of data analyses using SPSS 12.0 and AMOS 5.0, we found that: First, two attitude factors, the authenticity and aesthetic elements,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 to purchase. However, the last attitude factor, care and carriage convenienc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ributes regarded as important when purchasing fashion cultural product between people from the U.S. and Japan. However, people from China showed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compared to the U.S. and Japan. Third, we found that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were different among respondents of three countries. It was revealed that the Chinese liked Kore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most, followed by Americans and Japanes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nvestigating foreigners' attitudes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reaching out to a broader market abroad would contribute to help building an market entry planning.

백록고사리(미늘창고사리과): 한국 미기록종 (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 (Tectariaceae), a newly recorded taxon from Korea)

  • 신혜우;김명준;오충근;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6-321
    • /
    • 2017
  • 한국에 백록고사리[Tectaria fuscipes (Wall. ex Bedd.) C. Chr.]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이 종은 한국에서 보고된 바 없는 미늘창고사리과(Tectariaceae Panigrahi)의 미늘창고사리속(Tectaria Cav.)에 속한다. 백록고사리는 거의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올라가는 지하경, 이형엽 또는 반이형협, 유리맥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종은 제주도 서귀포시 한라산 남서부 사면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의 남부지역과 대만에서도 자생한다. 일본에는 미늘창고사리속 식물 8종이 보고되어 있으나 백록고사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제주도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록고사리의 분포 지역 중 가장 최북동 지역이며, 그 서식처는 작은 수직동굴 내부로 한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