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웰빙의식과 외모관리에 따른 한방화장품 태도 연구

  • Lee, Yu-Ri (Dept. of Clothing and Textile/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ung, Hye-J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정혜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1.11.24
  • Accepted : 2012.01.29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ceptual constru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for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and a total of 500 respons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CFA and the reliability test on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on each of the variant assessments. 2) In regards to the well-being consciousness,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ighly tended to perceive well-being as a benefit to the physical health and an eco-friendly lifestyle respectively. In the area of appearance management, Korean and Japanese respondents had similar patterns that showed high scores of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Both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showed favorable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 products. 3) The consumers' well-being consciousness reveale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oth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4) As a result of MGA, the well-being consciousness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Korean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the appearance management variable when compared to the Japanese respondents. On the other hand, appearance management had more positive impacts on Japanes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than well-being consciousness when compared to the Korean respon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herbal cosmetics are crucial when targeting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Keywords

References

  1. 이승민 (2008), 한방화장품 추구혜택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2), pp. 235-246.
  2. 이형탁, 배주영 (2008), 웰빙 제품에 대한 소비 만족이 소비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9(2), pp. 161-190.
  3. "화장품시장, 한국은 68억 달러로 12위", 자료 검색일 2010. 4. 28,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76271
  4. 서정희 (2003), 구매충동, 자아존중감 및 강박구매에 관한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비교 연구, 광고연구, 59 (여름), pp. 87-109.
  5. 자료검색일 2010. 8. 23, http://en.wikipedia.org
  6. 유현정 (2006), 웰빙트랜드에 대한 소비자의식 및 웰빙 행동,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pp. 261-274.
  7.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pp.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8. 김상일 (2004), 웰빙 열풍을 읽는 3개의 코드, LG주간경제, 767호, pp. 19-24.
  9. 전향란 (2007), 식생활 관련 웰빙지향소비행동: 기혼여성소비자의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민정, 김병숙 (2005), 웰빙(well-being)에 대한 척도 개발과 웰빙지향 소비행동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9(4), pp. 63-82.
  11. 한영호 (2004), 현대소비사회에서 웰빙트랜드의 개념과 소비성향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효원, 김용숙 (2005), 20-30대 여성의 웰빙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자연주의 화장품 구매행동, 복식, 55(6), pp. 93-106.
  13. Rudd, N. A. & Lennon, S. J. (2000),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in college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pp. 152-162. https://doi.org/10.1177/0887302X0001800304
  14. Kaiser, S. B. (1997),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p. 5.
  15. 임희경, 최인려 (2010), 중노년층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 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피부 관리 효과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4), pp. 670-686.
  16. 강영숙 (2007), 대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직업선택시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백인선 (2007), 직장인의 외모관리에 대한 사회비교가 외모정보활용․외모관리 및 패션상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경미 (2005), 여성들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한방화장품 구매속성, 한국미용학회지, 11(3), pp. 265-271.
  19. 김미성 (2004), 국내한방화장품의 성장 및 방문판매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미선 (2010), 발효화장품의 인식 및 한방화장품과의 만족도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강은지, 구자명 (2008), 국내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의 이미지 연구: 설화수와 더 후를 중심으로,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4(2), pp. 169-181.
  22. 김주덕 (2007), 한방화장품의 현황 및 전망, 한국패션뷰티학회지, 5(1), pp. 1-7.
  23. 아모레 퍼시픽 2009 연간보고서, 자료 검색일 2010. 7. 28, http://www.amorepacific.com/invest/data_annual.jsp
  24. 김계숙, 이난희 (2008), 도시여성의 한방화장품 사용에 대한 만족도와 구매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4), pp. 1443-1459.
  25. 서인숙, 김애경, 박영은 (2009), 여성 연령에 따른 한방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7(4), pp. 137-145.
  26. 류영희, 김주덕 (2007), 한방화장품의 구매행태에 관한 분석: 수도권 거주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13(2), pp. 529-546.
  27.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2010), 소비자행동론 (제3판), 서울: 경문사.
  28.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4), pp. 99-108.
  29. 스즈키 사토코 (2010), 한방화장품에 대한 일본 소비자들의 태도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Miracle, G. E. & Bang, H. K (2002), Achieving reliable and valid cross-cultural research results in content analysis, Advance in International Marketing, 12, pp. 9-23. https://doi.org/10.1016/S1474-7979(02)12017-5
  31. 김현정 (2004),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 및 사용형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3. 이학식, 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AMOS 7.0, 경기: 법문사.
  34.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l.
  35. Steenkamp, J. E. M. & Baumgartner, H. (1998), Assessing measurement invariance in cross national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5(1), pp. 78-107. https://doi.org/10.1086/209528
  36. 서정희, 이승희 (2001),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소비가 치유형과 구매충동차원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광고연구, 51(여름), pp. 71-93.

Cited by

  1. Fashion Leadership and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Orientation vol.23, pp.1,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