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cquer as Adhesive : Its Historical Value and Modern Utilization

접착제로서의 옻; 역사성과 현대적 활용

  • Jang, Sung Yo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0.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Lacque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natural resin in East Asia since Neolithic Age. As a major ingredient of lacquerware, lacquer is waterproof, insect-proof and rot-proof to be durable and anti-abrasion, generally utilized for mainly painting purpose. According to lacquerware excavated from several sites of Japan and China, lacquerware seems to appear in Neolithic Ag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xcavation research in Korea, lacquerwares are found after the Bronze Age. The initial purpose of lacquer is estimated to be adhesive, regarding the literatures mentioning bitumen(Yeoksceong ), animal glue(Kyeo) and egg alumen(Nanbaek). Especially piece of jar coffin unearthed in Pyeongtaek Daechu-ri site had trace of restoration by lacquer and hemp as an evidence of lacquer for adhesion in Pre-Three Kingdoms period. Since then a trend to restore the broken ceramics with lacquer and decorate with golden foil lasted especially in Joseon Dynasty. In the field of gold plated lacquer method, mother-of-pearl inlaying technique for lacquerware and restoration of buildings, lacquer is still used as adhesive. Due to matter of reversibility lacquer is being avoid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Lacquer as a traditional material for adhesive since ancient times, however, has advantage in adhesion strength and durability. Because synthetic resin adhesive has problem of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ging over time, lacquer receives attention recently. On the contrary, by combination adhesive from mixing lacquer and animal glue, already proved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and chemical modification. A research to utilize lacquer as modern paint or functional material is also conducted continuously also in China and Japan. To put traditional material into practical use and modernize, chemical research from the molecular level of the lacquer is necessary in the near future.

옻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인 천연수지이다. 옻은 주로 옻칠 공예품의 재료로서 방수, 방충, 방부 등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있어 도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옻은 중국과 일본의 칠기유물 출토현황을 근거로 신석기시대에 출현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칠기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옻의 초기 용도는 접착제로 추정되고 있으며 문헌을 통해 옻이 역청, 교, 난백과 함께 접착제로 사용되어 왔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평택 대추리 출토 옹관편의 복원에 칠과 대마가 사용된 것으로 분석되어 원삼국시대에 이미 접착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후 파손된 도자기의 접합 복원에 칠을 사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그 위에 금분 등으로 장식하는 사례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현재도 옻칠 개금, 나전칠기, 건축물 보수공사 등에서 옻은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문화재 보존처리에서 접착제의 주요 선택 기준의 하나인 가역성의 문제로 옻은 문화재 복원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고대부터 접착제로 사용되어 온 전통재료로서 옻은 강한 접착강도와 내구성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합성수지 접착제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존재와 환경에 의한 열화문제 등이 대두되고 있어 천연수지인 옻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옻과 교의 배합으로 제조한 접착제를 통해 화학적 변용과 활용의 가능성이 확인된 바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옻을 현대적 도료 및 기능성 재료로 활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추후 옻의 분자수준의 화학적 연구가 진전되어 기능성 재료로 실용화하고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옻과 교의 접착특성 연구, pp.62-64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나전장, 민속원, pp.72-123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칠장, 민속원, pp. 58-60
  4. 국립역사민속박물관, 1994, 漆文化, pp.9-10, 70-71
  5. 권상오, 1997, 천연칠의 매력과 표현기법, 조형사, p.40
  6. 김은경.안선아.장성윤, 2015, 우루시올과 아교를 배합한 천연 접착제의 투명성 및 접착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2, pp.115-123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4
  7. 김은경.정세리.유재은, 2011, 상온저습환경에서의 옻의 건조를 위한 옻과 교의 배합 분석 연구, 보존과학연구지, 32, pp.38-52
  8. 김태희.이경민.권기록.최성모, 2002, 옻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약침학회학회지, 5-1, pp.159-167
  9. 김현중.이병후, 2002, 천연도료 개발 동향 -옻칠, 황칠, 캐슈, 천연도료를 중심으로-, 공업화학 전망, 5-5, pp.35-43
  10. 변성문.황현성, 2008, 청백자인각화훼문은구완(靑白磁印刻花卉文銀鉤盌)과 백자은구대접(白磁銀鉤大楪)의 금속 테두리 재질 성분 및 제작방법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9, pp.1-15
  11. 송홍근.한창훈, 2001, 정제옻칠의 생산기술에 관한 연구 I, 목재공학, 29
  12. 양필승, 2014, 陶磁器 修理復元 事例 硏究, .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13
  13. 영주시, 2010, 聖穴寺 羅漢殿 해체수리공사보고서, pp.140-141
  14. 윤형준, 2011, 광경화성 산업용 옻칠도료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명천.박명철.서인선, 2002, 최근 접착제 기술 현황, 공업화학 전망, 5-5, pp.1-9
  16. 장성윤.조주혜, 2016, 보존처리 접착제의 유해성, 문화재 보존처리와 접착제 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1-142
  17. 정세리.김은경.유재은, 2011, 옻을 활용한 토기 복원용 천연 접착재료의 특성연구, 접착 및 계면, 12, pp.1-6
  18. 조남철.김수철.김우현, 2010, 평택 대추리 유적 출토 원삼국시대 대형옹(甕)에 사용된 접착재료 연구, 보존과학회지, 26-4, pp.371-376
  19.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平澤 大秋里.金角里遺蹟, 국방부
  20. 차순철, 2008, 韓國의 漆生産과 變化, 慶州文化硏究, 10, pp.141-158
  21. 한호규, 2015, 옻칠화학, 화학세계, 04, pp.42-43
  22. 工藤雄一郎.四柳嘉章, 2015, 石川県三引遺跡および福井県鳥浜貝塚出土の縄文時代漆塗櫛, 植生史研究, pp.55-58
  23. 路甬袢, 2004, 中国传统工艺全集-漆艺, pp.59-60
  24. 鈴木三男, ウルシとはどんな植物か?, 工藤雄一郎 / 国立歷史民俗博物館 編, 縄文人の植物利用, 新泉社, pp.94-95
  25. 柳澤誠一, 2012, 接着剤技術の系統化調査. 国立科学博物館 技術の系統化調査報告, 第17集, pp.383-391
  26. 李萍.张飞龙, 2010, 中国生漆科学技术发展30年, 中国生漆, 29-2, pp.1-5
  27. 千葉敏朗, 2014, 下宅部遺跡から見た縄文時代の漆工技術, 国立歷史民俗博物館 硏究報告 第187集-縄文時代の人と植物の関係史, pp.217-240, 243-244
  28. Buys, S., Oakley, V., 1993,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eramics, Butterworth Heinemann, pp.106-109
  29. Caterina Roma, 2013, 'Kintsugi', Ceramic Review 260(March/April), pp.62-65
  30. Down, J., 2015, Adhesives, Canadian Conservation Institution, pp.1-2
  31. Miyakoshi, T., Kobuchi, H., Niimura, N., Yoshihiro, Y., 1991, 'Synthesis of Urushiols with Pentadecatrienyl Side Chain, Two Constituents of the Sap of a Lac Tree, Rhus Vernicifera', Bull. Chem. Soc. Jpn 64, pp.2560-2562 https://doi.org/10.1246/bcsj.64.2560
  32. Rong Ru, Takashi Yoshida, Tetsuo Miyakoshi, 2013, 'Oriental Lacquer: A Natural Polymer', Polymer Reviews 53, p.178, pp.154-156, 167-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