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의 학교도서관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1초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과 특성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ve Project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in Japan)

  • 윤유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9-333
    • /
    • 2013
  •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타 관종, 그 중에서도 특히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역할의 강화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협력형 운영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적용가능성을 고민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화 사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일본학교도서관의 인적 시설적 현실을 살펴보고, 관련정책을 정리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협력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정부적 차원의 협력사업과 지자체차원의 협력 사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협력사업의 특징을 정리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에 대해 고민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Library Law of Korea and Japan)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51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제정의 배경과 경과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법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학교도서관법은 정부입법이 아닌 의원입법으로 제정되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 아닌 NGO 활동이 학교도서관법 제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학교도서관법 구성요소 중 공통되는 요소는 목적, 정의, 국가의 책무, 설치, 업무, 인적자원, 협력망, 교육 등이다. 학교도서관 업무는 한국의 경우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고, 일본은 도서관자료의 수집, 정리와 여러 가지 행사 개최 등 학교도서관의 기본적인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은 한국의 경우 사서교사, 실기교사, 사서 중에서 아무나 둘 수 있도록 하고 의무규정이 아니라 임의규정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일본은 사서교사와 학교사서로 구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은 한국은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일본은 시설과 자료에 대한 규정이 없다. 학교도서관의 교육은 한국의 경우 독서교육과 정보이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포함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일본은 도서관 이용지도 만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다.

일본의 독서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의 의미 - 학생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 (The Meanings of School Libraries in Japanese Reading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Students)

  • 윤유라;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7-20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독서교육에 있어 학교도서관이 갖는 의미를 정책적이고 제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일본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주목하면서 그들의 관점에서 일본의 학교도서관을 기반으로 한 독서교육 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접근하면서, 학교도서관을 명실상부한 독서교육의 주체로 만들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조사와 관련자들과의 심층면담, 그리고 일본의 수도권에 위치한 5개의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헌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anifesto)

  • 변우열;송기호;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3-92
    • /
    • 2014
  •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방침이나 규범을 열거한 규칙이나 법칙이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해 본 결과 IFLA/UNESCO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임무,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 목적, 직원, 운영 및 관리, 선언의 구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산 확보와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있다. IASL 학교도서관 선언은 학교도서관의 기능, 자료, 시설, 인적자원, 정보활용능력, 정부 및 공공단체의 지원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정보활용능력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학교도서관의 이념, 기능, 직원, 자료, 시설, 운영 등을 구성요소로 하고 있는데, 학교도서관의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IFLA/UNESCO, IASL, 일본의 학교도서관 헌장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 헌장은 선진국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여 교육 영역을 별도의 항목으로 하고 학교도서관의 임무, 시설, 인적자원, 교육, 예산, 운영 및 관리, 헌장 구현을 위한 정부의 책임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 이원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1-136
    • /
    • 2011
  • 90년대는 일본 학생들의 문자이탈 현상 및 그에 따른 독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독서의 위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전환점으로 삼아 학교도서관 및 관련 기관들은 관련 법률을 제정 개정 하고, 학교도서관 및 독서관련 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린이 독서활동의 환경 정비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된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독서환경 정비를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정리함으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거시적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고한다.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제도 (The Amend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y law and The School Librarianship in Japan)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5-118
    • /
    • 2004
  • 1997년, 일본 학교도서관법이 개정됨으로써 1953년 법 제정이래 계속 문제시되었던 사서교사배치가 2003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완료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의 사서교사는 일반교사의 겸임에 지나지 않으므로 학교도서관의 활성화에 공헌해온 학교사서와의 복수직종 병치로 직무분담, 협력방안 등이 현안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 학교도서관법의 개정내용과 개정 이후의 문제점, 학교도서관직원으로서 사서교사와 학교사서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새로운 학교도서관전문직원제도로서 학교사서의 법제화, 전임사서교사제, 도서관과 교사, 미디어 스페셜리스트의 가능성 등을 고찰하였다.

일본의 학교도서관 발전에 미치는 문고운동의 영향 (The Impact of the Bunko Movement on School Library in Japan)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5-126
    • /
    • 2005
  • 본 논문은 일본사회의 어린이 독서운동의 핵심인 문고운동을 고찰하고, 그것이 학교도서관에 미친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어린이 독서운동과 학교도서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내용을 연구하였다. 하나는 일본의 정부가 주도하는 학교도서관, 어린이 독서활동과 관련된 정책이고 다른 하나는 시민이 주도한 문고운동이다. 문고운동은 1960년대에 어린이 독서운동으로 시작하여 공공도서관 설립운동으로 발전하였고, 1990년대에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운동에 참가하였다. 이 두 내용은 학교도서관을 교수-학습센터로서 보다 주로 어린이의 독서환경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학교도서관을 독서시설로 이해하는 경향은 교과과정의 전개를 지원한다는 학교도서관 전문성의 확립을 저해하고 있다.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5
    • /
    • 2012
  •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도서관협회 도서관학 교수요목(1)

  • 나성실
    • 도서관문화
    • /
    • 제19권4호
    • /
    • pp.27-30
    • /
    • 1978
  • 이 기사는 일본도서관협회 도서관학교육부회 ‘도서관학교수요목’ 작성위원회(위원장:강전온)의 대학용 도서관학교수요목이다. 이것은 1975년에 완성하여 1977년에 책자로 발간한 것을 전문학교 교육과정연구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입수하였는데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서 소개하려는 것이다. 우선 이 교수요목작성의 의의 및 경위와 ‘도서관학개론’과 ‘도서관사’의 요목을 소개한다.

  • PDF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변천 (The Historical Chang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Japanese School Libraries)

  • 김소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1-219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의 학교도서관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역사적 변천을 통해 형성된 최근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연구,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간행물, 학습지도요령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은 1940년대 후반 이후 도서관 이용지도의 도입기, 1950년대 후반 이후 지도방법의 모색기, 1980년대 이후 정보리터러시교육의 확립기, 2000년대 이후 탐구학습으로의 확대기를 거쳐 발전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