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화 표현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전자해도 해안선 정보의 일반화 평가 방안 연구

  • Hwang, Seon-Pil;O, Se-Ung;Sim, 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38-140
    • /
    • 2014
  • 전자해도는 기존 종이해도로 표현하던 해안선, 등심선, 수심, 항로표지 등의 정보를 디지털화한 것으로 기존 종이해도 정보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해도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일반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일관된 기준과 자동화된 작업 방식 적용의 어려움으로 일반화 수준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해도로 제작된 여러 정보 중 해안선을 대상으로 균일한 수준으로 일반화되었는지 평가하는 전자해도 일반화 평가 방안을 연구하였다. 세부 내용으로는 일반화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여 전자해도에 가장 최적화된 알고리즘 및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Sixth Graders' Recognition and Think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s - A Case Study with Geometric Growing Patterns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 기하 패턴 탐구 상황에서의 사례연구 -)

  • Choi, Ji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4 no.2
    • /
    • pp.205-225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how two sixth graders recognized, generalized, and represented functional relationships in exploring geometric growing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at first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solve the given problem using the picture in it, but later attempted to generalize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in exploring subsequent items. The students also represented the patterns with their own methods, which in turn had an impact on the process of generalizing and applying the patterns to a related context.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includes issues and implications on how to foster functional thinking ability at the elementary school.

  • PDF

An Algorithm for Constructing On-line and Concurrently the Generalized Suffix Tree (일반화된 접미사 트리의 온라인 동반 생성 알고리즘)

  • Na, Joong 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96-998
    • /
    • 2009
  • 접미사 트리는 주어진 하나의 문자열의 모든 접미사를 표현하는 트리로, 문자열 처리, 압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접미사 트리는 문자열 집합에 대한 자료구조로 확장될 수 있는데, 이를 일반화된 접미사 트리라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된 접미사 트리를 동반적이면서 온라인으로 생성하는 문제를 다룬다. 기존의 생성 알고리즘은 정방향의 문자열이 아닌 역방향의 문자열들에 대한 일반화된 접미사 트리를 생성하여, 부자연스럽다. 본 논문에서는 정방향 문자열들의 일반화된 접미사 트리를 동반적이면서 온라인으로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Design of Instruction Helping 8th Grade Students Discover the Power Laws and its Application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지수법칙 발견을 위한 교수 설계 및 적용)

  • Kang, Jeong-G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7 no.2
    • /
    • pp.171-189
    • /
    • 2017
  • By designing and applying the lesson helping to discover the power laws,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lass. To do this, we designed a discovery lesson on the power laws and applied to 54 8th grade students. As results, we could observe the overproduction of monotonous laws, tendency to vary the type of development and increase error to students without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various errors. All participants failed to express the generalization of $a^m{\div}a^n$ and some participants expressed an incomplete generalization using variables partially for the base or power. We could also observe an error of limited generality or a representation error which did not use the equal sign or variables. In the survey of students, there were two contradictory positions to appeal to the enjoyment of the creation and to talk about the difficulty of creation. Based on such results, we discussed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relating to the discovery of power laws.

Sum-of-Basis-Functions Model As a Generalized Voice Source Model (일반화된 음원 모델로서 기저함수합계 모델)

  • 홍준모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55-6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음원을 모델링하기 위한 새로운 음원 모델로서 기저함수합계 모델을 제안하고 그 모델의 변수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존 모델들이 다양한 음원신호를 표현하는데 부족함이 많았던데 비해 기저함수합계 모델은 다양한 음원신호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ML 이라는 통일된 추정 방법을 통해 모델의 변수들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기저함수합계 모델은 기존의 모델들을 포함하는 일반화된 음원 모델이 됨을 보인다.

  • PDF

Generalization and Symbol Expression through Pattern Research - Focusing on Pictorial/Geometric Pattern - (패턴탐구를 통한 일반화와 기호표현 -시각적 패턴을 중심으로-)

  • Kang, Hyun-Yyoung
    • School Mathematics
    • /
    • v.9 no.2
    • /
    • pp.313-326
    • /
    • 2007
  • Recently in algebra curriculum, to recognizes and explains general nile expressing patterns is presented as the one alternative and is emphasized. In the seventh School Mathematic Curriculum regarding 'regularity and func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guiding pattern activity of various form. But difficulty and problem of students are pointing in study for learning through pattern activity. In this article, emphasizes generalization process through research activity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that is introduced much o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 curriculum and investigates various approach and strategy of student's thinking, state of symbolization in generalization process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And discusses generalization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difficulty of symbolization and suggested several proposals for research activity of pictorial/geometric pattern.

  • PDF

Evaluating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Generalization Performance using Cross and Blind Dataset Assessment (기계독해 데이터셋의 교차 평가 및 블라인드 평가를 통한 한국어 기계독해의 일반화 성능 평가)

  • Lim, Joon-Ho;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13-218
    • /
    • 2019
  • 기계독해는 자연어로 표현된 질문과 단락이 주어졌을 때, 해당 단락 내에 표현된 정답을 찾는 태스크이다. 최근 기계독해 태스크도 다른 자연어처리 태스크와 유사하게 BERT, XLNet, RoBERTa와 같이 사전에 학습한 언어모델을 이용하고 질문과 단락이 입력되었을 경우 정답의 경계를 추가 학습(fine-tuning)하는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KorQuAD v1.0 데이터셋에서 학습 및 평가하였을 경우 94% F1 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최고 수준의 기계독해 기술이 학습셋과 유사한 평가셋이 아닌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 쌍에 대해서 가지는 일반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로 한국어에 대해서 공개된 KorQuAD v1.0 데이터셋과 NIA v2017 데이터셋, 그리고 엑소브레인 과제에서 구축한 엑소브레인 v2018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데이터셋 간의 교차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차 평가결과, 각 데이터셋의 정답의 길이, 질문과 단락 사이의 오버랩 비율과 같은 데이터셋 통계와 일반화 성능이 서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KorBERT 사전 학습 언어모델과 학습 가능한 기계독해 데이터 셋 21만 건 전체를 이용하여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에 대해 블라인드 평가셋 평가를 수행하였다. 블라인드 평가로 일반분야에서 학습한 기계독해 모델의 법률분야 평가셋에서의 일반화 성능을 평가하고, 정답 단락을 읽고 질문을 생성하지 않고 질문을 먼저 생성한 후 정답 단락을 검색한 평가셋에서의 기계독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블라인드 평가 결과,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지 않은 기계독해 모델 대비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모델이 큰 폭의 일반화 성능을 보였으나, 정답의 길이가 길고 질문과 단락 사이 어휘 오버랩 비율이 낮은 평가셋에서는 아직 80%이하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 기계 독해 태스크는 특성 상 질문과 정답 사이의 어휘 오버랩 및 정답의 길이에 따라 난이도 및 일반화 성능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일반적인 질문과 단락을 대상으로 하는 기계독해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평가셋에서 일반화 평가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olution Strategies of Generalizing Geometric Patterns (초등학교 4,5,6학년 영재학급 학생의 패턴 일반화를 위한 해결 전략 비교)

  • Choi, Byoung Hoon;Pang, Jeong Suk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4
    • /
    • pp.619-636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generated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Specifically, this study probed how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might generalize geometric patterns and represent such general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0 students from gifted classes of on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n the question of the launch stage, students used a lot of recursive strategies that built mainly on a few specific numbers in the given pattern in order to decide the number of successive differences. On the question of the towards a working generalization stage, however, upper graders tend to use a contextual strategy of looking for a pattern or making an equation based on the given information. The more difficult task, more students used recursive strategies or concrete strategies such as drawing or skip-counting. On the question of the towards an explicit generalization stage, students tended to describe patterns linguistically. However, upper graders used more frequently algebraic representations (symbols or formulas) than lower graders did. This tendency was consistent with regard to the question of the towards a justification stage. This result implies that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se similar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generalizing a geometric pattern but upper graders prefer to use algebraic representations to demonstrate their thinking process more concisely. As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es students use to generalize a geometric pattern, it can provoke discussion on what kinds of prompts may be useful to promote a generalization ability of gifted students and what sorts of teaching strategies are possible to move from linguistic representations to algebraic representations.

  • PDF

Mining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Using Fuzzy Concept Hierarchy (퍼지 개념 계층을 도입한 일반화된 연관 규칙 마이닝)

  • 손봉기;김동호;이건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4-86
    • /
    • 2000
  • 연관 규칙 마이닝 과정에 참조되는 일반 개념 계층은 개념간의 명확한 관계만을 표현한다. 실제로는 개념 사이의 관계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개념간의 애매한 관계까지 반영할 수 있는 퍼지 개념 계층을 이용하여 일반화된 연관 규칙을 마이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퍼지 개념 계층에서의 하위 개념을 상위 개념으로 적절하게 반영하는 방법과 마이닝된 연관 규칙에서 중복되는 규칙의 가지치기(pruning)에 사용되는 측도를 소개한다. 또한 퍼지 개념 계층을 이용한 일반화된 연관 규칙 마이닝 방법의 응용성을 보이기 위해 실험 과정과 결과를 보인다.

  • PDF

The criterion Decision of Map Generalization for building by Human Vision (휴먼비전에 의한 건물의 지도일반화 기준결정)

  • Park, Kye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1
    • /
    • pp.735-742
    • /
    • 2009
  •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recently has produced a national paper map by means of a computer aided editing system using a national digital map 2.0. However, the map generalization should be made due to the portrayal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map and the paper one and the criterion of the map generaliz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visual image. The tolerance limit of the map generalization has to be decided based on human vi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size of the building on various scale map and then analyze its result. As a consequence, this study shows us that the building size eligible for human vision should be over 0.4mm in the short side of building on the map. The tolerance limit of an isolated building, a reduced building and a densely built-up area for the map generalization is based on the criterion mentioned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