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화된 연관규칙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ining Generalized Fuzzy Quantitative Association Rules with Fuzzy Generalization Hierarchies (퍼지 일반화 계층을 이용한 일반화된 퍼지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

  • 한상훈;손봉기;이건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8-11
    • /
    • 2001
  • 연관규칙 마이닝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이루고 있는 항목간의 잠재적인 의존관계를 발견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한 분야이다. 정량 연관규칙이란 부류적 속성과 정량적 속성을 모두 포함한 연관규칙이다. 정량 연관규칙 마아닝을 위한 퍼지 기술의 응용,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을 위한 일반화된 연관규칙 마이닝,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한 중요도 가중치가 있는 연관규칙 마이닝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논문에서는 중요도 가중치가 있는 일반화된 퍼지 정량 연관규칙 마이닝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부류적 속성의 퍼지 개념 계층과 정량적 속성의 퍼지 언어항 일반화 계층을 일반화된 추출하기 위해 이용한다. 이것은 속성들의 수준별 일반화 계층과 속성의 중요도 가중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융통성 있는 연관규칙을 마이닝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Level-based Data Mining System for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일반화된 연관규칙 발견을 위한 Level-based Data Mining 시스템)

  • 김온실;박승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43-45
    • /
    • 2001
  • 데이터로부터 숨겨진 패턴을 추출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에서 연관규칙은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위 트랜잭션 당 동시에 발생할 확률이 높은 항목들의 유형을 발견하는 기법이다. 연관규칙 탐사에서 개념계층(taxonomy)을 사용하여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갖는 규칙을 찾아내는 연구가 일반화된 연관규칙이며 이를 통해 일반화 이전에는 간과될 수 있는 중요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다. 일반화된 연관규칙에 관한 기존의 접근방법은 후보항목집합의 각 항목에 대한 개념계층상의 모든 조상들을 트랜잭션에 추가한 후 확장된 트랜잭션에 대해 지지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며. 이렇게 되면 연관규칙의 단점중의 하나인 계산량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개념계층 레벨이 아닌, 사용자가 관심 있는 레벨로 제한된 환경에서 연관규칙 탐사를 수행하여 규칙생성의 복잡도를 줄이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모든 항목을 한 레벨로 일반화하는데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관심있는 항목의 경우 일반화 레벨을 따로 명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규칙을 발견하도록 하였다.

  • PDF

Mining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Using Fuzzy Concept Hierarchy (퍼지 개념 계층을 도입한 일반화된 연관 규칙 마이닝)

  • 손봉기;김동호;이건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4-86
    • /
    • 2000
  • 연관 규칙 마이닝 과정에 참조되는 일반 개념 계층은 개념간의 명확한 관계만을 표현한다. 실제로는 개념 사이의 관계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개념간의 애매한 관계까지 반영할 수 있는 퍼지 개념 계층을 이용하여 일반화된 연관 규칙을 마이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퍼지 개념 계층에서의 하위 개념을 상위 개념으로 적절하게 반영하는 방법과 마이닝된 연관 규칙에서 중복되는 규칙의 가지치기(pruning)에 사용되는 측도를 소개한다. 또한 퍼지 개념 계층을 이용한 일반화된 연관 규칙 마이닝 방법의 응용성을 보이기 위해 실험 과정과 결과를 보인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타 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타 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15-123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타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타 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특히 데이타 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타 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타 제공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타 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는 관련성이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타 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타 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데이타 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 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검증된 지식을 토대로 일반화를 통한 새로운 가설을 생성하여 데이타 웨어하우스로부터 연관규칙을 검증하는 일련의 아키텍쳐(architecture)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데이타 마이닝 결과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데이타 웨어하우스와 데이타 마이닝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관규칙탐사에 대한 정의 및 방법을 보이고, 대상 영역에 대한 데이타 웨어하우스의 스키마를 보였다. 다음으로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 방법으로 Relational predicate Logic을 제안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해 Relational Predicate Logic으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론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반복적인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데이타 마이닝을 통한 귀납적 지식생성에 있어 귀납적 오류의 발생을 고메인 지식을 통해 설명가능 함을 보임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이러한 설명을 통해 연역적으로 새로운 가설지식을 생성시켜 이를 가설검증방식으로 검증함으로써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의 통합 데이타 마이닝 접근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 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15-123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특히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 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 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는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 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검증된 지식을 토대로 일반화를 통한 새로운 가설을 생성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로부터 연관규칙을 검증하는 일련의 아텍쳐(architecture)를 제시하고다 한다. 먼저 데이터 마이닝 결과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관규칙탐사에 대한 정의 및 방법을 보이고, 대상 영역에 대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으 스키마를 보였다. 다음으로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위한 지식표현 방법으로 Relational Predicate Logic을 제안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해 Relational Predicate Logic으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반복적인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귀납적 지식생성에 있어 귀납적 오류의 발생을 도메인 지식을 통해 설명가능 함을 보임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이러한 설명을 통해 연역적으로 새로운 가설지식을 생성시켜 이를 가설검증방식으로 검증함으로써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의 통합 데이터 마이닝 접근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PDF

Design of Purchasing Pattern Classification System Using Nural Network and Multiple-Level Association Rules (신경망과 다단계 연관규칙을 이용한 구매 패턴 분류 시스템의 설계)

  • Lee, Jong-Min;Jung,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3-206
    • /
    • 2000
  • 신경망을 이용해 고객집단을 분류하고 고객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고객들에 대해 다단계 연관규칙을 적용해서 고객의 상품 구매패턴을 찾아 줌으로써 마케팅 전략 결정을 지원하는 구매패턴분류 시스템을 설계한다. 고객분류를 위한 신경망 시스템은 다층 퍼셉트론에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주소, 구매금액, 구매횟수, 고객 구분, 상긴 등과 같은 고객정보를 입력층에 입력변수로 지정하고, 이에 따른 우량/일반고객을 출력변수로 지정한 후 신경망을 학습시키면, 실제의 우량/일반의 간과 예측되는 우량/일반의 값의 차이론 최소화시키면서 모형을 형성시켜 나가게 된다. 구매패턴 분류 시스템은 다단계 연관규칙을 이용한다. 고객분류 서브시스템을 통해 고객집단이 세분화되면 각각의 고객집단에 대해 TID와 품목 트랜잭션을 입력으로 cumulate 알고리즘과 개념계층을 이용해 일반화 과정을 수행하면서 빈발 항목을 찾게 되고 이론 근거로 항목간의 연관규칙을 찾아내게 된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15-27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한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인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Associations)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위해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방법으로 관계형 술어논리(RPL : Relational Predicate Logic)를 개발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한 RPL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구조(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 PDF

Comparison of Association Rule Learning and Subgroup Discovery for Mining Traffic Accident Data (교통사고 데이터의 마이닝을 위한 연관규칙 학습기법과 서브그룹 발견기법의 비교)

  • Kim, Jeongmin;Ryu, Kwang Ryel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1 no.4
    • /
    • pp.1-16
    • /
    • 2015
  • Traffic accident is one of the major cause of death worldwide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proximately 1.24 million deaths occurred on the world's roads in 2010. In order to reduce future traffic accident, multipronged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including traffic regulations, injury-reducing technologies, driving training program and so on. Records on traffic accidents are generated and maintained for this purpose. To make these records meaningful and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 and related factors including vehicle design, road design, weather, driver behavior etc. Insight derived from these analysis can be used for accident prevention approaches. Traffic accident data mining is an activity to find useful knowledges about such relationship that is not well-known and user may interested in it. Many studies about mining accident data have been reported over the past two decades. Most of studies mainly focused on predict risk of accident using accident related factors. Supervised learning methods like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k-nearest neighbor, neural network are used for these prediction. However, derived prediction model from these algorithms are too complex to understand for human itself because the main purpose of these algorithms are prediction, not explanation of the data. Some of studies use unsupervised clustering algorithm to dividing the data into several groups, but derived group itself is still not easy to understand for human, so it is necessary to do some additional analytic works. Rule based learning methods are adequate when we want to derive comprehensive form of knowledge about the target domain. It derives a set of if-then rules that repres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feature with other features. Rules are fairly easy for human to understand its meaning therefore it can help provide insight and comprehensible results for human. Association rule learning methods and subgroup discovery methods are representing rule based learning methods for descriptive task. These two algorithms have been used in a wide range of area from transaction analysis, accident data analysis, detec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ient risk groups, discovering key person in social communities and so on. We use both the association rule learning method and the subgroup discovery method to discover useful patterns from a traffic accident dataset consisting of many features including profile of driver, location of accident, types of accident, information of vehicle, violation of regulation and so on. The association rule learn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s, searches for frequent item sets from the data and translates them into rules. In contrast, the subgroup discovery method is a kind of 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discovers rules of user specified concepts satisfying certain degree of generality and unusualness. Depending on what aspect of the data we are focusing our attention to, we may combine different multiple relevant features of interest to make a synthetic target feature, and give it to the rule learning algorithms. After a set of rules is derived, some postprocessing steps are taken to make the ruleset more compact and easier to understand by removing some uninteresting or redundant rules. We conducted a set of experiments of mining our traffic accident data in both unsupervised mode and supervised mode for comparison of these rule based learning algorithms. Experiments with the traffic accident data reveals that the association rule learning, in its pure unsupervised mode, can discover some hidden relationship among the features. Under supervised learning setting with combinatorial target feature, however, the subgroup discovery method finds good rules much more easily than the association rule learning method that requires a lot of efforts to tune the parameter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orest Fire Prediction System using Generalization-based Classification Method (일반화 기반 분류기법을 이용한 산불예측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Sang-Ho;Kim, Dea-Jin;Ryu,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12-23
    • /
    • 2003
  • The expansion of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rought about an explosive increasement of data. Further progress has led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efficient and effective data analysis tools. According to this demand, data min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find out knowledge from a huge amounts of raw data. This paper suggests a generalization based classification method which explores rules from real world data appearing repeatedly. Also, it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weather data and forest fire, and efficiently predicted through it as a prediction model by applying the suggested generalization based classification method to forest fire data.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can be utilized variously in the important field of real life like the analysis and prediction on natural disaster occurring repeatedly, the prediction of energy demand and so forth.

  • PDF

Anomaly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False-Positive Control (과탐지를 제어하는 이상행위 탐지 방법)

  • 조혁현;정희택;김민수;노봉남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4
    • /
    • pp.151-159
    • /
    • 2003
  • Internet as being generaliz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needed to protect computer system from intrusions synthetically. We propose an intrusion detection method to identify and control the contradiction on self-explanation that happen at profiling process of anomaly detection methodology. Because many patterns can be created on profiling process with association method, we present effective application plan through clustering for rules. Finally, we propose similarity function to decide whether anomaly action or not for user pattern using clustered pattern datab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