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크리깅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mparative Studies of Kriging Methods for Estimation of Geo-Layer Distribution of Songdo International City in Incheon (인천 송도국제도시 지층분포추정을 위한 크리깅 방법의 비교연구)

  • Kim, Dong-Hee;Ryu, Dong-Woo;Lee, Ju-Hyoung;Choi, In-Gul;Kim, Jong-Kook;Lee, Wo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5
    • /
    • pp.57-64
    • /
    • 2010
  • Krig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layers and soil properties in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area. Since the selected kriging technique may provide different values of estimation, the selection of method is important in the geotechnical estimation. In this pap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of Songdo International City is estimated using simple, ordinary, and universal kriging techniques, and the reliability of estimated results is analyzed. It is shown that the consolidation layer thickness estimated by the simple kriging technique is larger than those by other kriging techniques when the location of estimation is far from the locations where the measured data exist. In this case, the reliability of the simple kriging technique is observ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techniques. Universal kriging gives a negative value for thickness of consolidation layer in some locations away from the data. It is concluded that the ordinary kriging is the most optimized estimation technique because the reliability of ordinary kriging technique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ones and the consolidation layer thickness estimated by the ordinary kriging locates within the reasonable range.

Rainfall Analysis using Spatial Data Analysis Technique (공간분석기법에 의한 강우분석에 관한 연구)

  • Lee, Joon-Hak;Jung, Young-Hun;Oh, Kyoung-Do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20-1524
    • /
    • 2010
  • 지상에 설치된 우량관측소를 통해서 자료가 수집되는 강우자료는 공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공간자료(spatial data)이며, 지점자료(point data)이다. 공간자료(spatial data)는 공간적으로 분포되지 않는 일반 데이터와는 다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간적인 위치가 데이터 발생의 중요한 변수로 적용될 수 있고, 인접 데이터와의 상관관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강우분석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리나라 총 679개 우량관측소의 2008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티센(Thiessen) 기법,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스플라인(Spline) 등과 공간통계학적 방법인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주요 유역별 면적 강우량 산정 및 미계측 지역의 강우량 추정을 모의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역별 면적강우량 추정시 티센 및 경향면 분석법, Natural Neighbor 방법은 일부 과다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IDW, RBF, 크리깅의 방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계측 지역의 강우량 추정에는 일반크리깅의 정확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on of Heterogeneous Hydraulic Conductivity and Contaminant Transport for the Landfill on Marine Clay (비균질성을 고려한 해성점토매립장의 수리전도도 추정과 오염이동특성)

  • 장연수;정상용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3 no.1
    • /
    • pp.85-100
    • /
    • 1997
  • The heterogeneity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Metropolitan Waste Landfill is analized by using geostatistical methods and the contaminant transport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heterogeneous hydraulic conductivity. The hydraulic conductivity data are obtained from laboratory pressurized permeability tests and the insitu, Slug test. Geo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analysis are Ordinary Kriging and conditional simul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heterogeneities of hydraulic conductivity obtained from conditional simulation are greater than those from Ordinary Kriging analysis. The movement of the contaminant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with greater heterogeneity obtained from conditional simulation is faster than that observed in Ordinary Kriging analysis.

  • PDF

공간데이터마이닝에서의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예측방법연구

  • 김효정;강한구;강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95-97
    • /
    • 2001
  • 공간자료의 예측문제에 있어 전통적 예측방법인 크리깅방법과 최근 통계적문제 적용되기 시작한 신경망분석방법 간의 비교를 사례연구를 통해 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크리깅에 의한 선형예측은 공간자료에 대한 일반적 통계모형으로서 간주되어 왔다. 한편 예측문제에 있어 뉴럴네트워크에 기초한 비모수적 방법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대용량 자료의 경우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한 분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자료의 예측에 있어 유전자 알고리즘을 신경망분석 모형을 결합하여 기존의 크리깅방법과의 예측력을 비교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for Bivariate Spatial Data Using Principal Component Score (주성분점수를 이용한 이변량 공간자료에 대한 감도분석)

  • 최승배;강창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415-427
    • /
    • 2001
  • 공간통계학에서는 다변량 공간자료에 대한 예측방법으로서 코크리깅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코크리깅을 위한 첫 번째 단계인 교차베리오그램의 추정에 대한 감도분석 대신에 일반통계학적 측면에서 주성분점수를 이용한 감도분석방법을 제안한다. 변수가 2개인 경우, 교차베리오그램에 대한 감조분석의 결과와 제안된 주성분점수를 이용한 감도분석의 결과를 비교해 본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타당을 검증하고, 실제 자료를 이용한 사례분석의 결과로써 재확인해 본다.

  • PDF

Generalized Kriging Model for Interpolation and Regression (보간과 회귀를 위한 일반크리깅 모델)

  • Jung Jae Jun;Lee Tae 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9 no.2 s.233
    • /
    • pp.277-283
    • /
    • 2005
  • Kriging model is widely used as design analysis and computer experiment (DACE) model in the field of engineering design to accomplish computationally feasible design optimization. In general, kriging model has been applied to many engineering applications as an interpolation model because it is usually constructed from deterministic simulation responses. However, when the responses include not only global nonlinearity but also numerical error, it is not suitable to use Kriging model that can distort global behavior. In this research, generalized kriging model that can represent both interpolation and regression is proposed. The performances of generalized kriging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interpolating kriging model for numerical function with error of normal distribution type and trigonometric function type. As an application of the proposed approach, the response of a simple dynamic model with numerical integration error is predicted based on sampling data. It is verified that the generalized kriging model can predict a noisy response without distortion of its global behavior. In addition, the influences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o prediction performance are discussed for the dynamic model.

Runoff Analysis using Spatial distributed Rainfall (공간 분포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해석)

  • Ahn, Sang-Jin;Yoon, Seok-Hwan;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0-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크리깅 기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를 생성하였으며, HEC-GeoHMS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지형자료, 수문매개변수를 격자크기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포시켰다. 유출해석은 공간 분포된 강우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준 분포형 접근방법인 Modified Clark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공간 평균된 강우는 Clark 모형을 적용하여 유출 모형을 수행하였다. 정규크리깅과 일반크리깅 기법에 의해 산정된 강우를 이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지점강우량을 공간분포 시킬 경우의 격자크기에 따른 유출 수문곡선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공간 분포된 강우와 공간 평균된 강우를 이용한 유출 모의 결과를 토대로 공간 분포 강우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 PDF

토양층 내 Cu, Pb 농도의 평균 및 중앙값을 이용한 지시크리깅의 확률도 비교 분석

  • Yu Hun-Seon;Jeong Sang-Yong;Gang Dong-Gwan;Kim Byeong-U;Kim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48-15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공단지역 내 토양층(지표면하 1 m 이내)에 존재하는 Cu, Pb 성분의 평균값보다 높은 지역과 중앙값보다 높은 지역을 확률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지역의 Cu, Pb 성분의 농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통계분석을 하였고, 공단지역 내 Cu, Pb 성분의 평균값과 중앙값을 제한값으로 하여 지시크리깅을 수행하여 평균값보다 높은 확률도와 중앙값보다 높은 확률도를 작성하였다 평균값과 중앙값에 의해 작성된 확률도를 비교하여, 지시크리깅의 제한값으로서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 PDF

Indicator 크리깅을 이용한 부산지하수 수질의 오염도 연구

  • 강동환;정상용;김병우;심병완;성익환;조병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49-253
    • /
    • 2003
  • 강서구를 제외한 부산 전지역에서 1998년도에 조사된 지하수 수질 중 6개 성분(pH, TS, KMnO$_4$, Cl, SO$_4$, NO$_3$-N)에 대한 일반통계분석 결과 pH 성분을 제외하고는 5개 성분의 중앙값이 평균보다 적은 값을 보이는 양성왜도를 보임으로써, 수질오염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시크리깅이라는 비모수적인 지구통계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6개 수질성분에 대해 음용수 기준치를 적용하여 음용가능은 “1”의 값이, 음용불가능은 “0”의 값이 주어졌다. 이렇게 변환된 자료를 이용하여 각 성분별로 실험적인 베리오그램 분석을 실시한 결과 pH, TS, SO$_4$ 성분은 선형모델이 선정되었으며, KMnO$_4$, Cl, NO$_3$-N 성분은 구상형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시크리깅을 이용하여 6개 성분의 분포도를 작성하고 부산지역의 오염정도를 분석하였다. 지시크리깅기법은 연구지역 전체의 정량적인 분포를 나타내지는 못하지만, 오염의 유.무와 오염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이상치(outlier)가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계학적인 오류를 보완할 수 있다.

  • PDF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

  • Park, Hyun-Ju;Shin, Hyu-Seok;Roh, Young-Hee;Kim, Kyoung-Min;Park, Key-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16-3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s using ordinary kriging(OK)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kriging and regression kriging(RK) that combines a regression of the auxiliary variables with simple kriging.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forest carbon stock in Danyang is estimated at 3,459,902 tonC with OK and 3,384,581 tonC with RK in which the R-square value of the regression model is 0.1033. The result of RK conducted with sample plots stratified by forest type(deciduous, conifer and mixed) shows the lowest estimated value of 3,336,206 tonC and R-square value(0.35 and 0.18 respectively) is higher than that of when all sample plots used. The result of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of each method indicates that RK with all sample plots reached the smallest root mean square error(RMSE) value(22.32 ton/ha)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s(0.23 ton/ha) is no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