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영어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Test-typed Text Reading between Gifted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General Middle School Learners (영어 평가 지문 읽기에서 영어 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대한 연구)

  • Bang, J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345-3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the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which gifted English language learners (GELLs) and general middle school learners (GMSLs) used while reading English test-typed texts. 74 GELLs in a gifted program of C city and 90 GMSLs in the southern part of C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RSI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GELLs and GMSLs at the end of the semester. Frequency and t-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between GELLs and GSMLs when reading the English test-typed text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discovered that GELLs were likely to use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GMSLs. Also, GELLs tended to use more global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than GMSLs.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ort strategy us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GELLs and GMSLs' effective English reading.

Aviation English and Test in Korea -Based on a Survey for Pilots and ATCs- (한국의 항공영어 시험에 관한 연구 -조종사와 관제사의 설문조사 중심으로-)

  • Choi, Jeo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6 no.1
    • /
    • pp.44-56
    • /
    • 2018
  • 2003년 ICAO가 국제 조종사에 관한 언어능력 기준을 제시한 이래로 국제노선에 취항하는 한국 항공 종사자들은 영어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1969년 처음으로 항공영어교육이 시작되고 2006년 처음 시험이 도입되면서 한국은 이를 충족하기 위한 알맞은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려 시도해 왔다. 그러나, 항공영어 교육과 시험에 관련된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특히 항공 종사자들의 필요와 요구에 맞지 않는 시험 제도와 내용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항공영어와 교육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더불어, 106명의 항공종사자에게 실시한 설문지를 토대로 그들의 항공영어와 일반영어에 관한 의견, 항공영어시험에 관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항공영어시험이 실제 업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않으며, 좀 더 실제적인 내용이 시험에 반영되기를 희망하였다. 즉, 항공영어 시험이 좀 더 업무에 사용되는 영어를 많이 반영하고 난이도를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시험이 개발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나타난 여러 사항들을 바탕으로 향후 항공영어 평가가 나아갈 방향을 항공종사자의 측면과 관련 교육기관과 시험출제자, 관련 당국 등 3 가지 분야로 나누어 논의 하였다.

Consid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IMO Maritime English Model Course 3.17: General and Specialized Maritime English

  • Park, Jin-Su;Choe,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8-279
    • /
    • 2015
  • 해기사의 해사영어 사용에 대한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는 가운데, 국제해사기구(IMO)는 이에 발맞추어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을 일반해사영어(General Maritime English, 즉 GME)와 특수해사영어(Specialized Maritime English, 즉 SME)로 나누어 재편하고, STCW에서 요구하는 지식, 이해 및 기술사항들을 영어교육의 다양한 요소들과 접합함으로써, 해사영어교육의 새로운 틀을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다. 국내 해기교육 관련대학 및 기관이 향후 해사영어 커리큘럼을 재편성하기 위해서는, 개정될 해사영어모델코스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해사기구가 제시한 해사영어모델코스 3.17의 개정 목적 및 변화된 해사영어모델코스의 틀과 방향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교육기관에서의 해사영어교육 커리큘럼을 재편성한 후, 성공적인 언어교육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현실적인 제한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An Explorative Case Study of Flipped College General English Class (대학 일반영어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탐색적 사례연구)

  • Kim,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5
    • /
    • pp.259-27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flip learning in Korea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participants are sought for classes wherein general English class is taught and the researcher is in charge of teaching. 25 students of media-English class is chosen for the study. Instruments for the study include class evaluation and feedbacks, mid-term and final exams, group performative evaluation, on-line class views and particip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students progress in flipped learning classes, their exam result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ir performative evaluation results also improved significant across different groups. The effects are more eminent among higher levels of students, but students with mid and low level of English still improved significantly once they engage themselves in preview activity on a regular basis and self-directedly.

A Study on the Security English Ability Status and Progress Plan of Security Related Department Students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의 경호영어 능력 실태 및 발전방안)

  • Kim, Doo-Hyun;Choi, Byun-Kwo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5
    • /
    • pp.51-72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security English ability status and progress plan of security related department students. The status was captur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o English proficiency and simple tests on security knowledge. Current status to general English and security English ability was indicated very low and unsatisfactory as a whole, through which individuals and students perceived their need of positive effort. The security personnel for domestic figures and VIPs need to hav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as an international ability, and the security related department students have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during their college course for smooth post-graduation employment and career preparation. General English ability should be bettered through the diversity of cultural English programs, and systematic learning and effort needed for equipment of ability on specialized security ability, for this, compilation of security English curricula encouraged by each college. It is expected that significance and perception of security English would be conscious and progressive in Korean security related departments, by which more security personnel with international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would be produced.

  • PDF

A Study on Differences of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y Use in English Reading among General Learners, Gifted Learners in Science and Mathematics (일반학생과 수·과학 영재들의 영어 읽기과정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 사용 차이에 관한 연구)

  • Bang, J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5-246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수 과학 영재학생의 영어읽기에서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학생 98명, 과학영재 79명, 수학영재 8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MARSI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그 자료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과학영재 사이의 영어읽기 과정 중 메타인지 읽기전략의 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수 과학 영재학생들과 일반 학생들 사이의 메타인지 읽기전략사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

The Current Conditions of EBS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 English Contents (EBS 영어 방송 및 콘텐츠 현황 분석)

  • Jeon,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9-25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EBS 영어방송 및 콘텐츠를 사용하는 교사, 일반인, 학부모, 초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EBSe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 방송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한다. 총 2,488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다음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 EBS 영어 방송 사용 계기 및 활용 방법은 어떠한가? 2. EBS 영어 방송 플랫폼 활용 형태와 기간 및 빈도는 어떠한가?

  • PDF

Korean and English Text Image Super-Resolution for Improving Text Recognition Accuracy (텍스트 인식률 개선을 위한 한글 및 영어 텍스트 이미지 초해상화)

  • Kwon, Junhyeong;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72-75
    • /
    • 2022
  • 야외 환경을 카메라로 촬영한 일반 영상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기술은 로봇 비전, 시각 보조 등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저해상도의 텍스트 이미지의 경우 텍스트 이미지에 포함된 노이즈나블러 등이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텍스트 내용을 인식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본 논문은 일반 영상에서의 저해상도 한글 및 영어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초해상화를 통해 텍스트 인식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트랜스포머에 기반한 모델로 한글 및 영어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 초해상화를 수행하였으며, 영어 및 한글 데이터셋에 대해 제안한 초해상화 방법을 적용했을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텍스트 인식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발음 및 청취 교육

  • 정인교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248-248
    • /
    • 1997
  • 오늘날 영어교육은 교과과정령에 엄연히 명시된 네 가지 기능(four skills) 즉 듣기, 말하기, 원기, 쓰기라는 정당하고도 보편 타당성 있는 명분 하에 어떻게 가르쳐 왔는가 를 반문해 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그간 6년간의 중등과정, 심지어는 대학에서 환 두해까지 영어를 이수한 사람틀 중에는 문자를 통해서는 상당한 수준, 그것도 영어 토박이들조차 놀랄 정도의 영어를 이해하지만, 소리를 통해 들을 때는 ---말하는 것은 두말 할 것도 없고---아주 간단한 내용의 영어조차 알아듣기 힘든 경험을 한 사람이 많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즉, 문자를 대할 때는 시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가공할 문법적 지식---와 일치하기 때문에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는 반면, 소리를 들을 때는 청각적 자극의 형태가 두뇌 속에 저장된 정보---극히 불완전한 발음사전, 또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의한 영어발음--- 와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말소리를 매체로 하는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영어의 본토박이 발음을 정확히, 아니면 적어도 매우 근접하게 나마 터득하여(습관화하여)두뇌에 저장하는 일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영어교사는 모국어의 음운체계에 대한 정확하고도 상세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영어의 음운체계와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linguistically significant)' 대초분석의 방법으로 발음을 지도한다면 보다 나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국어의 발음이 외국어의 발음에 간섭을 유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분절음체계가 서로 다를 때 2. 한 언어의 음소가 다른 언어의 이음(allophone)일 때 3. 유사한 음의 조음장소와 방법 이 다를 때 4. 분절음의 분포 또는 배열이 다를 때 5. 음운현상이 다를 때 6. 언어의 리듬이 다를 때 위의 여섯 가지 경우를 중심으로 영어와 한국어의 발음특성을 대조하여 '낯선 말투(foreign accent)' 또는 발음오류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 영어교사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Online Courses between Primary & Secondary Teachers' University: Focused on the English-Related Subjects (온라인 영어강좌에 대한 대학생들의 수업만족도 분석연구: 초등예비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비교)

  • Lee, Seungbok;Yoon, Tecna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2
    • /
    • pp.386-39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enrolled in between a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 and to identify any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class satisfaction factor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of 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4 prim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50 secondary teacher's college ones, respectively. A survey consisted of 5 categories including class contents, instruction results, class environment, instructional supports and efficiency. To analyze data,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administerd using Jamovi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the overall class satisfaction, even though the mean score from the second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 satisfaction's sub categories: class environment, instructional supports and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