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반간호사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산업간호사의 근무조건 - 서울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

  • 윤순녕;고봉련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권호
    • /
    • pp.17-29
    • /
    • 1991
  • 본연구는 보건관리자로서의 산업간호사의 역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근무조건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조사연구이며 산업간호사의 근무조건 개선에 기여코저 한다. 연구방법은 1991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위치한 산업장의 건강관리실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 또는 산업간호사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상시근로자수가 300인 이상에 근무하는 산업간호사 배치율은 49.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지역별 분포는 서울이 61개사업장이었고 인천 경기의 순이었다. 또한 산업간호사의 교육수준은 전문대졸이 84.0%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20대가 65.7%이었으며, 규모는 500~999사이가 42.7%였고, 노조가 있는 사업장은 73.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간호사 1인이 근무하는 곳이 90.7%였고 보건관리자가 간호사뿐인 곳이 63.3%이며 1000명이상 근로자를 가진 산업체중 31.9%가 전임산업의나 산업위생사 없이 간호사 혼자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로조건 산업간호사는 주당근무시간이 44시간이하인 경우가 59.6%였고, 1부제 근무만하는 경우가 93.1%였으며, 월차휴가는 94.7%가 사용할 수 있었으며, 보수는 기본급이 25~40만원 사이가 69.5%였고 면허수당은 43.8%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여금은 년 600%를 받는 산업장이 42%였고 총급여액이 35~55만원을 받는 경우는 전체의 67.3%를 차지하였다. 또한 연장근로인정여부는 일부만 인정하거나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61.8%였고, 과거경력 은 34.4%가 인정하지 않았고 승진은 66.4%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간호사가 별정직이나 촉탁으로 취업한 경우가 35.1%였고 일반 고졸이나 전문대졸 대우를 받고 있는 경우가 68.9%였다. 또한 전문단체활동 지원정도는 대한간호협회나 산업간호사회지원이 95 %를 넘었으며 산업간호사가 원하는 것 모두 지원하는 경우가 68.7%였으며 회비와 참석 모두를 지원하는 경우가 83.7%였다. 3) 모성보호 산업간호사중 81.7%가 결혼 후 근무가 가능했으며, 94.7%가 생리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전산후휴가는 76.3%가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결혼후 근무나 산전산후휴가는 명문화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이용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산업간호사의 근무시간, 전문단체활동지원은 비교적 좋은 조건이나 보수를 비롯 승진이나 대우, 모성보호에 대한 개선여지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결혼후 지속근무, 산전산후 휴가제 등이 보장되어야 전문직으로서의 산업간호사 인력확보, 활용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전문단체의 조직적 활동과 연구, 행동적인 지원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 PDF

응급실 일반간호사의 역할정립을 위한 업무분석 (Work Analysis for the Ro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 김은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3-103
    • /
    • 1998
  • Nursing works in emergency department were analyzed and the importance of nursing works that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perceived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12 nursing domains including 76 nurs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domain was records and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activi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checking the vital sign of patients. The most important nursing activity tha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perceived was physical crisis intervention.

  • PDF

병원 일반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f Factors Predicting Burnout in Hospital Staff Nurses)

  • 김영옥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1-601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hardiness, job stress, and burnout in nurses,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burnout. Method: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staff nurse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city.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Personal Views Survey(PVS), job stress scale, Tedium scale, and 7 items asking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a SAS package. Result: In correlation analysis, hardiness, job stress, and nursing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urnout.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28.7% of the variance in burnout was accounted for by nursing satisfaction (19.9%), job stress (6.0%), and hardiness (2.8%). Among subscales of hardiness, only commit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so nursing satisfaction, job stress, and commitment explained 28.9% of variance in burnout.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nurses to increase nursing satisfaction is needed, and more studies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atisfaction and burnout is also highly recommended.

  • PDF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윤리적 민감성 (Empowerment and Ethical Sensitivity of Nurse in the Hospital)

  • 박지원;유미애;서예숙;김용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5-493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empowerment and ethical sensitivity of staff nurs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ethical sensitivit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35 staff nurses in 4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using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PC program. Results: The degree of empowerment was 2.76(${\pm}$ .35) out of a possible score of 4 and that of ethical sensitivity was 0.71(${\pm}$ .11) out of a possible score of 1. The relationship of between empowerment and ethical sensi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34, p=.00).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owerment according to age(F=13.18, p=.00), educational background(t=-2.09, p=.04) and clinical practice career(F=15.15, p=.00) and in ethical sensitivity according to age(F=4.01, p=.02). In characteristics related to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owerment according to experience of ethics instruction in clinical practice(t=2.25, p=.03), attitude toward the nursing profession(F=7.96, p=.00) and ethical standards(F=9.39, p=.00) and in ethical sensitivity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the nursing profession(F=2.94, p=.03).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a systemic and effective training program reflecting the above general and related ethics characteristics be developed to enhance empowerment and ethical sensitivity.

  • PDF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관리료 차등제 간호사 배치기준 및 수가체계 개선방안 (Recommendation for the Amendment of Inpatient Nursing Fee Schedules Based on Nurse Staffing Standards in General Wards of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 조성현;성지영;정영선;유선주;심원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2호
    • /
    • pp.122-13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recommend a revision of inpatient nursing fees based on analyzing current and appropriate staffing levels. Methods: Staffing grades and their inpatient nursing fees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22 were analyzed. Nurse managers and staff nurses answered surveys about the current and appropriate staffing levels, working days, and monthly salary. A total of 101 nurse managers and 588 staff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at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grade 1 staffing was found in 73.3% of tertiary hospitals and 63.7% of general hospitals. The current staffing ratios of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were 1:9.3 and 1:10.4,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staffing ratios according to nurse managers and staff nurses at tertiary hospitals were 1:7.6 and 1:7.0, respectively, and 1:8.7 and 1:8.8 in general hospitals, respectively. The average estimated annual working days of staff nurses were 235.2 days in tertiary hospitals and 240.0 days in general hospitals. The median monthly salary for staff nurses was 4.957 million won in tertiary hospitals and 4.140 million won in general hospitals. The new staffing grade system was suggested from 1:6 (Grade 1) to 1:12 (Grade 5). The new inpatient nursing fee schedules were recommended to be paid based on nursing hours per patient day of each grade. Conclusion: The new staffing grade and inpatient nursing fee schedules are expected to increase staffing levels,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and provide a better work environment for nurses.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 불안 및 대리양육 (Parenting Stress, Parenting Guilt Feelings, Separation Anxiety and Alternative Care in Hospital-Nurses)

  • 박윤경;이주연;임소라;장희란;강효정;김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02-3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을 파악하고 대리양육에 따라 이러한 변수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15일부터 2014년 1월 30일까지로 대상자는 미취학 자녀가 있는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3명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격리불안은 공통적으로 나이, 직장만족도, 양육에 대한 직장동료 및 배우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대리양육의 만족도와 대리양육형태에 따라서도 양육스트레스, 양육죄책감 그리고 격리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에서 출근 시 일반보육시설에 맡기거나 다른 양육자의 집에 맡기는 경우가 다른 양육자가 가정으로 와서 대리양육을 하는 경우보다 양육죄책감과 격리불안이 더 많았다. 어머니의 심리적인 부담은 자녀의 양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성인력의 비중이 높은 병원 간호사의 지속적인 근무를 위해서는 양육을 지지할 수 있는 직장 내 환경개선과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양육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간호사 이미지, 전공 만족도가 남자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e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nursing students)

  • 임경민;김희영;박금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23-431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U광역시 소재 5개 대학의 1학기 이상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남자간호대학생 180명이며 2016년 11월 15일부터 2016년 12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5,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90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평점은 3.79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학년(p=.001)과 간호학과 선택권유자(p=.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은 중간정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하위요인 중 사회적 이미지, 개인적 이미지며 54.6%, 전공 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인식만족이었으며 전공만족도를 추가했을 때 60.6%로 전체설명력은 60.6%였다. 따라서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남학생들에게 간호사 이미지 인식 향상 교육과 전략이 필요하며 남자간호대학생이 전공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진로에 대한 긍정적 교육과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Job stress of Nurse in Emergency Department on the Nursing Performance)

  • 권미경;제남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07-11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응급실 간호사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관리수행 및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대처능력 향상 및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을 위해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지역응급의료기관 및 센터로 지정된 병원 26곳의 응급실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5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감염관리수행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이 더 높았으며, 설명력은 18.4%이었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수행, 직무스트레스, 비교대 근무가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 나타났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신종감염병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병원의 일반병동, 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장간호사 확보수준 관련 요인 (Nurse Staffing Level Relating Factors of the General Nursing Units, ICU, ER and OR in Acute General Hospitals)

  • 김윤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4-412
    • /
    • 2008
  • Purpose: To analyse hospital nurse staffing level of the general nursing unit, ICU, ER and OR in general hospitals. Method: The study sample was 105 acute general hospitals which had reported the bed size and number of nurses by the nursing units. Number of bed per nurse was analysed by the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ffing levels of the doctors and the nursing assistant personnels using t-test or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Number of bed per nurse was 3.86 in general nursing units and 0.95 in ICU. Tertiary hospitals employed more nurses in general nursing units and ICU than general hospitals.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public hospitals employed more ICU nurses. OR nurse staffing level was higher in academic hospitals. Hospital siz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e staffing level of the general nursing unit, ICU, ER and OR respectively. Total nurse staffing level of the hos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octor and nursing assistant personnels staffing levels. Conclusion : Differentiated nursing fee schedule was needed to implement in ER or OR. Regulation policy should be needed for the hospitals which violated hospital nurse staffing level of the law.

  • PDF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역량평가 도구 개발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 강윤숙;이숙정;김인자;안금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8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an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consisting of 3 steps as conceptual framework decision, measurement items development, and testing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verify content validity, 16 experts reviewed the concept of each competences and measurement items. The developed measurement items were tested from 301 nurses in one hospital. Factor analysis and item analysis were applied to establish the scale's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 The final scale consists of nine dimensions with 70 items.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had a Cronbach's alpha of 0.98, and the demensions Cronbach's alpha ranged from 0.88 to 0.95. The factor loading of construct validity was from 0.40 to 0.83. The explained variance from the 9 extracted factors was 70.93% of the total variance, and final factors were labeled as critical thinking, resources manage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bility of ward management,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ethical accountability, respectful consideration, patient centered approach, crisis management, and leadership. Conclusion: This measurement scale can be utilized to evaluate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