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과 가족

Search Result 1,05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ulture,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tel Employees (일-가족 문화, 일-가족 균형, 그리고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 Choi, Hyun-Jung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9 no.5
    • /
    • pp.121-135
    • /
    • 201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work-family culture,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Korean hotel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goal,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ndertaken using SPSS(18.0) and AMOS(18.0). The results showed that 'managerial suppor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balance, and 'fewer negative career consequenc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work-family bal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ence, in order to enhance employee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tmosphere in which employees can take advantage of family-friendly policies without any worry about the future disadvantages should be built. Also, management has to consider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to be important and needs to develop various policies to keep employees' work and family stability.

  • PDF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 Park, Soo-Mi;Han, Sung-Hy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55-175
    • /
    • 2004
  • 이 연구는 여성의 삶의 질에 '일'과 '가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적${\cdot}$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일'과 '가족'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여성 902명에 대한 설문지 면접조사결과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노동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cdot}$가족특성의 영향력에 변별성이 발견되었다. 가족특성이 기혼여성노동자의 정신건강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직업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cdot}$정신건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여성들에게 직업이 갖는 의미가 재해석되어야 함을 암시하였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스트레스'의 효과처럼 동일한 변수가 성별로 상이한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에서 '일'에 대한 성별화된 사회규범이 해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연령 증가, 자녀수 증가에 따라 정신건강이 좋아진다는 결과에서 여성에게 '가족'과 '일'의 갈등적 측면 못지않게 지원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노동자의 건강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가정형편' 변수로서, 건강의 계층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각별한 건강복지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e Effect of Work-Family.Family-Work Conflict on the Emotional Exhaustion of Hotel Culinary Employees (호텔 조리사들이 지각하는 일-가족.가족-일 갈등이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 Choi, Dong-Hee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8 no.1
    • /
    • pp.213-227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n effect of conflicts between work-family family-work of hotel employees on their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nd to propose relevant implications. Also, the study tried to identify which role a responsive strategy may play as a moderating variable from among such influential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sales and the number of rooms at hotels as of 2010,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about seven hotels located in Seoul, and carried out research with 298 copies of effective sample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family family-work on emotional exhaustion, the study undertook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rformed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for confirming the moderation effect of a responsive strategy. As a result, only the conflicts between one's work and a fami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a problem-oriented responsive strategy demonstrated a moderation effect of the conflicts between work-family family-work and emotional exhaustion. In this regard, hotels should be prepared with a system which enables hotel chefs to be more faithful to both their families and household affairs through the reasonable operation of workload or an instructive system at work, and it would be possible to deal with the symptom of emotional exhaustion by conflict management through a rational analysis of the cause of conflict, if any, as well as through an alternative to such a conflict.

  • PDF

가족친화 고용정책의 기업수용성 분석: 유연근로제도를 중심으로

  • Kim, Gyeong-Hui;Ban, Jeong-Ho;Lee, Jeong-Hu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23-58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실시한 "일과 가족 양립 지원제도 운영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유연근로제도에 대한 수용성 정도를 실증분석한 것이다. 유연근로제도를 포함한 가족친화 경영의 기업수용성은 출산과 양육친화단계에서는 높지만, 가족친화적 경영수준으로는 확장되지 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와 달리 기업 특성을 성(gender)과 시장(market) 가치에 따라 구분하여 유연근로제도의 수용성이 어떤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여성친화적-고시장성 기업일수록 보다 높은 수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변량분석을 활용하여 유연근로제도에 대한 기업의 수용성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비정규직 활용과 유연근로제도가 대체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의 무분별한 활용과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로 유연근로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효율적인 인력운영과 함께 일자리의 질도 제고시킬 수 있어 기업과 근로자가 모두 윈윈(win-win)하는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한 남녀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행태와 가족관계 정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Choe, Eun-Hui;Nam, Eun-U;Yun, Se-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4-84
    • /
    • 2009
  • 목적 : 청소년의 행태와 가족관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학생의 학교내외 생활지도 및 정신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조사방법 : 원주의 한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2008년 11월 25일부터 12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함. 총 454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377명이 조사에 참여하였음. 척도는 신체증상, 식사장해, 우울감, 대인관계, 무력감, 충동성 등 정신건강에 관한 6척도와 31개 항목으로 구성됨. 통계분석은 독립변수인 행태변수와 가족관계 변수를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변수간의 평균간 차이검증은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고, 정신건강 관련요인 규명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함. 결과 : 성별에 따라 아침에 상쾌하게 눈이 떠지는지, 취침시각, 공부시간, 핸드폰 유무, 다이어트 경험, 운동 횟수, 취미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 가족구성인원 변수에 따라 가족에게 고민상담, 집안 일 돕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 종속변수인 정신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가족과 고민상담, 가족과 식사, 아침에 상쾌하게 눈이 떠지는지, 아침식사여부, 공부시간, 운동 횟수였음. 가족과 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그리고 12시 이전에 취침하는 학생들이 12시 이후에 취침하는 학생들보다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남. 토의 및 결론 : 중학생들의 정신건강 지도를 위해서는 행태변수와 가족관계 변수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

  • PDF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Job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일·가정 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문화의 매개효과)

  • Park, Jeong-Min;Choi, Do-Lim;Lee, Su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262-2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6th data of the Women's Family Panel was used to analyze 2,016 married female workers who are currently employed among respondents aged 19 to 64.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work-family bal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econd, family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affirmed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areas, suggesting that not only an institutional approach for work-family balance but also a cultural approach such as family-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need to be considered.

The Study on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for Enhancing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Social Worker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사회복지기관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

  • Song, Yoomee;Lee, Sunja;Lee, Jesa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4
    • /
    • pp.317-340
    • /
    • 2013
  • The modern society has undergone the fast change of the family structure and labor market. Particularly,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ecame the era's agenda while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the women increased. However,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was not created and the job engagement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was decreased. The married female workers complained of suffering due to the work and family confli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if family conflict affect the relationship.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known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has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and work and family conflict play an intermediary role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engagement. Therefore, it can be explained that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enhances the job engagement of married female social workers, and the culture would be a good measure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Based on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need to be preceded for the spread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by national initiated programs. Secondly, in terms of welfare organization, related regulations and guidelines need to be prepared, and thirdly, in the view of individual respect, members of family should have their own rights to put forth an opinion grandly with firm faith of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 PD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of Father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 Jo, Seolae;Chong,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6 no.4
    • /
    • pp.435-45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democratic patenting behavior of father in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who has child in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used data from 2015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ubjects are 610 working mothers and their spouses who completed the survey included the scales of work-family conflicts,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are followed. First,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of work-family conflict of mother an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had an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on the association between work-life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mother. These findings suggested democratic parenting behavior of father as protective factor concerning in work-family conflict of working mo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parenting of father are important to protect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who experienced the work-family conflict.

Living as expatriate wives/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issues among Korean working women in Singapore (체류자 아내/어머니로 살아가기: 싱가포르 거주 한국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Jee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1 no.1
    • /
    • pp.217-248
    • /
    • 2011
  • 이 글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영구 이민이 아닌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과 가족 양립 문제의 어려움과 그 대응전략을 살펴보는 탐색적 질적 연구이다. 지난 십여 년간 꾸준히 증가한 해외 거주 한국인 중장기 체류자(sojourner)의 수는 2007년 기준으로 1백5십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기업 파견 직원('주재원')이나 비한국계 다국적기업 혹은 현지기업 종사 이주자로 파악된다. 고학력 전문 기술직 이주자(highly educated professional/high skilled migrant)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한국의 맥락에서, 전문 기술직 체류자 중심으로 이주 한국인 사회가 구성된 싱가포르는 전문 기술직 이주자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뿐만 아니라, 체류자 사회(expatriate community) 전반적인 연구의 중요한 대상지로서의 장점이 크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체류자로서 외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기혼 여성의 일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가?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한 전일제 전문직종 종사자, 파트타임 종사자, 전업주부 등 자녀를 둔 26명의 기혼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하여,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일과 가족 양립에 관한 체험적 경험(lived experience)을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일제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가정친화적 근무 환경을 갖춘 직장으로의 이직, 남편과의 야간근무 조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들을 채택하였다. 파트타임 종사자의 경우 과거 한국에서 전일제 근무를 경험하고 현재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는 전일제 근무로부터 벗어나는 '일시적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 어머니 역할 부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은 친지를 비롯한 한국어 구사를 할 수 있는 가사 보조 네트워크가 결핍된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것에서 있어,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가사노동자를 고용하더라도,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확인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