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Park, Soo-Mi (한국여성개발원)
Han, Sung-Hyun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v.27, no.2, 2004 , pp. 155-175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기혼여성노동자;신체적.정신적 건강;직업특성;가족특성;건강의 계층화;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병조 . 김순영(1996), '한국의 여성 시간제 노동자, 그들은 누구인가?', <경제와사회> 31(가을): 159-178
2 김성남(1985), '노동환경과 여성노동자 건강실태', 연세대학교 보전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진희 . 이명선(2000),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서울시 일부 초 .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7(1): 25-38
4 김혜경(2002), '가족/노동의 갈등구조와 '가족연대' 전략을 중심으로 본 한국가족의 변화와 여성', <가족과 문화> 14(1): 31-52
5 신용덕 . 이태용 . 이영수 . 이동배(1994), '모성 직업확동이 조산과 저체중 출생 및 자연유산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6(1): 69-84
6 이명선(1995), '산업장 노동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습관의 관련요인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2(2): 48-61
7 전방지 . 김경애 . 홍기원(2002), '여성 기업인의 일과 가족: 갈등 또는 지원관계', <가족과 문화> 14(3): 69-95
8 정진주(1999), '캐나다에서 작업환경과 산업재해보상체계의 성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15(2): 119-152
9 Chang, J. Y. (1996),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Childbirth of Married Women',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ology, Univ. of Wisconsin
10 Crossby, F. (1987), 'Job Satisfaction and Domestic Life', In M. D. Lee and R. N. Karnurgo(eds.), Management of Work and Personal Life. New York: Praeger
11 Drobnic, Sonja, Hans-Peter Blossfeld, Gotz Rohwer (1999), 'Dynamics of Women's Employment Patterns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1): 133-146   DOI   ScienceOn
12 이숙현(1997),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갈등', <연세여성연구> 3: 173-194, 연세대학교 여성연구소
13 Williams, D. R. (1990),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Health: A Review Redirection',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3(2): 81-99   DOI   ScienceOn
14 권명숙(1997), '경인지역 소규모 사업장과 대규모 사업장 노동자들의 건강상태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김종숙 . 박수미(2003), <한국여성의 노동이동> 203-18, 한국여성개발원
16 Yoon, Soon-Young (1995) 'Looking at Health through Women's Eyes', in Missing Links - Gender Equity in Science and Technology for Developm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New York: UNIFEM. http://www.kwdi.re.kr/ womentatdb(2003.5)
17 한경혜(1998), '중년기 남성의 역할 중요도와 일/가족 갈등', <가족과 문화> 10(2): 93-114
18 Marks, N. F. (1996), 'Socioeconomic Status, Gender and Health at Midlife: Evidence from the Wisconsin Longitudinal Study', pp. 135-152 in J. J. Krenenfeld (eds.),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Health Care, 13A, Greenwich. C. T.: JAI Press
19 김준연 외 5인(1972), '산업장 노동자들의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연구-간이형 코넬의학지수의 적용에 의한-', <예방의학회지> 5(1): 25-35
20 장혜경 . 김영란(1998), <취업주부의 역할분담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1 송건용 . 남정자 . 최정수(1993), <1992년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 , 연구보고서 20-2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한성현 외 3인(2001), <청소년의 음주 및 약물남용실태와 관련요인 분석>,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23 정진주(2002), '여성의 일과 건강: 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8(1): 143-172
24 Gutek, Barbara A., Rena L. Petetti, and Deborah L. Silver (1988), 'Non-Work Roles and Stress at Work', In C. L. Cooper and R. Payne (eds.), Causes. Coping and Consequences of Stress at Work
25 Kanter, R. M. (1977),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26 이재열(199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19(1): 1-45
27 한경혜 . 송지은(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3(1): 51-73
28 김영옥(1999),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 분석' , 한국여성개발원 '98 연구보고서 230-22
29 송현종 . 이명선(1996), '산업장 보건교육과 노동자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일부 중소규모 산업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5(2): 1-22
30 방하남(1996), '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전이과정의 동태적 분석: 미국 젊은 여성들의 경우', <한국사회학> 30(봄): 93-124
31 박형철 . 박종 . 이윤지 . 문강(1991) '저(출생)체중아의 출생과 산모의 제요인과의 연관성', <예방의학회지> 24(3): 356-362
32 한성현(1994), '일부 노동자들의 예방행태가 신체적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논문집> 17(1)
33 한국여성개발원(2000), '전업주부의 심리 . 정서적 안녕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2000년도 연구보고서 240-1, 한국여성개발원
34 Smith, Ken R. (1985), 'Work Life and Health as Competing Careers: An Event-History Analysis', in Life Course Dynamics: Trajectories and Transitions, 1968-1980, G. Elder Jr.(ed.),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35 통계청(1998), <경제활동인구연보> , 서울: 통계청
36 Marks, Stephen R. (1977), 'Multiple Roles and Role Strain: Some Notes on Human Energy, Time and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2: 921-936   DOI   ScienceOn
37 김두섭 . 박상태 . 은기수(2002), <한국의 인구> , 통계청
38 박수미(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 32(2): 14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