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Usage of Beauty Contents in a Multi-Channel Environment: A Niche Analysis of Webzines, Televisions and Online Video Platforms (다매체 환경에서의 뷰티 콘텐츠 이용: 웹진, TV,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간 적소분석)

  • Lee, Sung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261-270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peting relationships among webzines, TVs and online video platforms in terms of usage gratification of consumption of beauty contents based on niche theory. Five types of usage gratification including information, entertainment, attractive characters, convenient usage and honesty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and they were used for niche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wider breadth than webzines and TVs in all dimensions of usage gratification except for attractive character and TVs and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least niche overlap.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online video platforms had the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the other media in terms of convenient usage and honesty. This study has meanings in a way that it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how the future consumption patterns of beauty contents will be.

Design of H.264 Software Decoder Based on WIPI Platform (WIPI 플랫폼 기반의 H.264소프트웨어 디코더 설계)

  • Jeong Sa-Kyun;Chang Ok-Bae;Yoo Cheol-Jung;Kim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634-636
    • /
    • 2005
  • 모바일 단말 기반 동영상 서비스 기술에 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유선 인터넷 기반에서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 분야까지도 모바일 단말의 성능과 무선 네트워크 플랫폼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모바일에 응용하고자하는 시도 또한 계속되고 있다. 현재 모바일 단말 기반 영상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기반으로 구현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현재의 서비스 형태는 새로운 동영상 코덱 알고리즘과 동영상 데이터 통신에 대한 여러 제어 구조 변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영상서비스 기술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디코더 개발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디코더의 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동영상 미디어 플레이어 개발과 동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및 트래픽 제어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술의 변화에 즉각적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추가적인 하드웨어 칩의 내장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 원가절감과 모바일 단말기 재사용을 통한 자원 절감에 많은 기여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WIPI 플랫폼을 기반으로 컴포넌트 기반 설계를 이용한 H.264 동영상 소프트웨어 디코더를 설계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video player on th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ar Wireless)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기반의 동영상 플레이어 구현)

  • Han, Jong-Min;Han, Sang-Beom;Jeong, Jin-Hwan;Yoo, Hy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691-693
    • /
    • 2001
  • 현재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기존의 플랫폼들보다 나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플랫폼들이 채용되고 있지만, 동영상 처리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의 계산 능력이 낮아 동영상 처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선 중간 데이터를 사용한 동영상 처리와 같은 새로운 모텔이 필요하다. 중간 데이터를 사용한 모델의 장점은 시스템 자체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요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 PDF

IMT-2000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 서은주;이상민;김윤관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8 no.8
    • /
    • pp.88-98
    • /
    • 2001
  •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음성 위주였으나, 현재에 와서는 음성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게임, 위치, 동영상, 전자상거래, 모바일 오피스 등의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아이디어를 신속히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무선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커지자, 자바, BREW, stinger, SIM toolkit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비동기 표준 단체인 3GPP에서는 이들 현재 기술들을 바탕으로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인 MExE를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대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입장과 각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Video Content Application Based on Mobile Device Platform in China (중국의 Mobile Device Platform 기반 영상콘텐츠 Application 연구)

  • ShI, Yu;Chung, Jean-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433-438
    • /
    • 2019
  • In this paper, the write analysis the application of basic video content of Mobil Device Platform in China and studies the future development scheme. According to the survey, as of 2019, 78% of Chinese total population is the Internet service users and application software users. Mobile Device Platform is independently developed to provide video content application services, which already have 640 million video application users from 2013 to the present. 65% of users install and use more than two video content applications. In China TikTok, Kuai Shou, MeiPai and other video content applications, not only can easily achieve simple user interface and users can directly shoot video content. These production functions is different from YouTube, a famous video platform in the United States. In the video platform market, the core competitiveness is content creation. In the future, the integration of video content of VR, AR and other video projects will expecte to further activate the video platform market.

The Multimedia Sign Language Dictionary by Internet using JAVA - Web Sign (JAVA를 이용한 인터넷 멀티미디어 수화사전 - Web Sign)

  • 강석훈;우요섭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6
    • /
    • pp.591-59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수화사전 Web-Sign을 설계 및 구현한다. Web-Sign은 여러 가지의 검색조건에 의한 수화동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고 관련 정보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Web-Sign은 100% JAVA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플랫폼과 OS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애플릿과 어플리케이션으로 모두 배포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웹 브라우저에 의한 접속은 애플릿을 자동으로 지원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 모든 데이터는 On-Line 혹은 Off-Line 형태로 전송이 가능하다. 검색방법은 단어입력, 가나다순서별 선택, 동작정보(수위소)선택, 동작화면에 의한 선택, 수화 교과서〔10〕의 챕터순서별로 선택, 주제별 수화분류에 의한 단어선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등록된 동영상은 현재까지 총 500 여개이며 각 동영상에 대한 시작 및 끝 화면의 정지영상 1000여개와 빠른 전송을 위한 동영상 1000여개를 참고자료로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Web-Sign은 많은 검색방법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수화를 익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mart Platform Design for Location based Drama Contents Services (위치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서비스용 스마트 플랫폼 설계)

  • Choi, Youngh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1
    • /
    • pp.37-41
    • /
    • 2017
  • In this paper, a platform was proposed that can service the streaming of location based real-time video-clip for smart-travel-services to work with PPL(Product Place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drama like as LTE GPS and Beacon were used to provide the drama video with the PUSH service. And PPL DB with the attributes like as picture, video, music and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was designed. As a result, this platform could provide the location based video streaming service that could replace the original PPL properties, color or shape, with the other properties by the interactive tagging the PPL DB in drama scenes. The proposed platform could provide the location based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 that can alter the PPL properties with the request of service provider.

Utilization of Mobile New Media based on Video Curation (동영상 큐레이션 기반 모바일 뉴미디어의 활용)

  • Cho, Kwangmo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2
    • /
    • pp.51-56
    • /
    • 2020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obile new media solution that enables e-commerce shopping mall operators, band operators, and YouTube creators to create synergies in online and offline promotion by posting related video contents on the media in addition to their own videos. By providing videos in the field of the platform without directly searching for them, it is possible to provide users with a new type of marketing means that can promote their platform while providing interest and information. Prospective creators at home and abroad who produce video can upload their own video in addition to YouTube and afreeca TV, such as the open market for video, and use independent and free charging systems to manage independent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self-branding, and content management.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mobile-based new media equipped with a system.

A Study on Linked Platform and Techonology of Big Data and IoT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의 연계 플랫폼 및 기술에 관한 연구)

  • Park, Kyung Yeob;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350-353
    • /
    • 2017
  •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사물 인터넷으로서 사물을 서로 연결 및 통신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사물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수많은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빅데이터(big-data) 기술이 대두되었다. 빅데이터는 정형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 등의 비정형 데이터 또한 분석하고 활용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과 빅데이터 기술은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의 특성에 기초하여,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에 대한 정의와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을 연계해 활용한 실제 플랫폼과 스마트 시티 등에 대한 실생활에 쓰이는 실제 사례 및 기술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Scene extraction technology on deep learning for media production (미디어 제작을 위한 씬 검출 기법)

  • Song, Hyok;Ko, Min-So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84-185
    • /
    • 2022
  • 인터넷 환경의 변화에 따라 텍스트 기반의 정보 전달에서 멀티미디어 기반의 스트리밍 방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또한 대용량의 동영상 데이터뿐 아니라 Shorts, Clip Reels 또는 등 다양한 방식의 동영상 형태로 배포되고 있으며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손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대용량 콘텐츠, TV, Youtue 콘텐츠를 포함하여 소용량 동영상 편집에 필요한 영상 제작 기술에서 가장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은 편집 단계로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화하고 있으며 영상편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인 씬검출 기법을 개발하였다. 키프레임 검출 기법과 유사도 기법을 이용하여 씬을 추출하였으며 블록 Cost Function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여 0.5214의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