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자극

Search Result 45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for Words on Implicit Memory (단어에 대한 공각적 주의가 암묵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심원목;김민식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13-22
    • /
    • 2000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spatial attention in implicit memory for words when the word identity processing was not required. Spatial attention to the identity-irrelevant perceptual features of the words was manipulated by using a visual search task (Experiment 1) or a focused attention task (Experiment 2). In two e experiments. a significant priming effect was not found for the target words as well as for the distractor words. Implicit memory for words was not affected by spatial attention on the perceptual properties of the words. indicating that the word identity processing is required to produce priming.

  • PDF

Induction of Expension and Shrinkage in Spatial Location Using Double-Step Paradigm (이중도약과제를 사용한 공간의 확장감과 축소감 연구)

  • 김경한;이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83-188
    • /
    • 1997
  • 안구의 운동은 시각 환경에서의 진행중인 정보처리와 관련된 지각적, 인지적 과정을 밀접히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특히 공간 지각과의 상관은 비교적 명확히 확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에 관여하는 안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지각을 반영하는 안구운동 지표를 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피험자가 느끼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의 특성을 이중도약과제(double-step paraeigm)를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이중도약과제는 도약(saccadic)안구운동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실험기법으로, 두개의 시각자극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보여주되, 두번째 자극은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도중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공간에 대한 피험자의 공간적응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과제는 다시 자극의 이차도약 방향에 따라 축소감 조건과 확장감 조건으로 나뉘었고, 머리운동의 역할을 판별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한 조건과 머리를 자유롭게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소감 조건에 대한 적응이 확장감 조건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그 적응후의 시선이동의 변화량에서도 축소감 조건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머리를 자유롭게 할 공간 지각의 정확성이 증가하며, 축소감과 확장감 경험속도의 차이가 약 49.2%까지 해소되었으나, 여전히 축소감의 경험이 더 잘 일어났다.

  • PDF

Brain Activation of reading Hangul and recognizing Pictures (한글 문자와 그림인지에 관한 자기공명 영상 연구)

  • Yoon, Hyo-Woon;Cho, Kyung-D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319-322
    • /
    • 2004
  • 한글은 알파벳 문자처럼 소리를 바탕으로 한 표음문자이지만, 각 글자의 형태는 표의문자인 한자와 유사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 영상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이 한글문자와 그림을 인지할 경우 나타나는 신경망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한글과 그림 자극에 대하여 양반구 모두에서 후측두엽 부위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전두엽과 측두엽 부분의 활성화는 오직 한글자극의 경우에만 관찰되었다. 좌반구 중전 두엽의 활성화는 음성 및 의미론적 처리와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우반구 anterior cingulate 활성화는 언어 및 소리의 형성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반구 medial frontal 영역인 BA 8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 영역은 시각적으로 고차적인 비음성적 자극을 통제하거나 그와 유사한 시각공간적인 정보의 분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글의 특성적인 형태가 특정 영역을 활성화시킨 것을 시사한다.

  • PDF

New motion - induced- blindness (운동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지자극의 의식에서의 소멸)

  • 이형철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4 no.4
    • /
    • pp.9-19
    • /
    • 2003
  • Bonneh, Cooperman and Sagi (2001) reported that when a global moving pattern was superimposed on high-contrast stationary stimuli, the latter disappeared and reappeared alternatively for periods of several seconds. They named this as motion-induced-blindness. In present research a rotating transparent cylinder composed of white dots was superimposed on a stationary green dots. When observers watched these stimuli wearing a red filter on his/her right eye, the stationary green dots disappeared or reappeared as did in Bonneh et al. The new MIB was observed only when the cylinder rotated and observers weared a red filter. As the luminance contrast of the green dots and that of white dots against the background reduced, and as the number of green dots and white dots decreased, the duration of MIB reduced. Also, the relative depth of the rotating cylinder and the stationary green dots affected the duration of MIB.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new MIB is different from the MIB which was observed by Bonneh et al and that the new MIB cannot be explained by binocular rivalry. Further more, the results imply that the later stage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s involved in the new MIB.

  • PDF

The Effect of the Selective Cognitive Program Training on the Cognition, Activity Daily Living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선택형 인지자극프로그램 훈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 일상생활활동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Hwang, Min-Ji;Bang, Yo-Soo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7
    • /
    • pp.521-52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iz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 The program consisted of 7 sessions,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rch 4 to April 26, 2019. As a result, customiz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improved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and it also increased the level of independence in the daily living and reduced the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t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fore, the customized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present the cognitive tasks to the subjects for selection that induced interest and proved to be effective. Afterward, the activities were organized by difficulty according to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for each session,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dditionally, the subjects were experienced success by participating actively and continually in the activities selected with interest. Through this, it was though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pontanei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crease depression.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using the Visual-Auditiory Stimulation (시청각 자극을 이용한 공간인지 분석)

  • 심해영;정우석;양길태;김철생;김남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99-2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자극, 청각 자극, 시청각 자극을 이용하여 인간의 공간인지 능력과 감각-운동 협응 정도를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과거에 시력과 청력장애를 경험하지 않은 20대의 정상성인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EOG, EMG등의 생체신호와 3차원 좌표추적장치(FASTRAK)를 이용하여 지시운동시 손가락의 위치좌표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시청각 자극에서 가장 작은 인식오차를 보였고 공간인지에 있어서 시각이 청각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immediate and delayed recognition on Event-Related Potentials in a continuous recognition memory task (연속재인과제에서 즉각적 재인과 지연 재인이 사건관련전위에 미치는 영향)

  • 김명선;조상수;권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55-60
    • /
    • 2000
  • 연속재인과제에서 자극을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하거나 지연 반복 제시할 경우 사건관련전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만약 차이가 관찰되면 자극 제시 후 어느 시점에서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즉각적 재인이 지연 재인에 비해 더 높은 반응정확율과 더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고 사건관련전위에서는 P300의 진폭이 더 컸고 잠재시간도 더 빨랐다. 그리고 지연재인에서 관찰되는 N400이 즉각적 재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연재인에 비해 즉각적 재인에서 P300의 진폭이 더 크고 잠재시간이 더 빠르게 나타난 것은 P300이 template matching을 통한 정보처리 과정을 반영해 준다는 주장을 지지해 준다. 즉 즉각적 재인에서는 지연 재인에 비해 template matching이 훨씬 더 정확하고 빨리 일어나며 이 결과 P300의 진폭이 커지고 잠재시간이 더 빨라진 것으로 이해된다. 즉각적 재인에서는 방금 제시된 자극(시간 간격은 2초)을 재인하기 때문에 기억의 탐색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반면 5개의 간섭 단어 후에 반복 제시되는 단어를 재인하는 지연 재인에서는 단어에 대한 탐색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N400이 초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과는 N400이 기억 탐색 과정을 반영한다는 주장을 지지해 준다. 사건관련 전위에서 즉각적 재인과 지연 재인의 차이는 자극 제시 300ms에서 450ms사이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

말 실수와 의미 및 음운 정보 처리: 실험식 유도 말실수의 분석

  • Go, Hye-Seon;Lee, Jeong-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114-122
    • /
    • 1996
  • 그림자극의 명명에 있어서 이름의 의미유사성, 음운유사성, 그리고 처리부담(말속도, 기억 부담)이 말 실수 오류수와 명명 시간에 주는 영향을 알기 위해 2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의미(유사/상이), 음운(유사/상이) 변인에 추가하여 실험 1에서는 말속도(330ms, 385ms, 770ms)의 변인이, 실험 2에서는 인지적 부담(높음/낮음)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의미유사성과 음운유사성, 그리고 인지적 처리 부담이 말 실수의 양과 그림자극 명명 시간이 증가시킴이 드러났다. '의미유사' 조건 및 '음운유사 조건'과 '의미-음운 모두 유사' 조건간의 말실수의 양의 차이는 말 산출 과정에서의 어휘 인출 과정에 대한 '독립적 2단계 모형'과 '활성화 상호작용 모형' 중 전자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이 논의되었다.

  • PDF

The Influence of Depth Context on Blind Spot Filling-in (깊이 맥락이 맹점 채우기에 미치는 영향)

  • Park, Kyung-Mi;Cha, Oa-Kyoon;Kim, Sang-Rae;Im, Hee-Yeon;Chong, Sang-Chul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8 no.4
    • /
    • pp.351-37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op-down information influenced the filing-in of the blind spot. Two potential stimuli, which could fill in the blind spot, were presented at the location of the blind spot. When the two stimuli competed against each other to fill in the blind spot with equal probability, the depth-context of one of the stimuli was manipulated. We used an overlapping cue as our depth-context. Participants' task was to report the relative depth of a target presented in the blind spot. We found that the overlapping rue influenced the frequency of reported depth. These results, however, were nor observed in the off blind sp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p-down information such as an overlapping cue influences the filing-in of the blind spot.

  • PDF

The Time-course of Interaction between Perceptual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 System (시간경과와 처리유형에 따른 지각적 표상체계와 의미적 표상체계의 상호작용)

  • 김성일;이정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45-55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conceptual representational system was implicitly accessed while processing semantically similar but perceptually dissimilar pictures either conceptually or perceptu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iming effects for the semantically similar picture pairs were found in conceptually driven processing but the effect was not found in data-driven processing. In addition. the semantic priming effect was found with 24 hour delay between the stimuli, Th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ratio and priming effects indicated that the priming effect was largely affected by semantically similar pictures. but recognition was relatively u unaffected,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ceptual Representational System (PRS)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al System (CRS) be involved during conceptually driven processing, but both PRS and CRS function independently during explicit recogn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