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기능

Search Result 1,8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nd cognitive training effects (인지기능 및 인지훈련효과의 관련변인에 관한 예비연구)

  • Kim, Young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343-351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ed variables of cognitive function,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cognitive training effects. The cognitive training was composed of mete-cognitive education and cognitive task performing. Twenty older adults attended for 14 weeks and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show that their cognitive level was related with age, self-esteem and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was related depression, anxiety, personality trait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ubjective age, but it does not reflect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s. Their cognitive test scores were enhanced after training in MMSE,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nd enhanced scores were related with age,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xiety, self-efficacy, self-esteem, subjective age and personality traits. Findings suggest one'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state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Neuro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외상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 Oh, Byoung H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 no.2
    • /
    • pp.177-185
    • /
    • 1995
  • 외상후 뇌손상은 대표적이며, 가장 중요한 신경정신계 질환의 하나이다. 더욱이 외상후 뇌손상 환자들은 각종의 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다양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상후 뇌손상은 손상의 시점에서부터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는 물론 손상후의 경과 및 치료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는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신경인지기능평가는 뇌의 손상부위와 이와 관련된 기능장애 및 행동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신경인지기능 평가의 영역은 지각, 운동기능은 물론 주요인지기능인 기억, 언어, 실행 및 감정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외상후 뇌손상환자들은 손상부위 및 정도에 따라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경인지기능평가 도구로는 KWIS,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batteries, 특히 전두엽기능검사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를 비롯하여, 현재는 PC/S Vienna Test System 및 Stim등의 각종 전산화 인지기능검사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즉 외상후 뇌손상환자를 위한 신경인지기능평가의 목적은 뇌손상과 관련된 신경인지기능장애를 정확히 평가하여,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인지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물론 여기에는 신경정신상태검사(neuropsychiatric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통하여 외상 후 뇌손상의 경과 및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의식소실 및 외상후 기억 손상 시간의 정확한 측정은 물론 심리 사회 문화적인 상태와 두부외상전 환자의 지적수준 및 사회 적용기능이 함께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Neuromuscular Reeducation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Hemiplegic Patients (신경근 재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인지와 기능에 미치는 효과)

  • Shin, Hong-Cheul;Kim, Woong-Gak;Lee, So-Joon;Kang, Jeong-Il;Peak, Heon-Hee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
    • v.9 no.3
    • /
    • pp.7-17
    • /
    • 2002
  • 편마비 환자의 인지 기능과 운동 및 신체적 기능에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 기능이 편마비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인지 영역의 손상이 편마비 환자의 독립적 기능 및 수준 향상의 예언 인자로서의 고려해야 할 개념을 검사나 평가 척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한방병원에 입원 및 통원하고 있는 52-73세의 연령 범위에 있는 편마비환자 20명 이다.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능력, 운동 회복, 신체적 기능 그리고 인지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임상적 결과 변인 척도, 운동 평가 척도와 바델 척도 그리고 기능적 독립성 측정 척도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운동 그리고 기능적 능력 상태를 평가도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분석한 바 운동, 신체적 그리고 인지적인 영역과 기능적 독립 측정 척도 및 바델 척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결함이나 손상 부위, 손상의 본질에 따른 대상의 선정과 운동 조절 형태에 관한 지식 그리고 인지와 신경학적 결함 정도를 심도있게 다루어 기능적 능력 향상의 임상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ACLT and FIM, MMSE-K, and MFT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각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의 상관관계)

  • Lee, Sang-H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9
    • /
    • pp.287-29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CLT(Allen Cognitive Level Test) and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nd MFT(Manual Function Test). 38 elderly persons with stroke were recruit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is used for correlation tes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LT and FIM, MMSE-K, and MFT(p<.05). This results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dicated the usability of ACLT as a cognition assessment tool and the need of research for it's application in stroke patients.

The Usefulness of Icon and Label Displays (표상방식에 따른 아이콘과 레이블 디스플레이의 유용성 비교)

  • 이주환;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2-98
    • /
    • 2002
  • 복잡한 기능이나 개념을 제한된 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아이콘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아이콘 개발이 디자이너의 미적인 기준이나, 시스템에서 일률적으로 사용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이나 레이블같이 서로 다른 표상들이 그 표상 방식의 유용성 측면에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기능의 표상 방식이 다르면, 아이콘이나 레이블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른 인지 처리 체계를 거친다는 기본 가정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을 기존에 형성된 표상 방식들 가운데서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표상들로 분류한 기준을 이용하여, 실제 컴퓨터 사용자 환경에서 통용되고 있는 아이콘들을 수집, 분류하고, 각각의 표상 방식에 따른 아이콘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레이블과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을 익혀야하는 초기에는 아이콘보다 레이블과 같은 텍스트가 더욱 효과적이지만, 익숙해진 후 그 수행이 비슷해짐을 확인했다. 그러나 임의적 표상방식으로 디자인된 아이콘은 레이블보다 더 부정확하고 느린 수행을 지속적으로 나타냈고, 기능의 세 가지 표상방식에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수행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이는 아이콘과 같은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사용 단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인지적 속성인 표상 방식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De Navigation Tools for Electronic Documents Based on Cognitive Process (인지과정을 고려한 전자문헌의 내비게이션 도구에 관한 고찰)

  • Lee, Byeong-Ki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1
    • /
    • pp.48-67
    • /
    • 1999
  • In an advanced computer and information network technologies, users are rapidly approaching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will be created, delivered, managed and stored, using vastly different methods to traditional pap r based system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contains not only physical access, but also cognitive process in which reading, viewing, analyzing, reasoning etc.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usabili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cognitive process. But, currently Navigation tools for using electronic documents depend on physical searching without considering cognitive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feasibility of using overal cognitive process in developing navigation tools. Six cognitive process style have been analyzed to find common skill of information seeking process. Also this study suggests skills that needs to introduce to functions of navigation tool, such as searching, filtering, visualization, traversal, content structure.

  • PDF

A study of cognitive load affected by cognitive ability (인지부하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ang, Yeong-Wook;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67-1070
    • /
    • 2011
  • 현재 뇌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파나 뇌의 활동들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들이 개발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기중 뇌의 기능에 대한 연구들도 화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의 기능은 보고, 듣고, 말하고, 생각하는 등의 모든 행위들과 연관되어있다. 또한 그러한 기능들은 인지능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인지능력은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인지부하라고 하고, 과도한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는 인지과부하라고 한다.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이 변화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Anti-brain centrism and the dilemma of functionalism (반두뇌중심주의와 기능주의의 딜레마)

  • Shin, Sang-Kyu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2
    • /
    • pp.79-101
    • /
    • 2011
  • This paper analyzes the central tenet of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o the mind which emphasize the essential roles that the body and the environment play in cognitive processes. Those approaches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neo-Cartesian conception of the mind, which views the 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as the same with, or as being realized by the brain processes. However, we can also observe potential tensions among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es. This paper highlights a tension between Shapiro's view of embodied cognition and Clark's view of extended cognition by reconsidering them against Block's dilemma of functionalism. Shapiro's view may be regarded as a chauvinistic form of functionalism, whereas Clark's view is a very liberal form of functionalism.

  • PDF

Exploratory Study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Focus on the Thought-Evoking Function (이미지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사고유발기능을 중심으로)

  • Lee, Mo-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6
    • /
    • pp.3599-3608
    • /
    • 2014
  • This paper discusses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focusing on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the image. Collages artworks were developed to determine how specifically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an image takes effect in actual cases. In addition, the cognitive respons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on the image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thought-evoking function of the image,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The image performs the function to concentrate attention on a specific object and to process it more thoroughly. The image increases the immersion of the participants, evoked thought and activated conversation. This study prob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image and is expected to greatly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 into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a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 Scaffolding Tools for Enhancing the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 개발 및 적용)

  • Lee, Kiyoung;Heo, Junhyuk;Park,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4
    • /
    • pp.545-5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gnitive scaffolding tools and to explore their effects on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cognitive scaffolding tools including one kind of classroom instruction for training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two kinds of individual learning materials that students can selectively study according to their level of inquiry ability. In addition, we developed hypothetico-deductive inquiry tasks as a tool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tudents on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for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we conducted inferential statistics on the pre-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tudents' inquiry level change depending on the usage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We also produced Wrightmaps based on Rasch model to compare the change of inquiry ability depending on usage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ll the components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namely, designing inquiry, collecting data, analyzing data, and forming conclus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students who used cognitive scaffolding tools improved their inquiry ability and showed a distinct transition to higher level in each component of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 cognitive scaffolding to alleviate or eliminate the functional barriers they face in conducting scientific inqui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