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Neuromuscular Reeducation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Hemiplegic Patients

신경근 재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인지와 기능에 미치는 효과

  • Shin, Hong-Cheul (Dept. of Physical Therapy, KunJang College) ;
  • Kim, Woong-Gak (Dept. of physical Therapy, Won Kwang Health Science College, Dept. of Physical Therapy, SiHeung Medical) ;
  • Lee, So-Joon (Dept. of Physical Therapy, Hanil Hospital) ;
  • Kang, Jeong-Il (Dept. of Physical therapy, Woo Seok University Gimje Oriental Hospital) ;
  • Peak, Heon-Hee (Dept. of Physical Therapy, KunJang College)
  • 신홍철 (군장대학 작업치료과) ;
  • 김웅각 (원광보건대학 물리치료과.시흥 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 이소준 (신탄의료원 물리치료실) ;
  • 강정일 (우석대학교 김제 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 백현희 (군장대학 작업치료과)
  • Published : 2002.10.29

Abstract

편마비 환자의 인지 기능과 운동 및 신체적 기능에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 기능이 편마비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인지 영역의 손상이 편마비 환자의 독립적 기능 및 수준 향상의 예언 인자로서의 고려해야 할 개념을 검사나 평가 척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한방병원에 입원 및 통원하고 있는 52-73세의 연령 범위에 있는 편마비환자 20명 이다.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능력, 운동 회복, 신체적 기능 그리고 인지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편마비 환자를 위한 임상적 결과 변인 척도, 운동 평가 척도와 바델 척도 그리고 기능적 독립성 측정 척도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운동 그리고 기능적 능력 상태를 평가도구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분석한 바 운동, 신체적 그리고 인지적인 영역과 기능적 독립 측정 척도 및 바델 척도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편마비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결함이나 손상 부위, 손상의 본질에 따른 대상의 선정과 운동 조절 형태에 관한 지식 그리고 인지와 신경학적 결함 정도를 심도있게 다루어 기능적 능력 향상의 임상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