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강화

검색결과 642건 처리시간 0.047초

실봇(Silbot)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a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combined Silbot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Elderly:A Pilot Study)

  • 정혜진;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02-411
    • /
    • 2023
  • 본 연구는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주관적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복지관에서 수행되었다. 실봇과 인지강화를 병용한 총 20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한국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우울(GDS), 치매예방행위(DPB)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은 노인의 인지기능(t=-4.49, p<.001), 우울(t=2.58, p=.02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실봇을 병용한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 완화에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을 위한 언어기반 인지강화 기능성 게임 구현 (Implementation of Serious Games with Language-Based Cognitive Enhancement for BIF Children)

  • 류수린;박현주;정동규;백경선;윤홍옥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51-1060
    • /
    • 2018
  • 본 연구는 경계선지적기능 아동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으로 '언어기반 인지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해당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화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콘텐츠는 4개 인지 영역(감각지각, 주의집중, 작업기억, 추론/지식)에 대해 4개 언어 차원(음소-단어-문장-담화)의 활동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16개의 언어활동 콘텐츠를 모바일 앱 게임으로 구현하여 일반아동과 BIF아동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파일럿 테스트 결과, 두 집단의 게임 수행시간과 정확도 측정치는 지능 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게임의 난이도에 따른 수행시간과 정확도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게임 구현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게임 시행 전 후 실시한 인지과제의 수행시간 변화를 통해 두 집단 모두에게서 인지강화 효과를 엿볼 수 있었다.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강화학습 기반 협력 센싱 기법 (Reinforce Learning Based Cooperative Sensing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 김도윤;최영준;;최증원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43-1050
    • /
    • 2018
  • 본 논문은 인지 무선(CR, Cognitive Radio) 네트워크에서 우선 사용자(Primary User)의 존재 유무를 2차 사용자(Secondary User)가 결정하기 위하여 협력 센싱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스펙트럼 센싱의 감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강화 학습(Reinforce learning) 기반으로 최적의 인지 무선 사용자 선택하는 협력 센싱 방안을 제안한다. 협력 센싱을 통해 파악한 전역 센싱 결과와 인지 무선 사용자의 센싱 결과 간의 유사도에 따라 정확도가 높은 사용자를 파악한다. 이 정확도를 강화학습의 보상으로 사용하여 협력 센싱을 수행할수록 전역 결정과 일치하는 센싱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이 기존 협력 센싱 대비 향상된 스펙트럼 감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부분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확정된 Q-Learning (Extended Q-Learning under Multiple Subtasks)

  • 오도훈;이현숙;오경환
    • 인지과학
    • /
    • 제12권1_2호
    • /
    • pp.25-34
    • /
    • 2001
  • 지식을 관리하는 것에 주력했던 기존의 인공지능 연구 방향은 동적으로 움직이는 외부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기본 능력을 이루는 많은 학습방법 중에서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강화학습은 일반적인 사례에 적용하기 쉽고 동적인 환경에서 뛰어난 적응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강화학습은 에이전트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결과는 강화학습으로 구축된 에이전트로 해결할 수 있는 작업의 난이도에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을 처리할 경우에 기본의 강화학습 방법은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된 작업이 왜 처리하기 힘든가를 분석하고, 이런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EQ-Learning의 강화학습 방법의 대표적인 Q-Learning을 확장시켜 문제를 해결한다. 이 방법은 각각의 부분 작업 해결 방안을 학습시키고 그 학습 결과들의 적절한 순서를 찾아내 전체 작업을 해결한다. EQ-Learning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격자 공간에서 복수의 부분작업으로 구성된 미로 문제를 통하여 실험하였다.

  • PDF

청각장애인을 위한 상황인지기반의 음향강화기술 (Sound Reinforcement Based on Context Awareness for Hearing Impaired)

  • 최재훈;장준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109-1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향 데이터를 이용한 음향강화 알고리즘을 Gaussian Mixture Model (GMM)을 이용한 상황인지 시스템 기반으로 제안한다. 음향 신호 데이터에서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특징벡터를 추출하여 GMM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결과에 따라 위험음향일 경우 음향강화기술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상황인지 기반의 음향강화 알고리즘이 다양한 음향학적 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정보보안 인지가 역량강화와 정보보안 행동에 미치는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f elderly welfare workers on Security Empower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 윤일현;이재규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15
    • /
    • 2016
  • 노인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증가와 함께 노인에 대한 정보보안 사례관리가 중요시 되었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노인 보호를 위해 노인의 개인정보, 사회복지서비스 정도 등 중요한 정보를 관리함에도 직무수행체계나 정보보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보보안 인지가 정보보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정보보안 역량강화를 매개로 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종사자들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보안 인지(개인경험, 정보 기술이해, 정보보안 인식,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역량강화, 정보보안 행동의 구조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수준으로 집단 간 차이 있었다. 또한 정보보안 행동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정보보안 역량강화가 정보보안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업 보안관리 강화의지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Firm Security Management)

  • 황종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213-235
    • /
    • 2013
  • 본 연구는 기업의 보안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현실을 지적하고 보안관리를 유연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적절한 해결안을 조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안관리의 강화의지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몰입, 보안위험 경험, 인지된 혜택, 파트너 의존성, 총 4가지의 외생변수를 제안하고 강화의지와 실행의 사이를 강화시켜줄 조절변수로 IT불안정성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 검증하기 위해 AMOS 19.0을 사용하여 209개 설문을 구조방정식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트너 의존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 즉 조직몰입, 보안위험 경험, 인지된 혜택, 파트너 의존성은 보안관리 강화의지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단위의 보안관리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근거를 제안하고 실무적 관리 지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의 비판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on)

  • 장혜윤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17-25
    • /
    • 2022
  • 정보격차와 관련된 사회문제가 증가하는 가운데 노인은 정보소외계층으로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가짜뉴스와 같이 디지털 환경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미디어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운영적 역량과 정보검색 및 활용 역량은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욕구는 운영역량이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고, 정보검색 및 활용 역량이 정보의 비판적 수용행태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패러다임이 접근성 강화에서 정보에 대한 판단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 Study on the Impact of Cause-related Marketing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Huan Liu;Yazhu Zhao;Chi G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51-261
    • /
    • 2024
  • 본 연구는 S-O-R 이론과 사회적 정체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어떻게 원인 관련 마케팅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06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원인 관련 마케팅이 지각된 가치, 인지적 동일성, 그리고 구매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각된 가치와 인지적 동일성은 더 나아가 구매를 촉진합니다. 원인 관련 마케팅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 간의 중재자로서, 지각된 가치와 인지적 동일성은 마케팅 행동과 구매 의도 간의 연결을 강화합니다. 게다가, 강화된 지각된 가치는 소비자가 마케팅 활동에 대한 인지적 동일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즈니스 마케팅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통찰과 실용적 함의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