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증(certification)

검색결과 1,804건 처리시간 0.028초

전자의무기록 인증 후 의료기관 종사자 인식과 인증제 발전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fter electronic medical record certification)

  • 박초열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3-180
    • /
    • 2023
  • 본 연구는 2022년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관리포털에서 인증을 받은 전국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 인증 후 의료기관의 의료정보관리, 정보이용에 대한 업무변화에 관한 인식도와 EMR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검증을 통해 향후 인증제 발전 및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도의 단,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총 1,189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특히 EMR 인증 후 인증제도 인식 및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직종별 인식 차이는 평균분석과 ANOVA를 실시해 검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자의무기록 인증제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긍정적인 업무변화와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고,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인증 후 다각적인 측면(내부 인식, 시스템 기능성, 상호운용성, 보안성, 추진목적)에서 운영 효과를 보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통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를 보인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의 공장 인증 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t Certification Program for Precast Concrete Products)

  • 김형도;이상섭;박금성;배규웅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31-138
    • /
    • 2014
  •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강구조물의 품질 관리를 위해 철강구조물제작공장 인증제도가 건설기술관리법에 도입되어 법정임의 인증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부재의 공장 생산 방식인 PC (Precast Concrete)에 대해 국가적인 품질인증 체계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건축 구조용 PC를 대상으로 적절한 품질인증제도 도입을 위해 북미, 유럽, 일본 등의 PC 품질인증제도를 조사하였다. 미에서 PC 공장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PCI, NPCA, CPCI 등이 있다. 유럽에서 PC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CPR 305/2011을 따르도록 법으로 정해져 PC 제품을 포함한 모든 건설 제품은 2013년 7월부터 CE 마크를 의무적으로 부착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 토목용 PC 제품은 제품인증인 JIS 마크 인증을 받도록 되어 있고 건축 구조용 PC를 생산하는 공장은 일본 프리패브협회의 심사를 받고 있다. 이런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인증 체계에 부합될 수 있도록 건축 구조용 PC 제품의 인증제도의 도입 방향을 이 논문에 제시하였다.

국내 지능형건축물 인증제도 평가기준의 개정에 따른 인증전략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 인증기준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ies for Obtaining Certification in the Revised Assessment Standards on Intelligent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 Focused on Assessment Standards for Office Building Projects -)

  • 최여진;이상춘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77-82
    • /
    • 2012
  • With developments of architectural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t the knowledge-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the needs on intelligent buildings equipped with advanced systems to integrate both technologies. The intelligent building means a smart building which provides comfortable environments, realizes fast and spe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and maximizes work productivities by adopting various systems suitable to uses, sizes, and functions of buildings. In order to meet these needs of the times, the domestic intelligent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enforced in 2006. Recently, the intelligent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was newly revised for revitalizing the spread of intelligent buildings.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rating criteria and assessment standards of the new certification system focused on office building projects and suggests strategies for obtaining certifications by analyzing cases which were certified on the previous version of the system.

우리 나라 임산물무역(林産物貿易)에 대한 목재인증제(木材認證制)의 잠재적(潛在的) 영향(影響) (The Potential Impacts of Recent Developments in Timber Certification Schemes on the Korean Forest Products Trade)

  • 주린원;이성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68-377
    • /
    • 2000
  • 본 연구는 지구차원의 목재인증제(木材認證制)인 FSC인증(認證)과 ISO 환경경영체제(環境經營體制) 인증(認證)의 최근 동향을 검토하고 인증제(認證制)가 우리 나라의 임산물무역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목재인증표준(木材認證標準), 인증절차(認證節次) 및 인증(認證) 산림면적(山林面積) 등에 대한 자료 및 정보는 관련문헌과 지역 및 국제기구의 보고서 등으로부터 수집하였다. 목재인증제(木材認證制)가 우리 나라의 임산물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환경(環境)과 임산물무역과 관련된 주요어에 대한 인지도(認知度)와 환경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하게 경영된 산림에서 생산되는 라벨부착목재에 대한 추가지불의사(追加支拂意思)를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지구, 지역 및 개별국가차원에서 다양한 인증제(認證制)가 개발되고 있고 인증제(認證制)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인증목재(認證木材)의 시장공급량은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나, 인증목재(認證木材)의 수요는 현 단계에서 불확실하며 소비자의 인증목재(認證木材)에 대한 반응이 주요 결정인자(決定因子)가 될 것이다. 단기적으로 목재인증제(木材認證制)가 우리 나라 수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국내 목재소비자들이 환경관련(環境關聯) 무역조치(貿易措置)에 대한 관심이 낮고, 인증목재(認證木材)에 대한 추가지불의사(追加支拂意思)가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목재인증(木材認證)이 선진국 시장에서는 임산물수입장벽(林産物輸入障壁)으로 활용되고 있어 마루판이나 합판 등 유럽시장에 수출하는 임산물은 목재인증(木材認證)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인증제도 도입에 관한 인식조사 (A Study on Perception of Adoption of ISO 30301 Management System for Records Standard Certification)

  • 김효선;김지현
    • 기록학연구
    • /
    • 제42호
    • /
    • pp.73-134
    • /
    • 2014
  • ISO 30301 기록경영시스템 표준은 전략적인 기록관리 방안을 제공하여 조직의 성공적인 경영을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해당 표준을 2013년 5월 국가표준(KS)으로 제정하였으며, ISO 30301 표준의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인증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인증 운영체계의 정비는 물론 기록경영에 대한 사회 전반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도 도입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아직까지 국내에 ISO 30301 인증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ISO 30301 인증제도 도입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서는 ISO 30301 표준의 내용 및 구성과 해당 표준에 수반되는 인증제도에 대한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ISO 30301 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ISO 30301 인증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기록 및 인증제도 관련 업무담당자 5명과 국가기록원 직접관리기관 기록물관리 전문 요원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근거 이론방법(grounded theory methodology)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ISO 30301 인증제도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문제점과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해당 제도의 도입방안을 구축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X.509 인터넷 공개키 기반구조에서 Kerberos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fficient Kerberos Authentication based on X.509)

  • 김철현;신광철;김창원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641-65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ETF CAT Working Group에서 발표한 PKINIT기반의 인증서비스를 향상시킨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PKINIT기반의 X.509, DS/DNS를 적용하여 영역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과 키 교환 방식으로 DNS를 통해 외부영역의 위치를 탐색하고 X.509 디렉토리 인증 시스템을 적용, 영역간 인증은 DNS 서버로부터 공개키를 획득하여 다른 영역을 인증하도록 하였다. 영역간 인증과 키 교환은 Kerberos의 관용키 암호방식을 사용하고 세션 연결은 X.509 공개키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효율적인 TGT(티켓승인 티켓) 교환과 티켓의 재사용으로 통신상의 Overload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인증절차의 간소화를 가지는 Kerberos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공학교육인증제에서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에 대한 고찰 (Review on Improvement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ABEEK)

  • 김종화;이영호;박경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102-110
    • /
    • 2023
  • 공학교육인증 정기평가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의 경우 부족사항이 거의 없어야 하지만,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정기평가부터는 두 번째 부족사항에 대하여 조건부 인증으로 판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과 인증평가를 준비하면서 교육목표 설정에 대하여 프로그램 차원의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 환경변화를 고려한 프로그램 교육목표(이하 교육목표) 적절성 검토체계의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교육목표 개정 및 개선 과정에서의 세부인증기준 간의 연계 적용 방안 등에 대하여 인증기준, 공학교육인증평가 판정가이드 및 자체평가보고서 양식을 중심으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친환경 특성이 오피스 빌딩 가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o-friendly Characteristics on the Price of Office Buildings)

  • 소성규;조주현
    • 부동산연구
    • /
    • 제28권2호
    • /
    • pp.49-6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 오피스 건물을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등급이 오피스의 가격과 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건축물들의 매매가격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또한 친환경 인증등급이 높은 경우에 어느 정도의 환경부하비용이 저감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LCC(Life Cycle Cost) + LCA(Life Cycle Assessm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친환경 인증등급이 높을수록 업무용 오피스 가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CC 분석에서는, 친환경 인증등급을 높게 받은 건물이 그렇지 않은 건물보다 적은 생애비용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인증등급을 높게 받은 오피스 건물이 그렇지 않은 건물보다 환경부하비용(LCA)이 적게 든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LCC와 LCA를 통합한 TCA 분석에서는 친환경 인증등급을 높게 받은 건물이 그렇지 않은 건물보다 적은 사회적 총비용을 나타냈다.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제도 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Cloud Service Certification Systems)

  • 서광규
    • 정보화정책
    • /
    • 제18권1호
    • /
    • pp.24-44
    • /
    • 2011
  • 지난 몇 년간 클라우드 서비스의 혁신은 IT발전에 기여한 가장 큰 잠재력을 가진 기술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관점에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의 클라우드 관련 연구들은 기술 자체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둘러싸고 있는 비즈니즈 측면에서의 이슈들에 대한 이해도 시급하다. 점점 더 많은 개인과 기업의 정보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에 놓이게 되면, 주된 관심은 어떻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맞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증할 수 있는 인증제도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인증제도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과 인증과 관련된 핵심 이슈들을 식별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영역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영역의 인증제도를 위한 시스템적인 프레임 워크를 개발한다. 또한 개발된 인증제도의 평가방안도 제안한다.

  • PDF

한·중 녹색건축인증 체계 및 항목 비교를 통한 개선방향 연구 -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Items i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the Public Facilities -)

  • 김재영;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9-1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녹색건축인증기준 비교를 통해 차이점을 규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는 한국의 G-SEED 2016과 중국의 ESGB 2014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녹색건축인증 관련 자료는 건설기술연구원 녹색건축인증기준 2016 v1.2 해설서-신축비주거용 등을 참조하였다. 중국 녹색건축인증은 녹색건축평가표준(綠色建筑評價標准, GB/T 50378-2014)을 참조하였다. 비교대상은 G-SEED 2016의 일반 건축물 인증심사기준과 ESGB 2014의 공공시설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인증기관 및 평가대상, 평가분야 및 평가방식, 필수항목, 전문분야별 배점 및 가중치를 비교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