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식적 기준

Search Result 1,78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 Baek, In-Kyung;Wang, Seok-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1 no.4
    • /
    • pp.105-125
    • /
    • 2009
  •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the necessary criteria as a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nd to analysis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home economics teacher(RCHET) thereof to confirm the necessary criteria as a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requirement criteria of home economics teacher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2008)(KHEEA) collected from secondary, upper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students in Jeollabuk-do. RCHET encompasses the six areas : (l)'Expert of lesson related to evaluation' (2)'Efficient manager of diverse materials for study', (3)'Student advisor equipped with a teaching sense of duty and sound humanity', (4)'Curriculum expert equipped with a expertise knowledge', (5)'A fair and democratic schoolroom environment promoter'. (6)'Career path counselling expert understand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Through the factor analysis, six RCHET factors are more important to teachers than students. According to importance perception for RCHET, home economics teachers' qualification for minor second subject and participation of training program showed similar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all RCHET factors. Thus, effort for expertise improvement of teacher had important influence on expertise improvement of teach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from importance evaluation for RCHET, similar differences from frequence of home project, preference of home economics teacher,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score, interest of home economics showed statistically.

  • PDF

Speaker Adaptation Using Neural Network i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연속 음성에서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화자 적응)

  • 김선일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1
    • /
    • pp.11-15
    • /
    • 2000
  • Speaker adaptive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for the RM speech corpus is described in this paper. Learning of hidden markov models for the reference speaker is performed for the training data of RM corpus. For the evaluation, evaluation data of RM corpus are used. Parts of another training data of RM corpus are used for the speaker adaptation. After dynamic time warping of another speaker's data for the reference data is accomplished, error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is used to transform the spectrum between speakers to be recognized and reference speaker. Experimental results to get the best adaptation by tuning the neural network are described. The recognition ratio after adaptation is substantially increased 2.1 times for the word recognition and 4.7 times for the word accuracy for the best.

  • PDF

진동의 표현과 진동기준

  • 김문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9 no.1
    • /
    • pp.4-7
    • /
    • 1996
  • 진동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 등의 척도를 사용하여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국가별로 지반조건 및 사회적 특성에 따라 진동척도의 단위가 통일되지 않았고, 각 단위에 대한 진동기준도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기사에서는 진동변위, 진동속도, 진동가속도로 표현된 진동기준을 국외에서 연구 제시된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각기 다른 척도 및 단위로 표현된 기준들을 통일된 단위인 진동수준으로 표현하였다. 국내에서도 점차 진동문제에 대한 인식이 늘어감에 따라 진동기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실정에 적합하게 진동문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계측하고 평가하기에 편리한 진동 표현방법의 기준설정에 대한 기초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Merging Context Information and Recognition Result for Robust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잡음 환경에서의 강인한 음성인식을 위한 문맥 정보와 음성인식 결과의 융합)

  • Song, Won-Moon;Kim, Eun-Ju;Kim,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733-735
    • /
    • 2005
  • 최근 음성인식 분야 에서는 잡음 환경에서 좀 더 신뢰도 높은 음성 인식 결과물 얻기 위하여 인식 결과 도출 단계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융합 하는 방법이나 인식결과를 후처리 하여 새로운 결과를 얻어 내는 방법들이 연구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모바일 기기에서의 음성 인식 환경에서 사용자의 발화 패턴 정보를 가지는 문맥 정보를 활용함으로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정보 손실에 따른 인식률 하락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사용자의 기기 사용 로그나 발화 로그 정보로부터 특정 명령어들의 순차적 발화 패턴을 마이닝하여 문맥 정보를 구성한다. 이 후 음성 발화시에 인식기의 최종 인식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될 때 앞서 얻어진 문맥 정보의 신뢰도를 인식기의 각 후보단어들의 인식률과 융합하여 새로운 인식 결과를 도출해 낸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식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실험을 통하여 결정 하였으며 신뢰성이 기준 이하일 경우의 융합 과정을 위하여 후보 단어 인식률과 문맥정보를 적절히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김동호 변호사의 법률 칼럼

  • 김동호
    • 주택과사람들
    • /
    • s.221
    • /
    • pp.88-89
    • /
    • 2008
  •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주택의 일조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주거 환경에 반영하려고 노력해왔다. 이 같은 태도는 현대에도 이어져 수요자들은 주택을 매수하거나 임차하려 할 때 주택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주택의 일조를 꼽는다. 일조권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요즘, 일조권 침해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 PDF

Confusion Model Selection Criterion for On-Line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온라인 필기 숫자 인식을 위한 혼동 모델 선택 기준)

  • Park, Mi-Na;Ha, Jin-Yo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11
    • /
    • pp.1001-1010
    • /
    • 2007
  • HMM tends to output high probability for not only the proper class data but confusable class data, since the modeling power increases as the number of parameters increases. Thus it may not be helpful for discrimination to simply increase the number of parameters of HMM. We proposed two methods in this paper. One is a CMC(Confusion Likelihood Model Selection Criterion) using confusion class data probability, the other is a new recognition method, RCM(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s). In the proposed recognition method, confusion models are constructed using confusable class data, then confusion models are used to depress misrecognition by confusion likelihood is sub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standard model probability. We found that CMC showed better results using fewer number of parameters compared with ML, ALC2, and BIC. RCM recorded 93.08% recognition rate, which is 1.5% higher result by reducing 17.4% of errors than using standard model only.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Standards of Foodservice Management Associated with Long-Term Care Hospital Accreditation (요양병원 인증제 관련 급식관리 기준에 대한 영양사들의 중요성 인식도)

  • Lee, Joo-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4 no.10
    • /
    • pp.1558-156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etitians'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standards of foodservice management associated with long-term care hospital accredit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postal survey consisting of 500 questionnaires, and 157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scores of perception of importance were 4.54/5 points in foodservice production management domain, 4.56/5 points in foodservice facilities management domain, and 4.70/5 points in foodservice sanitation domain. The average scores of import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s without accredit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of hospitals with accreditation in items of 'establishment of ventilation equipment in kitchen', 'establishment of hand-washstand in toilet (warm-water, soap)', 'setup of sterilizing foothold in entrance of kitchen and toilet', 'division and use of knife, chopping board, gloves, and utensils before and after cook', 'establishment of cleaning plan and cyclic practice', and 'recording of receiving diary'.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a casebook of regulations by suggesting detailed and critical limits in the case of below average points of importance. A manual, including HACCP standards for foodservice management of long-term care hospitals, is needed, along with education and webpage for comparing notes on accreditat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The Implementation of Windows 95 Control System with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Windows 95 제어 시스템의 구현)

  • 남동선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3-46
    • /
    • 1998
  • 본 논문은 컴퓨터 사용에 미숙한 초보자나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신체적인 조건을 가진 장애인 또는 PC사용에 미숙한 사용자들을 위해 기존의 인터페이스에 추가적으로 음성을 사용하여 더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만들기 위한 음성을 이용한 Window95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인터페이스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인식 알고리즘으로는 연결어 인식에 사용되는 OSDP[1] 알고리즘을 단독어 인식에 적용하여 사용하였다. 특징 벡터는 화자 독립적인 특성을 지닌 Perceptual Linear Predictive(PLP)[2] 13차 계수를 사용하였다. 인식 대상 어휘는 윈도우 사용자에게 자주 사용되는 60개의 명령어로 설정하였다. 인식된 후 그 결과는 구현된 시스템의 명령 실행 모듈로 전달되어 윈도우 상에서 실제 수행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는 노트북 내장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성을 검출하였고 이를 위한 음성 구간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기준 패턴은 20대 남성화자 9인이 2회 발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화자 독립으로 온라인 인식률은 91.71%이고, 오프라인 인식률은 96.4%의 인식률을 얻었다.

  • PDF

Development of CDMA Based Monitoring Web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Control Points (효율적인 국가기준점 관리를 위한 CDMA기반 모니터링 웹 시스템 개발)

  • Oh, Yoon-Seuk;Lee, You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65-270
    • /
    • 2007
  • 국가기준점은 측량을 위한 주요 시설물로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가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는 환경은 측량을 위한 시야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삼각점의 경우 산 정상이나 인근 기준점과 시통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며, 수준점의 경우 도로변이나 하천변에 설치한다. 국가기준점은 화강암으로 된 표석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렇게 외부환경에 노출될 경우 자연 풍화, 인위적인 훼손,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황 파악을 위하여 주기적인 방문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약 22,000개 가량 설치되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준점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자료수집을 위한 국가기준점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본 시스템은RFID가 부착된 국가기준점을 사용할 경우 RFID를 인식하는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CDMA 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하고, 웹 시스템 상에서 실시간으로 현재 사용중인 기준점이 표시된다. 사용중인 기준점의 사용용도 및 사용자의 현황도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정보는 이력관리가 되며,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이력정보 보고서, 기준점별 사용 빈도 및 사용 목적별 빈도 등이 저장되어 기준점 설치, 관리 대상 기준점 선정 등을 위한 기준점 정책 수립을 위한 통계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실시간 기준점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관리대상 기준점 선정, 전산화된 이력관리 구현 등으로 인하여 관리비용을 절감하고, 관리인력을 최소화 하는 효율적인 기준점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 PDF

OLED 산업 및 기술 동향

  • Mun, Dae-Gyu
    • The Optical Journal
    • /
    • s.108
    • /
    • pp.24-26
    • /
    • 2007
  • OLED는 1987년 현대적인 구조가 발표된 이후 10년 이내에 PMOLED가 상용화 되었으며, 20년이 지난 올해에 AMOLED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기대되어, LCD나 PDP에 비해 훨씬 짧은 기간에 상용화된 유일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OLED는 향후에도 시장 및 기술이 가장 빨리 성장하는 디스플레이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07년에 개수를 기준으로 약 1억 개, 금액을 기준으로 약 8억불의 시장규모를 형성하며, 2010년에는 개수를 기준으로 3억 6천만 개, 금액을 기준으로 40억불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