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스타그램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xploring Changes in Digital Keywords on Online Bookstores and Instagram: A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COVID-19 (인터넷 서점과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디지털 키워드 변화 탐색 - 코로나19 발생 전후 비교 분석 -)

  • Suyeon Je;Siwon Kim;Rani Eom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25 no.6
    • /
    • pp.715-724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shifts that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y scrutinizing digital keywords derived from prominent culture media, such as books and instagram. The analysis identified trends rooted in digital terminology. For this study, the period 2017 to 2022 was divided into three-year segment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Subsequently,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igital keywords to assess the number of digital-related books and book hashtags, the number of instagram mentions, and relevant keywords. We found that COVID-19 exerted a discernible influence on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keywords, substantially impacting both the book publishing market and instagram. Notably, digital-related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a variety of fields since the outbreak, and new fields are emerging. The year 2020 saw the most significant growth in the mentions of digital terms on instagram. Such terms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terminology related to people working in a digital environment, endeavors aimed at revenue generation in online spaces, leisure activities associated with art and culture, and online service platforms. Through the analysis of digital keywo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rends and their future trajectories.

A Comparative study of conspicuous consumption behavior upon instagram and real life (인스타그램과 현실공간에서의 과시소비행동 비교 연구)

  • Lee, Soo-Jin;Kim, Rand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5
    • /
    • pp.205-22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off-line consumption behavior on and off-line.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218 people aged 20 to 59 who live in the country actively using Instagram, and the results of analysis through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items and expenditures of showing consumption behavior on Instagram and showing consumption in real space.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 of showing off in Instagram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howing of consumption in real space. Age, education, and narcissism have an effect on show off behavior in Instagram, whereas age, materialism, and narcissism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in real space. Whether on Instagram or in the real space, the positive emotions felt by consumers after showing off consum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happi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Instagram and actual consumption behaviors, and sought the direction of healthy consumption behaviors for consumer happiness.

Art Class for Preventing From Cyberbullying By Using Pictogram (픽토그램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예방 미술 수업)

  • Seo, Jung A;Huh, Yoon 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2
    • /
    • pp.149-158
    • /
    • 2019
  • Cyberbullying, one of the acts of cyber violence, is becoming a problem as digital devices become popula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pictograms that can communicate visually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cyberbullying prevention. 'Cyberbullying prevention pictogram' was conducted in total 6 times for 5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fter analyzing the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cyberbullying recognition, empathy sensitivity, message visualiz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First, the learner relaxed the burden of the art expression by using app, and the interest of the art was improved. Second, the learner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cyberbullying's violence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cyberbullying. Third, the learner improved sympathy sensitivity that sympathizes the suffering of cyberbullying victims. Fourth, cyberbullying prevention pictograms improved the ability to read, utilize and interpret visual images through sharing works. Fifth, the work was posted on an Instagram to give concrete action on social problems. In conclusion, we proved the effectiveness of cyberbullying prevention art class using pictograms.

A Study on Persona and Self-Presentation through Fashion on Instagram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인스타그램에서의 페르소나와 패션을 통한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 Won, Yeon Jung;Shin, Eun Jung;Koh, Ae-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5 no.5
    • /
    • pp.804-824
    • /
    • 2021
  •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case of users utilizing multiple accounts on one social network service to create their own multiple spaces and different persona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people who use multiple accounts to express their identity online using Carl Jung's personality theory. We used in-depth interviews and the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ZMET), targeting 19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more than one personal account on Instagram. Creating a shared consensus map using the configuration concept of ZMET derived six personas in relation to Instagram accounts. The motivations for the respondents' self-presentation associated with their personas and self-presentation types shown on Instagram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sona and fashion and subdivided into five dimensions: relationship management strategic presentation, self-monitoring presentation, competence demonstration presentation, anonymous presentation, and persona-centered presentation. Each respondent's persona and self-presentation formed by the Instagram account was analyzed.

A Study on the Keyword Collection System for Tracking Drug Crimes on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 상의 마약 범죄 추적을 위한 키워드 수집체계 연구)

  • Min-Jae Choi;Ho-Dong Lee;Jiyeon Kim;Chang-H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09-212
    • /
    • 2023
  • 소셜미디어를 통한 마약 유통이 증가하면서 젊은 연령층의 마약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셜미디어 상의 마약 유통을 차단하고자 유해 키워드 차단 정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차단 정책을 우회할 수 있는 마약 관련 은어 및 변형어를 사용하여 검색을 시도하기 때문에 다양한 은어 및 변형어를 수집하여 차단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약 유통 및 구매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일반어, 은어, 그리고 일반어와 은어의 각 변형어를 수집하고, 이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트위터, 텔레그램을 통해 검색하여 소셜미디어 유형별로 수집되는 마약 관련 게시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종의 소셜미디어 중, 트위터에서 마약 관련 은어 및 변형어를 포함하는 게시글이 가장 많이 검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Photo Sharing for Creating Social Relationships on Instagram (인스타그램에서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사진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hung, Namho;Um, Taehyee;Koo, Chulmo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17 no.4
    • /
    • pp.129-145
    • /
    • 2016
  • Nowadays, owing to the diffusion of smartphones and the growth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the number of people who share their life with other SNS users by posting photo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Instagram users has been particularly increasing since Instagram started its service in 2010. Compared to other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stagram runs its service by focusing solely on photos, which is a major differentiation factor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SNS. Previous studies, however, do not examine SNS that focus on photo sharing adequately. Therefore, we establish a hypothesis relating to the motivations behind a user's photo sharing attitude and posting intention through Instagram. Moreover, this will be achieved by employing TRA(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focusing 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trinsic motivation influences a user's sharing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Apart from this, Instagram's expressivity influences a user's photo sharing attitude and posting intention.

Portable Real-time Internet Streaming Service System (이동형 실시간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 Park, Jin-A;Ju, Hye-Seon;Park, Ju-Eun;Kim, Hae-In;Choi, In-Seon;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149-150
    • /
    • 2017
  • 현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특정 소수가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게 실시간으로 인터넷 스트리밍이 가능하게 되었다. 과거, 스튜디오가 아닌 중계차가 갈 수 없는 곳에서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 제약이 있었던 반면에 지금은 다양한 이동형 장비의 개발을 통해 공간적 제약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촬영부터 송출까지 이동형 장비를 이용해 언제 어디에서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Keyword of the Android through Utilizing Big Data Analysis (빅 데이터를 활용한 안드로이드 키워드에 관한 연구)

  • 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3-154
    • /
    • 2015
  •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네트워크(social network service) 상에서 유통되는 정보량이 폭발적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데이터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데이터의 가치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데이터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와 통찰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기업이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가치가 되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들은 빅 데이터를 2011년 이래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신기술로 지목해오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업들은 빅 데이터의 적용을 통해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빅 데이터 분석도구인 소셜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통해 안드로이드와 애플 키워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Pattern on Keyword of the Android through Utilizing Big Data Analysis (빅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폰 플랫폼 키워드에 대한 패턴)

  • Jin, Chan-Yong;Nam, Soo-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9-130
    • /
    • 2016
  • 빅 데이터 분석은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대부분의 빅 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해당된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달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유통되는 정보량이 폭발적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데이터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데이터의 가치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데이터로부터 가치 있는 정보와 통찰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는 기업이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가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빅 데이터 분석도구인 소셜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키워드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플랫폼 키워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Improving a CNN-based Image Annotation System Using Multi-Labeled Images (다중 레이블 이미지를 활용한 CNN기반 이미지 어노테이션 시스템의 개선)

  • Kim, Taeksoo;Kim, Sangbu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99-103
    • /
    • 2015
  •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이미지로부터 자동으로 관련된 단어 혹은 문장을 생성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많은 연구들은 이미지와 단어가 1:1로 대응된 잘 정련된 학습 집합을 필요로 한다. 한편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으로 인스타그램, 폴라 등의 이미지 기반 SNS가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인터넷에는 한 이미지의 복수개의 단어(태그)가 부착되어있는 데이터들이 폭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의 잘 정련된 학습 집합뿐 아니라 이러한 대규모의 다중 레이블 데이터를 같이 활용하여 이미지로부터 태그를 생성하는 개선된 CNN구조 및 학습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분류 기반 모델에 은닉층을 추가하고 새로운 학습 방법을 도입한 결과, 어노테이션 성능이 기존 모델보다 11% 이상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