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성.적성 검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4초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 웹 검정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ptitude and examination Web personality tests and the system)

  • 박기홍;장혜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381-382
    • /
    • 2014
  • 교원의 핵심 역량 중 지식 역량이나 수행 역량 등은 교직과정 이수 결과의 확인이나 지필 시험 또는 실기 시연 등을 통해 확인 또는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태도 역량이나 전문성 개발역량의 일부 요소들은 별도의 도구나 평가로 심사해야 된다. 전문성 개발 역량 가운데 자기반성 노력, 지속적 학습 노력, 교육 공동체 간 의사소통 및 협력 등의 요소들은 기존의 평가 방식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원의 핵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원자격을 강화하기 위한 교직 적성 및 인성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온라인 웹 검정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교육대학원 예비공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서 일반화가능도 분석 (Generalizability Analysi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Engineering Teach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김성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23-330
    • /
    • 2018
  • 본 연구는 측정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표준안으로 보급한 교직 적성 인성 검사를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에게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며, 교직 적성 인성 검사가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원에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공학교육전공의 예비공학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직 적성 인성 검사자료에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점수에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일반적으로 잔차, 영역 내 문항, 피험자, 피험자와 영역의 상호작용, 영역, 그리고 시행횟수 크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전검사이론을 바탕으로 한 Cronbach's ${\alpha}$는 측정 구조를 적합하게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과대추정 될 수 있으므로 준거참조검사에서는 의존도계수와 같은 보다 정밀한 신뢰도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 표준안은 의존도계수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의 예비공학교사에게 적용 가능하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 교직 적성 인성 검사가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은 총 문항 수를 기준으로 시행횟수는 2회, 영역은 12개, 그리고 영역 내 문항은 8개로 원자료인 총 210개 문항을 96개로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서 분할점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신뢰도 탐색 (Investigation of Various Reliability Indice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based on Setting Cut Scores)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1호
    • /
    • pp.55-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error source and to investigate th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to ensure satisfactory multiple reliability coefficients based on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were 33 students enrolled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3 to 201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stimated variance due to residual was highest, followed by nesting of items within domains, graduate students, interactions of graduate students with domains, and domains. Second, total 96 items, with 12 domains containing 8 items in each domain, with cut score of 598, and original 210 items, with 14 domains containing 15 items in each domain, with cut scores of 615 or 716 wer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s to reach acceptable reliability levels based on the joint consideration of dependability coefficients, cut score dependability coefficients, adjusted dependability coefficients, and standard errors of measurement. Third, larger deviations between the arithmetic mean and the cut score indicated higher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test resul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ways for practitioners to consider how to apply generalizability theory for criterion-referenced tests and how to develop future research based on limitations.

다도교육이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ado Education on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조희선;이순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7
    • /
    • 2004
  • 본 연구는 체계적인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인성교육으로서 다도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되어. 다도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S고등학교의 여학생 16명을 실험집단으로 3월 14일부터 4월 18일 까지 총 10차시 20시간의 특기$.$적성 다도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도교육은 청소년기에 있는 여고생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다도교육 실시 전과 후의 인성발달을, 사전$.$사후 검사로 비교 분석 한 결과 인성영역 중 정서적 안정성. 배려성. 절제성. 예절성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다도교육이 청소년기 여고생의 인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인성교육으로써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둘째, 다도교육을 받은 후 자녀의 인성발달에 어머니가 만족하고 있음을 알았다. 다도교육이 예절바른 생활을 하게 하며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등 인성발달에 도움을 주므로 자녀들에게 다도교육이 필요하다고 다도교육을 받은 실험집단의 어머니 100%가 응답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학생은 다도교육으로 자신들의 인성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달된다고 인식하였다. 다도교육 후 자신들의 행동이 조심스러워지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등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성이 발달함을 스스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다도교육이 필요하며, 친구나 후배에게도 다도교육을 받도록 권유하고 싶다고 하였다. 넷째. 다도교육을 지도한 교사의 입장에서 학생들을 관찰하고 면접한 결과, 교육 시간이 경과되면서 학생들이 정서적으로 차분해지고. 남을 배려 할 줄도 알게 되었다. 행동도 진지해지고. 자세도 바르게 되었으며 인내심도 많아지고. 예절 바르게 행동하려고 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다도교육은 우리의 전통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고 배우고 익힐 수 있으며,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태도$.$행동$.$예절 면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여고생에 대한 연구였지만 남학생들에게도 같은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어, 학교교육에서 가정교과과정과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재량활동 등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활성화되고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조종적성인성검사 문항개발 연구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Items of Personality Test for the Pilot Aptitude)

  • 박세권;이승원;윤유경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2-6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for the Pilot Aptitude Personality Test(PAPT) which can predict the flight training achievement through persona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personality traits required to successfully conduct flight training for 30 flight instructors as a sub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tivation, concentration, concentration, situational awareness,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is, preliminary 300-item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combining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pilot aptitude. Survey was conducted using preliminary questionnaire for 152 student pilots as a subjec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flight training, 16 questions were derived. Finall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inal 14 questionnaire items were confirmed. The internal concept of an item is categorized as personality, perception, and motiv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ilot aptitude should be viewed from an extended point of view by analyz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ilot aptitude in relation to flight training achievement.

교육대학원과 사범대학 예비수학교사의 교직 적성·인성 검사에 대한 측정의 동등성 분석 (An Analysis of Measurement Equivalence in a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 김성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79-1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to suggest application ways i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result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etwee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a college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the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of 36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111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by performing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a higher level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at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total scores. In addition,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han those of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xcept for a creativity application domain based on the sub-domain scores. Second, cognitive domains were measured more precisely but affective domains were measured less precisely for graduat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an for college's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hird, regardless of school levels, Cronbach's ${\alpha}$ values, which might be overestimated by applying the classical test theory, were higher than dependability coefficients. Fourth, this study showed a somewhat negative result in ensu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for a problem solving exploration domain. However, regardless of school level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all measurement was generally reliable on composite score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methodologies' approach can be useful for explor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issu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how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test, how to apply a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analysis for detecting the measurement equivalence, and how to develop future research based on limitations.

조종적성인성검사 문항개발 타당도 연구 (Validity Study of Questionnaire Items of the Pilot Aptitude Personality Test)

  • 윤유경;박세권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38
    • /
    • 2018
  • The pilot aptitude test so far has been conducted with a dichotomous concept of cognitive factor and non-cognitive factor, so it was not easy to explain concrete factors about pilot aptitude. Therefore, an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to construct pilot aptitude test including all factors that can predict pilot aptitude. In previous study, we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for the Pilot Aptitude Personality Test(PAPT) which can predict the flight training achievement through personalit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ose items were categorized as personality, cognition, and motivation factors. The flight training grades were correlated with all the test factors of the items, and the cognitive factor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the three factors together accounted for 16% of the flight training grades. The results of the ANOVA showed that the cognition factors and motiv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mpletion of the flight training. The factors of PAPT predicted not only the completion of the flight training but also the flight performance.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paper-pencil pilot aptitude test can only discriminate the flight training completion status. This is also a result of the fact that the introductory flight training consis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not only basic cognition but also personality and motivation.

전문가 그룹별 설문조사에 따른 도선사면허 자격요건의 개선에 관한 연구 (An Improvement of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a Pilot License by the Question Investigation)

  • 김명석;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07-214
    • /
    • 2017
  • 본 연구는 도선업무와 관련이 있는 전문가 그룹의 설문분석을 통해 도선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선사 면허의 적절한 자격요건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개의 가설을 채택하고 SPSS를 이용해 검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7점 리커트 척도를 통해 전문가 그룹은 각 가설별 면허요건 중 적성 검사 도입에 가장 많은 지지를 보였으며, 선장 경력을 낮출 경우 도선의 안전성이 저해된다는 가설에 가장 낮은 지지를 보인 것으로 나타냈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Test)

  • 구영하;여태철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69
    • /
    • 2012
  • 이 연구는 학교에서 심리검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이용실태,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심리검사의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도구의 방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검사의 주요 활용목적은 검사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검사는 진로 적성 검사, 인성 성격검사, 학습검사, 창의성검사, 지능검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심리검사와 관련하여 검사 매뉴얼 의존도가 높았으며 T점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를 저해하는 요인에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심리검사 도구에 대한 사전 교사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검사 활용도는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교사의 이러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검사 후 추후지도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검사 후 보다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의 상담관련 교육과정 이수 여부에 따라 심리검사의 이해도와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몇 가지 검사에 대해서 이해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활용도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심리검사와 관련해서 교사 대상의 연수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에서 요구되는 검사도구에는 학습관련 검사와 부적응검사 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