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상채득법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9초

수종의 조직 양화재의 침수시간과 분액비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변화 (Changes of the surface roughness depending on immersion time and powder/liquid ratio of various tissue conditioners)

  • 김경수;문홍석;심준성;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8-118
    • /
    • 2009
  • 연구목적: 1961년 Chase에 의해 처음 소개된 기능 인상법(functional impression technique)은 기존 의치에 이장된 조직 양화재(tissue conditioner)를 이용하여 실제 기능 운동 하에서 동적인 지지 조직의 인상과 기능적이며 생리적인 의치 변연부의 형태와 길이를 기록하는 술식이다. 조직 양화재가 기능 인상법의 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체적 안정성, 미세부 재현성, 흐름성 등의 특성과 함께 치과용 석고와의 적합성(compatibility)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능 인상법 재료로 조직 양화재를 사용할 경우 구강내 환경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석고 표면 거칠기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또한 그에 따라 석고 표면의 변화를 고려하여 어느 정도 기간 동안 구강 내에 유지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양화재를 기능 인상법의 재료로서 사용할 경우,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 침수시간이 치과용 석고 표면 거칠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임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3종의 조직 양화재(Coe-Comfort, Visco-Gel, Soft-Liner)로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분액비(P/L ratio)를 기준으로 표준 분액비에 따라 혼합한 군(R), 분말의 양을 20% 많이 혼합한 군(M), 분말의 양을 20% 적게 혼합한 군(L)으로 나누어 조직 양화재를 혼합하여 직경 20 mm, 두께 2 mm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조직 양화재 시편들을 다시 인공 타액 속의 침수시간(0시간, 1일, 3일, 5일, 7일)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나눈 뒤 인공 타액에 완전히 담구어 $37^{\circ}C$에서 보관하였다. 정해진 침수시간이 경과한 시편을 꺼내서 초경석고를 부어 석고 시편을 제작한 뒤 조직 양화재와 접해있던 석고 시편 표면의 거칠기를 접촉식 표면 조도기(Surfcoder SEF-30D, Kosaka laboratory Ltd., Tokyo, Japan)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결과 및 결론: 1. 조직 양화재로 부터 만들어진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능 인상을 채득하기 위해 구강 내에 조직 양화재를 위치시키는 기간이었고, 그 외에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2. 3가지 P/L ratio 실험 조건 모두에서 Visco-Gel과 Soft-Liner 간에는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Coe-Comfort의 경우에는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Soft-Liner와 Visco-Gel보다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값을 보였다. 3. 3종의 실험 대상 조직 양화재 모두에서 R(recommended)와 M(more) group 간에는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L(less) group의 경우에는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R과 M group보다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에는 구강 내에서의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며,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술자가 기능 인상 채득 시에 적절한 구강 내 적용시간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고, 기능 인상에 적합한 조직 양화재를 선별할 수 있다면 조직 양화재를 이용하여 유용하게 기능 인상을 채득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정성 보철물의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Study on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of internal and marginal adaptation on fixed dental prosthesis)

  • 표세욱;이준재;한중석;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3호
    • /
    • pp.158-168
    • /
    • 2016
  • 본 논문은 기존에 선행되었던 연구들을 바탕으로 고정성 보철물의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관하여 정리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한 장, 단점에 대해 언급하였다. 보철물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크게 임상적 평가법과 실험실 평가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임상적 평가법에는 탐침 검사법, 방사선 사진 검사법, 인상채득법이 있으며, 실험실 평가법에는 현미경을 이용하는 변연부 측정법, 절단면 측정법, 실리콘 복제 측정법, 그리고 마이크로 CT나 조면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 스캐닝 기법이 발전하면서 내면 및 변연적합도를 3차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앞으로 측정법 및 분석법의 개발에 따라 보철물의 적합도 평가가 더욱 간편해지고 효과적으로 변화할 것이라 생각된다.

의치주위조직(義齒周圍組織)의 기능인상(機能印象) 채득법에 의한 0$^{\circ}$ 구치(臼齒)의 Full Denture 제작법(製作法) ("A Study of Farbricating Full Denture, Which is Used Functional Imp and Zero-degree Artificial Poster Teeth")

  • 김의남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0
    • /
    • 1985
  • When full denture is being fabricated, pronounciation, recovery of aesthetics of function and mastificatory function should be satisfies for patients. To satisfy for the function of denture, following is the difference between this new way of fabricating and formerly one of it. 1. The size of fabricating tooth which is harmony of original oral structure for patients is deaded by manufacturing labial index and artificial tongue. 2. By the use of artificial tongue and labial index, the arranges of artificial tooth is to become harmony of oral structure. 3. Formation of gingival decided functional impression which is used by impression paste, is harmony of oral structure. Therefore, this full denture can be satisfied with pronouncing oral function of recovery of aesthetics as well as mastificatory through physiological movement of oral tissue not disturbed with anything but cooperated drastically. In manufacturing of this full denture, both dentist and dental technician under cooperation need to proceed the work on the base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 PDF

사용자 친화적 인체공학에 따른 구내스캐너 디자인에 대한 고찰 (The user-friendly, ergonomic design aspect of recent intraoral scanners: a literature review)

  • 박혜난;김원희;임영준;이원진;한중석;이승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21-230
    • /
    • 2015
  • 최근 치과 인상 채득법은 인상재를 사용하는 전통적 방법에서 구내스캐닝을 이용한 디지털 인상방법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현재 치과시장에는 적어도 10개 이상의 구내스캐너가 있다. 하지만 기술과 디자인이 빠르게 발전하는 가운데 다양한 제품들 중 사용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이 문헌고찰에서는 다양한 인체공학적 디자인 관련 논문을 토대로 한 근거자료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가장 사용이 편리하고 알맞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구내스캐너의 인체공학적 디자인의 중요성을 한번 더 확인하고 알맞은 인체공학적 구내스캐너의 제시를 통하여 사용자(치과의사)들의 근골격의 질환과 장애를 예방하고자 한다.

CAD-CAM으로 제작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 overdenture using CAD-CAM denture system: A case report)

  • 이한나;심지석;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4-381
    • /
    • 2022
  • 본 증례는 74세 남환으로 20년 전 제작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잦은 탈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이 감소되었으며, 상악 총의치는 입술 지지 및 유지력이 부족하였으며, 하악 피개의치는 bar attachment 손상으로 clip의 유지력 부족이 관찰되었다. 손상된 bar attachment를 제거 후 ball attachment로 교체하였으며, DENTCATM Tray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수직고경을 측정하고, 고딕 아치 기록방법으로 중심위를 결정하여 교합기록을 시행하였다. 채득한 인상체를 스캔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최종 의치의 형태를 디자인하였고, 3D 프린터로 시적의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적의치를 장착하여 교합평면 및 교합관계, 안모 형태, 발음 등을 평가한 후 교합기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의치의 내면 조정 및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였으며, 하악 의치에서는 직접법으로 attachment를 연결하였다. 새로 제작된 상하악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의 증가 및 입술지지를 회복하여 개선된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ball attachment 교체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이 증가하여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인상채득법이 임플랜트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RESS10N TECHNIQUE ON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OR IMPLANT PROSTHESIS)

  • 김영오;양홍서;방몽숙;박상원;박하옥;이재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3-7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abricated by using different impression methods at the different impression levels. Material and Method: The master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resin block having low implant analogs. Impression method studied were 1) direct method on future level (Group FIX-D), 2) Indirect method on fixture level(Group FIX-I), 3) Modified indirect method on fixture level(Group FD(-M), 4) Direct method on abutment level(Group AB-D) and 5) Indirect method on abutment level(Group AB-I). Each of the five groups took 10 impressions. Fifty impressions were made for master cast by using Impregum $F^(R)$ impression material loaded on individual tray. Three dimensional measuring microscope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implant distance. Error rate of each inter-implant distance were calculated and evaluat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FIX exhibited higher accuracy than group AB. 2 In group FIX, modified indirect method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hile indirect method showed the lowest accuracy. In group Ab, indirect method showed the higher accuracy than direct method. 3. Group FIX showed larger horizontal error than group AB. But, group AB showed the larger vertical error than group FIX. 4. Group Fix-M showed smallest vertical and horizontal error.

기능적 변연형성에 의한 총의치 인상채득법 (COMPLETE DENTURE IMPRESSION BY A SIMPLE FUNCTIONAL BORDER MODING)

  • 황의환;이정열;신상완;서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5-525
    • /
    • 1994
  • Impression taking is a very important procedure in complete denture fabrication for reproduction of the tissue surface from which obtain retention and support of denture base. Therefore, we can not construct retentive denture without precise impression taking. Retention in complete denture can be obtained by the closest contact between denture base and underlying tissue, maximum coverage and proper displacement of the border tissue for peripheral seal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impression of the border tissue displaced properly. Nowadays, impression of the border tissue is mainly taken by the border molding techniques by means of manual muscle trimming, but due to various muscle trimming methods as clinicians, it is difficult to select proper method. This technique is also bodersome to do and time-consuming procedure. Retention is also likely reduced, because of the recording excessive muscle movement than actural physiological border tissue movement. Therefore, the impression technique that records actual physiologic functional muscle movement is helpful to increase denture retention and easy to do. We named this technique a functional border molding technique. This technique is originally introduced by D. J. Neill and R. I. Nairn in 1968. We tried to fabricate complete denture by the impression by means of functional border molding technique for better retention and the convenience, and obtained good results.

  • PDF

상악골 결손부 환자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한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a maxillectomy patient using 3D printing assisted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a case report)

  • 오미주;이종혁;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91-198
    • /
    • 2019
  • 본 증례는 상악골 결손이 있는 무치악 환자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해 closed hollow bulb obturator로 수복한 증례이다. Magic $denture^{TM}$ 시스템(Cozahn, Seoul, Korea)에서 제공하는 트레이와 인상법을 이용하여 구내 인상을 채득하였고, 시적의치상에서 수직고경과 안모, 유지력 등을 확인하였다. 환자가 요구하는 바와 오차를 시적의치에서 수정한 후 이를 반영하였다. 의치의 무게를 줄이고 균일한 두께를 부여하기 위해 상악골 결손부위를 closed hollow bulb로 디자인하여 최종의치상을 프린팅하였다. 치료 후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첨단 제조기술 기반으로 제작된 치과용 모형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dental model based on the state-of-the-art manufacturing technique)

  • 김재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93-7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인상채득방식으로 제작된 석고모형과 구강 디지털 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폴리우레탄 모형의 각 계측지점을 비교함으로써 첨단 제조기술로 제작된 모형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유치악 아크릴릭 구강모형을 선정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의 석고모형과 최신경향의 방식으로 모형을 각 10개씩 제작하였다. 계측지점은 총 6곳을 지정한 후, 2인의 검사자가 2회로 나누어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작방법에 따른 모형의 각 계측치의 평균, 표준편차, 계측치 차이의 평균 등의 기술 통계량으로 제시하였고, 정확성 검정을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검사자 내, 검사자 간, 제작방법 간의 신뢰성 분석은 급내 상관계수 분석과 측정오차를 구하였다. 실험결과 신뢰성은 급내 상관계수의 범위는 0.76에서 0.99의 값이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모형 제작방법에 따른 정확성은 모든 계측지점 간의 거리를 비교하였을 때 폴리우레탄 모형이 작게 계측되었으며 0.09~0.20mm의 범위로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해 임상적으로 오차범위를 허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 디지털 인상법의 사용으로 제작된 모형은 임상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향후 보다 정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치과용 모형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길이, 직경 및 식립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implant length, diameter and position)

  • 김지혜;전진용;허유리;손미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69-275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임플란트 직경, 길이 및 식립 부위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7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총 90개의 임플란트(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인상 채득 당시에 공진주파수분석법(RFA)으로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ISQ)가 측정되었다. 상 하악에 식립된 직경은 4 mm와 5 mm이고 길이는 10 mm, 11.5 mm, 13 mm인 임플란트가 실험대상으로 선택되었다. 측정된 ISQ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우선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부위에 따른 ISQ 값의 실험군간 차이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Tukey HSD test가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시와 인상채득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인상채득시가 임플란트 식립 직후보다 임플란트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할수록 ISQ 값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경 5 mm 임플란트는 4 mm 임플란트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ISQ 값을 보였다(P<.05).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상악보다 더 높은 ISQ값을 보였다(P<.05). 결론:본연구결과,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더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일차 안정성보다 골유착 후 이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RFA를 이용한 방법이 골유착을 통한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란트 안정성 평가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는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결정하고 임플란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