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상관리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9초

경영학적 관점의 국가 간 인상관리 : 자메이카 VS 한국 - (Stranger in a Foreign Land. How to Impress and how to be Impressed.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Differences of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 between Two Culture: Jamaica and South Korea)

  • 헤리스 디오나;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40-148
    • /
    • 2017
  • 본 연구는 자메이카와 한국과의 통합적 그리고 방어적 인상관리 행동 및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행동에 있어서의 두 나라간 차이를 연구하였다. 인상관리행동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화관련 연구들은 문화에서의 차이점들은 인상관리행동의 스타일을 결정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메이카와 한국 문화 중 어떠한 요소들이 구성원들이 좀 더 인상관리 행동을 하는지 그리고 다른 국가 간 문화적 차이를 토대로 어떠한 인상관리행동의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자메이카와 한국의 102 명 개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양 국가에서의 인상관리 행동은 비슷한 점과 다른 점 두 가지를 모두 확인하였다. 비록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두 국가 간 문화차이로 인해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인상관리전략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은 자메이카보다 좀 더 인상관리를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메이카는 방어적인 인상관리 행동을 높게 사용하는 반면 한국은 자기프로모션과 통합적 인상관리 전략을 좀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여성을 위한 인상관리 교육프로그램 설계 (Development of Impress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Career Women)

  • 황정선;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7-111
    • /
    • 2022
  • 본 연구는 선행연구(Hwang & Lee, 2019)에서 제시한 '사회적 매력'을 직장 여성의 인상관리 교육의 목표로 보고, Hwang과 Lee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Kwon(1997)의 교육체제 설계 및 개발 모형(Educational System Design & Development, ESD)을 적용하여 직장 여성을 위한 인상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전의 인상관리 교육프로그램은 대체로 내용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학습 대상자를 고려하고 교육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내용을 구조화하여 개발한 체계적인 인상관리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Hwang과 Lee(2019)에서 도출된 네 가지 사회적 매력 구성요소들을 제고하기 위한 인상관리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ESD 모형의 설계 단계에 초점을 두고, 교수목표를 설정하고, 교수분석, 하위기능별 교육목표 설정, 시간배정, 평가계획 수립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육프로그램은 직장 여성들의 인상관리 니즈와 목표에 맞도록 구성된 학습자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이라는 교육적 장점이 있다. 또한, ESD 모형에 근거하여 인상관리에 필요한 하위 요인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교육과정 자체를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소통을 통해 성찰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직장 여성에게 필요한 인상관리 교육의 기본 요건을 갖추었으며, 직장 여성의 사회적 매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머러스한 기업 구성원: 유머, 문화, 그리고 인상관리 (A Joker's Image: Humor, Work Impressions, and Culture in Korean Workplaces)

  • 김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97-413
    • /
    • 2020
  • 한국 기업과 사회에서 변화하는 문화적 흐름에 따라 유머는 유용한 인상관리 기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머를 성공적인 인상관리 기법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해해야 되는 요소들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참여적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과 인터뷰(semi-structured interviews) 를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유머를 통한 인상관리가 대부분 유교문화에 기반을 둔 상대적 역할에 맞춰 사용되며, 상급자(superior) 가 더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사용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젊은 참여자들은 유머가 기업의 역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독창적인 인상관리 기법이 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유머가 다양한 해석 및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인식이 참여자들에게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머를 사용할 때 환경과 소통하는 대상의 문화적 성향을 고려하고, 기업들은 효과적인 인상관리 기법에 대한 교육을 도입해야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피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다.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에 따른 쾌락재와 실용재의 선택: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pensit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on consumer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goods: Focusing on Kakao Talk mobile gift-giving)

  • 김하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7-125
    • /
    • 202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 수준이 모바일 선물하기에서 쾌락재와 실용재 간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메신저 선물하기에서 제품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에 관계없이 모바일 선물에서 실용재보다 쾌락재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한편 과시적 소비를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인상관리 수준이 낮을 때에는 모바일 선물에서 쾌락재보다 실용재를 더 선택한 반면 인상관리 수준이 높을 때에는 실용재와 쾌락재 간 선택에 차이가 없었다. 모바일 선물 제품, 특히 쾌락재 마케팅에서 소비자의 과시적 소비성향과 인상관리를 고려한 전략을 이용하는 것은 도움이 될 것이다. 광고는 소비자의 인정 욕구나 과시 욕구를 이용하여 소구할 수 있다. 나아가, 연령대를 확장하고 선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자아 표현과 SNS 게시 형식: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Presentation of Self and SNS Posting Styles: Focusing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 송승아;신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84-291
    • /
    • 2022
  • 사람들은 본인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도 그러한 수단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표현되는 자아의 유형을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에 등장하는 개념들에 기반하여 본연적, 이상적, 사회적 자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이 특정한 게시 형식을 갖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게시 형식으로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해시태그의 사용에 주목하여 해시태그의 본문 혼용 여부, 해시태그의 숨김 기능 사용 여부, 그리고 해시태그에서의 용어의 특성에 주목했다. 인스타그램에서 수집한 450개의 게시물의 해시태그 사용 방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상적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에서는 해시태그를 숨기고(98%) 일상적 용어를 사용하는(97%)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결과는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사람들은 본인의 가면을 쓴 모습에 대해 더욱 섬세한 인상관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국 제조업의 용수(用水)에 대한 적정가격 설정 - 수요관리 정책을 중심으로 -

  • 이명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7권1호
    • /
    • pp.151-164
    • /
    • 1997
  • 물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공급기반시설의 확충과 함께 여러 형태의 경제적 유인제도의 활용을 통한 수요관리정책을 병행함으로써 물의 절약효과를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 한국 제조업을 대상으로 시장구조적, 환경적 제약여건하에서 공업용수의 비효율적인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적정수준의 용수수요량을 유도하기 위하여 용수가격의 인상을 추진할 경우, 이에 필요한 가격인상율을 제시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적정수준의 자본투입을 가정한 제약일반비용함수를 추정한다. 추정결과, 공업용수는 적정수준에 비해 무려 평균 50배 이상 과다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1993년 현재의 용수가격을 106.8% 인상시켜야 적정수준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익산 미륵사지 석탑 석인상의 조영시기와 훼손도 진단 및 보존관리 (The Damage Assessment, Construction Point of Time and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Maintenance of Stone Statues Around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Temple in Iksan)

  • 이동식;이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4호
    • /
    • pp.74-91
    • /
    • 2014
  • 익산 미륵사지 석탑 석인상은 639년경 석탑이 조영된 이후 고려 말이나 조선 초기에 탑 주변에 조성되었다. 이 석인상은 동물에서 사람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이며, 탑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석인상의 표면은 삭박되어 뚜렷한 도상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뭉그러져 있다. 그러나 남서 석인상은 세 방위(서북 북동 동남)에 놓인 석인상에 비해 물성은 약하지만 도상이 뚜렷하게 잘 남아 있다. 이러한 석인상의 표면 상태는 석인상이 위치한 노출환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세 방위에 놓인 석인상은 그동안 외부에 노출되어 있었지만, 남서쪽에 놓인 석인상은 17세기경 석탑 주변에 석축을 축조하면서 석축 안에 들어가게 됨에 따라 외부 저해환경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약 400여 년간 다른 환경에 놓여 있었던 석인상은 차별적인 풍화현상을 보인다. 즉 세 방위(서북 북동 동남; $176{\cdot}109{\cdot}273kgf/cm^2$)에 놓인 석인상은 원래 물성이 좋았지만 삭박에 의해 도상이 불분명하고 생물의 침해가 심한 반면, 남서쪽에 놓인 석인상은 원래 물성($133kgf/cm^2$)은 좋지 않았지만 흑색오염물과 입상 분해 현상이 관찰될 뿐 도상형태가 잘 남아 있다. 석인상을 외부에 그대로 노출시켜 보존하는 것은 석인상의 형태적 보존을 위해서 권장할 만한 보존 관리방안이라 할 수 없다. 미륵사지 주변에 대한 미기후 환경 데이터를 적용해볼 때 미륵사지는 해를 거듭할수록 강산성비가 내리는 강한 풍화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인상의 형태적 보존을 위해서는 석인상이 있었던 원래의 위치를 고려한 보존 관리방안보다는 현재의 도상을 유지하고 보존할 수 있는 보존 관리방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건협소식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27권10호통권299호
    • /
    • pp.38-39
    • /
    • 2003
  • PDF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의 타당화 및 적용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 (SDS-24))

  • 김용석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87-114
    • /
    • 2018
  • 지금까지 국내 사회복지연구는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을 다루는 데 매우 소홀하였다. 반면, 국외 사회복지연구는 사회적 바람직성 수준이 높은 조사대상자의 응답을 밝히고 그 영향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국내에서 개발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로 자기기만 요인과 인상관리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이다. 본 연구는 이 척도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요인구조,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615명의 사회복지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직장인 집단과 학생 집단으로 구분해서 실시된 분석에서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자기기만과 인상관리 2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확인되었고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양호한 수준이었다.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는 기존의 척도에서는 접하기 어려운 한국적인 내용의 문항들을 담고 있는 장점을 갖는다. 사회복지연구에서 사회적 바람직성의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