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버터의 비선형 특성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and Comparison of 3-phase 4-wire 4-leg Inverter with Non-linear Load According to Configuration of Filter Capacitor (비선형 부하를 갖는 3상 4선식 4-leg 인버터의 필터 커패시터 결선방식에 따른 특성 비교 분석)

  • Heo, Sung Jun;Byun, Jongeun;Ahn, Hyo Min;Lee, Byoung 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5-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부하를 갖는 3상 4선식 4-leg 인버터의 LC 필터 커패시터 결선방식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 한다. 특성 비교 분석을 위해 동일한 인덕턴스 조건에서 각 결선방식에 따른 커패시턴스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결선방식에 따른 특성 및 손실을 비교하여 비선형 부하를 갖는 3상 4선식 4-leg인버터에 적합한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 PDF

The Loss Estimation of Resonant Inverter for a Linear Compressor System Driven to Improve Efficiency (선형 압축기 시스템 구동용 공진형 인버터의 효율 개선을 위한 손실 추정)

  • Kim, Sung-An;Jang, Jin-Hak;Kim, Kwang-Hee;Park, Dae-Geun;Lee, Sang-Gun;Cho, Yun-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77-1178
    • /
    • 2011
  • 본 논문은 선형 압축기 구동용 시스템의 손실 저감을 위한 공진형 인버터의 설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공진형 인버터 손실 저감을 위해 선형 액츄에이터의 등가모델 파라메타를 유한요소해석으로 제시하고, 비선형 특성을 고려한 직렬 공진형 인버터의 손실을 추정하였다.

  • PDF

P+ Multi Resonant Control based Cascaded Current-Voltage Controller Design for Grid-Connected Inverter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위한 비례다중공진제어 기반의 케스케이드 전류-전압 제어기 설계)

  • Lim, Kyungbae;Kim, Donghwan;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135-136
    • /
    • 2014
  •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인버터를 위한 비례공진제어 기반의 케스케이드전류-전압 제어기 설계에 대해 다루고있다. 인버터가 계통연계모드로 동작할 때 인버터는 계통의 보조 전력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류원으로 정의된다. 이때 LCL 필터가 연결된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출력 LC 단에 비선형 지역적 부하가 연결될 경우 기존의 단일 전류 제어기만으로는 비선형 부하로 인한 고조파 왜곡에 대처하기 힘들고 독립운전모드와의 모드절환시 매끄러운 과도 특성을 보장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례다중공진제어기를 활용한 내부 출력 전압, 외부 출력 전류 루프로 구성된 케스케이드 전류-전압 제어기를 제안하였고 제안된 방식이 고조파 보상과 모드 절환시의 매끄러운 과도 특성에 효력을 보임을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Over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Carrier Based MVPWM for 3-Phase 3-Level Inverter (3상 3-레벨 인버터의 캐리어 기반 MVPWM의 과변조 특성)

  • Choi, Nam-Sup;Lee, Eun-Chul;Ahn, Kang-S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3-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레벨 인버터의 공통 모드 전압 변동 제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MVPWM(Medium Vector PWM의 과변조 특성을 분석한다. MVPWM의 과변조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과변조 상태에서도 동일한 공통모드전압을 갖는 7개의 벡터만 선택한다. 2) 진폭변조지수를 증가시킬 때 선형영역에서 비선형영역으로의 천이가 연속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MVPWM의 위와 같은 과변조 특성을 밝힌다.

  • PDF

Enhancement of Sensorless Performance Using Current Shaping in SMPM Machine Drive (상전류 변형을 이용한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센서리스 성능 향상)

  • Kim, Jin-Woong;Ha, Jung-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11a
    • /
    • pp.31-32
    • /
    • 2014
  • 전압형 인버터를 이용한 전동기 구동시스템에서, 출력전압의 비선형성은 역기전력기반 센서리스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역기전력기반 센서리스는 전압방정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데 일반적인 인버터에는 출력전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없어 출력전압지령을 출력전압과 같다고 가정하고 사용한다. 그러나 인버터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전압지령과 실제 출력되는 전압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각 추정오차가 생기게 되고 센서리스의 성능을 떨어트린다. 인버터 비선형성의 주원인인 데드타임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었지만 전류의 크기가 낮은 저속, 저부하 상황에서는 여전히 오차가 존재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저전류 구간을 최대한 줄이도록 전류의 형태를 바꾸어 저속 저부하 상황에서의 전압오차를 최소화 하였다. 이를 통해서 역기전력 기반의 센서리스의 저속영역 특성을 개선하였고 실험을 통해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inverter nonlinear characteristic on the flux estimation of an induction motor (인버터의 비선형 특성이 유도전동기의 자속 추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Sang-Hoon;Kim, Tae-Suk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8 no.B
    • /
    • pp.167-174
    • /
    • 2008
  • In this paper, the analysis on type effect of inverter output voltage distortion on the control of an induction motor is discussed. The inverter output voltage is distorted differently from the reference voltage owing to the inverter nonlinear characteristic. The inverter nonlinear characteristic results from the voltage drop,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emiconductor, and the dead time for preventing the short circuit of the inverter leg. This characteristic distorts the inverter output voltage and then, causes the motor flux estimation error. Although this characteristics do not significantly effect in the general-purpose induction motor control, but significantly effect on the low-speed operation of high performance motor control such as the sensorless vector control.

  • PDF

Stationary Frame Control based Grid Synchronization Improvement with Voltage Reference Modification Method (전압지령수정 방식을 활용한 고정자 좌표계 제어 기반의 계통 동기화 개선)

  • Lim, Kyungbae;Song, Injong;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93-94
    • /
    • 2017
  • 본 논문은 quasi P+MR 전압 제어를 활용한 삼상 인버터의 계통 동기화 방식을 제안한다. 계통동기화 과정 시 시스템이 고정자 좌표계하에서 제어 또는 모델링된다면 독립운전에서의 정전압 및 정주파수를 갖는 교류 지령 전압은 교류 계통 전압으로 즉각 대체되며 이때 인버터의 실제 전압과 계통 전압 간의 위상차에 기인하여 상당한 제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심각한 전압 동특성 저하를 야기하기도 한다. 게다가 인버터 출력단에 비선형 부하가 연결될 경우 부하로부터 발생하는 고조파로 인해 이러한 전압 품질에 대한 문제가 더욱 증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전압제어를 위하여 이러한 비선형 부하의 고조파 영향을 고려한 고정자 좌표계 기반의 PR 제어를 사용한 매끄러운 계통 동기화 방식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매끄러운 계통 동기화 방식의 타당성은 기존의 고정자 좌표계 기반의 계통 동기화 방식과의 비교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통해 입증된다.

  • PDF

Ripple Voltage Compensation Instantaneous Follow Controller of Inverter by using Analog Integrator (아날로그 적분기를 이용한 맥동전압 보상형 순시추종 PWM 제어기를 적용한 인버터)

  • 라병훈;이현우;김광태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9 no.4
    • /
    • pp.381-389
    • /
    • 2004
  •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instantaneous compensation PWM control for inverter without the smoothing capacitor Therefore, this inverter system has several advantages. It has small volume and low price to manufacture, decrease trouble rate of inverter, and has power factor correction effect because huge smoothing capacitor-less. And it has compact size control circuit to use analog integrator device. It could make the smoothing capacitor-less inverter for air-blower motor by using the instantaneous compensation PWM controller. This inverter system has small volume and value compare with the conventional VVVF control inverter.

Inverter Output Voltage Regulation for harmonic compensation with non-linear load connection (비선형 부하 연결시 마이크로그리드 인버터의 고조파 보상을 위한 출력 전압 제어 방식)

  • Lim, Kyungbae;Choi, Jaeho;Jang, Juyoung;Moon, Sangho;Kim, Jaesi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552-553
    • /
    • 2014
  • 본 논문은 인버터 독립운전모드에서의 출력 전압 제어 방식을 다루고있다. 본 논문은 계통 연계 모드와 독립 운전 모드간의 모드 절환이 가능한 계통 연계형 인버터 출력단에 비선형 불평형 부하 연결시 발생하는 출력전압 왜곡현상에 대처하기위해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PI 제어를 이용한 방식을 대신해 고정좌 좌표계 또는 abc natural 프레임 하에서 사용되는 PR 제어를 사용하여 고조파 보상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계통 연계 모드시 외부 PR 출력 전류 루프와 내부 PR 출력 전압 루프를 가지는 제어기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제어 방식이 계통 연계 모드의 출력 전압 THD 성능개선에 효과적임과 동시에 또한 모드 변환시의 동특성을 좀더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in multilevel inverters using isolation and non-isolation approaches for synthesizing multilevel output voltages (다단출력전압 형성을 위한 절연 방식과 비절연 방식 멀티레벨 인버터의 특성 비교)

  • Kwon, Cheol-Soon;Choi, Won-Kyun;Hong, Un-Taek;Hyun, Seok-Hwan;Kang, Feel-S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500-50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출력전압레벨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3의 n승비의 입력전압원을 가지는 비절연방식과 동일한 레벨 형성을 위해 변압기 이차 측을 직렬로 결합시킨 절연 방식의 멀티레벨 인버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두 회로는 동일하게 3의 배수의 전압원을 가감하여 선형적인 출력 전압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다단 변압기를 적용하는 방식은 하나의 입력전압원을 가지고 변압기의 권선비를 3의 배수로 설계하여 출력전압의 순시치가 다단의 출력전압 레벨을 형성하는 개념이며, 제안된 방식은 전압원이 3의 배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동일한 출력전압 레벨을 생성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제안된 구조가 회로 소자수 측면과 효율 특성에 있어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두 회로의 비교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