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물 콘텐츠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5초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Structural Study on Dance Story-Telling)

  • 김기화;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4
    • /
    • 2012
  •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신체적 언어가 서사적 담론체계로서 스토리텔링의 담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와 무대미술의 관계형성을 통해서 비유 은유 상징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로 담론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개념에서 무용의 서사적 구성요소를 발현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사물적 요소로서 배경은 무대미술과 무용수의 행위적 요소들에 의해서 시공간적 배경이 제시가능하며, 인물설정도 무용수는 그 자체가 1인칭 화자인 동시에 평면적인 인물성격 묘사가 가능하다. 무용의 사건적 요소는 무대미술의 요소들이 1차적인 사건적 동기의 배경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다양한 인간관계로서 독무, 듀엣, 군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으로서 플롯은 무용수의 마임적 행위, 제스처, 얼굴표정 등의 행위소에 의해서 이끌어간다. 무용이 서사를 발현하는 요소는 무용 예술 그 자체가 발현체가 되며, 서사의 전이구조는 무용언어가 갖는 고유의 문법이다. 안무가는 무용의 서사의 담론으로서 인물설정, 인물의 행위, 시공간적 배경을 연출하는 무대미술의 요소들, 플롯의 전개 등으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무용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

방송조명에서 언더라이트의 표현 양식과 의미 창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 of Address and Meaning Creation of Underlight in Broadcasting Lighting)

  • 김영진;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49-759
    • /
    • 2016
  • 방송의 영상콘텐츠가 HDTV로 제작되고 모니터가 대형화되면서 방송 조명에서 피사체의 얼굴 표현이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HDTV는 빛에 의한 영상 표현의 정밀성의 확대로 피사체의 인물 모델링은 좀 더 부드럽고 깨끗한 영상이미지가 필요하다. 디지털 시대의 인물에 비춰지는 조명 방식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HD 영상에서 피사체의 미적 표현을 위한 언더라이트의 표현 특성을 이용한 인물 모델링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더라이트 광원의 강도, 거리, 크기가 인물 모델링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언더라이트의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강도는 총 밝기 대비 17%∼25.5%, 거리는 40cm이후, 크기는 최소한 20cm이상이 되어야만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향후 고화질 영상에서 인물을 좀 더 부드럽고 깨끗한 이미지를 얻는데 활용도가 높은 자료가 될 것이다.

황순원 「소나기」의 문화융합 콘텐츠 사례를 통해 본 인문학적 상상력 (Humanistic Imagination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Convergence Contents of Hwang Soon-won 「Sonagi」)

  • 이내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9-208
    • /
    • 2018
  • 본 논문은 1953년 5월 "신문학"지에 발표된 황순원의 "소나기"가 텔레비전 단막극, 애니메이션, 영화, 뮤지컬, CF, 문학콘서트 등과 같은 다양한 문화융합 콘텐츠로 재생산 되면서 원작과 달라진 부분을 인문학적 상상력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TV문학관 <소나기>에서는 원작에 존재하지 않은 인물인 소녀의 '엄마'와 소년의 동생인 '석이'라는 인물을 새롭게 창조하여 스토리를 보다 치밀하게 전개하였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의 대화가 말소리로 제시되어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영화에서 여주인공은 "소나기"의 결말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서 "죽거든 저를 업어준 사내애를 산 채로 같이 묻어 달라"는 독특한 상상력으로 소설을 차용한다. 어린이의 손목시계 겸 휴대폰 기능이 있는 키즈워치 CF에서도 "소나기"가 변용되었다. 또한 뮤지컬 <소나기>에서는 약 2톤 정도의 물을 사용하여 관객들에게 보다 생생함과 현장감을 주었다. 이처럼 소설을 원작으로 한 다양한 문화융합 콘텐츠에서는 원작의 내용이 매체의 특성에 따라 변용되면서 연출가의 독특한 상상력의 세계가 관객과 시청자에게 전달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의 동일시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dentification Directing in Animation)

  • 김영아;신승윤;이은희;김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53
    • /
    • 2012
  •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데 동일시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서 잘 알려져 있다. 연출자가 관객으로 하여금 등장인물의 눈으로 바라 볼 수 있게 하고, 동일시되어, 영화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면 내러티브는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시각적인 측면에서 등장인물과 관객을 연결시킬 수 있는 동일시 연출 방법이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된 동일시 연출 방법의 효과를 애니메이션비교 분석과 수용자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검증을 기반으로 실제 제작을 위한 동일시 연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화촬영에서의 셔터의 활용과 스토리텔링 (Utilizing Shutter and Storytelling in Motion Picture Taking)

  • 류재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574-585
    • /
    • 2014
  • 영화의 촬영이란 단순히 시나리오의 내용이나 인물의 행동을 화면에 옮기는 작업이 아니다. 촬영감독은 이미지를 통해 시나리오에 담긴 감정을 화면에 축적한다. 그 축적의 연속이 영화의 본질이다. 따라서 촬영감독은 끊임없이 시나리오를 해석하고 그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애쓰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은 당연히 촬영 기술이다. 결국, 영화 촬영이란 기술을 수단으로 예술성을 드러내는 작업이므로 촬영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영화예술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인물의 감정을 드러내는 여러 기술적 수단이 있지만 그 중 조명이나 미술 등의 도움 없이 카메라 그 자체의 기능만으로 가장 간단하고도 유력하게 시도할 수 있는 것이 셔터의 활용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셔터의 활용에 대하여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요인들에 대해 논의한다.

서삼릉의 사회적 변용과 특성으로부터 본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 (Tourism Resources Strategy of Royal Tomb: from Seosam-noung's Social Transfiguration and Characteristic Perspectives)

  • 박구원;박진우;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50-261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왕릉의 활용논의가 가장 활발히 전개되는 있는 서삼릉을 대상으로 그의 사회적 변용과 이용 및 공간적 특성을 통해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왕릉의 관광레크레이션적 가치는 왕릉이라는 문화적 요인 못지않게 주변지역의 특성적인 환경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왕릉의 개발수요는 기본적으로 관광개발에 앞서 시민휴식공간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바, 시민휴식공간과 관광레크레이션을 어떻게 양립시켜 나갈 것인가가 공간개발의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왕릉의 특성은 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왕릉을 구성하는 인물적 특성과 왕릉을 둘러싼 식생 또는 경관학적 특성에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공간, 식생, 인물 구성에 대한 스토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상학을 운용한 삼국지 게임 캐릭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Characters in the game Three Kingdoms through Physiognomy)

  • 장뢰;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5-1019
    • /
    • 2009
  • 본 연구는 관상학을 운용하여 삼국지 게임 캐릭터에 대하여 분석한다. 현재 게임업계는 급속하게 발전하여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휴식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게임 속의 캐릭터는 게임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서 캐릭터 디자인은 게임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캐릭터 디자인은 대부분 중요인물을 주제로 하지만 세부특징이나 외모에 대해서는 상세한 묘사가 없고 보통 게임 기획자의 요구대로 디자인 된다. 본문에서는 이런 방식에서 탈피하여 관상학의 연구를 바탕으로 삼국지 인물의 신분, 지위, 성격 등 여러 요소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디자이너로 하여금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 더욱 풍부한 참고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 PDF

원작 동화와 패러디 동화 비교 분석 : <아기 돼지 삼형제>와 <늑대가 들려주는 아기돼지 삼형제 이야기>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Original Fairy Tale and Parody : Focused on and )

  • 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3-1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아기 돼지 삼형제>와 <늑대가 들려주는 아기 돼지 삼형제 이야기>를 비교하여, 원작과 패러디 동화의 구조를 분석하고 패러디 동화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웅진씽크빅에서 발행한 원작 동화(아기 돼지 삼형제)와 보림 출판사에서 발행한 패러디 동화(늑대가 들려주는 아기돼지 삼형제 이야기)를 선정하였다. 원작과 패러디 동화의 구조를 플롯, 주제와 교육성, 등장인물, 시점과 문체, 배경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상이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패러디 동화의 특성은 문학적 관습이 타파되고, 열린 결말로 이야기가 종결되며, 등장인물과의 공감대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동 영화 탐구:<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Quest for Films of Chang-dong Lee: Focused On <Green Fish>, <Peppermint Candy>, <Oasis>)

  • 서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58-71
    • /
    • 2013
  • 이 논문은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을 중심으로 이창동의 영화세계를 탐구하려고 한다.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세 작품 모두 사회현실에 역동적으로 반응하는 인물의 내면세계를 영화의 중심에 놓으면서 주인공과의 감정적 동일화를 통한 연민을 기반으로 정서적, 감성적 유대감을 촉발시킨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때 <초록물고기>와 <박하사탕>은 주인공의 내면묘사에 있어서 객관적 리얼리티에 충실한 사실성과 함께 리얼리즘에서 이탈하는 과잉의 비극성을 보인다. <오아시스>는 주관적 내면을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환상성이 교차하며 현실과 환상이 뒤섞인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는 인물의 내면을 매개로하는 리얼리즘적 비판정신, 리얼리즘 양식에 균열을 가하는 탈-리얼리즘 기법, 그리고 정신 분석학적 측면에서의 스크린의 환상작용을 토대로 논의 될 것이다.

국내 TV 자연 다큐멘터리 에필로그 시스템에 나타난 서사 전략 분석 -<남극의 눈물>을 중심으로- (Narrative Strategy of TV Nature Documentary Epilogue System)

  • 류철균;문아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7-77
    • /
    • 2014
  • 국내 TV자연 다큐멘터리의 에필로그 시스템은 기존의 TV 다큐멘터리에서 볼 수 없었던 제작진의 모습을 기록한다. 이는 관조적 시선으로 본편의 제작과정을 다루던 메이킹 필름(makingfilm)과는 달리 제작진의 오지 촬영 과정에 서사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에필로그 시스템은 다큐멘터리의 본편에 비해 서사성이 강조되어 있으며 특히 제작진 개인의 미시적 서사를 다루면서 등장인물을 일종의 캐릭터로 기능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에필로그 시스템의 서사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노스럽 프라이의 원형비평이론을 중심으로 <남극의 눈물>의 서사구조와 등장인물의 특성을 분석했다. <남극의 눈물>은 희극적 로망스의 서사구조와 희극적 등장인물의 특성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화해'라는 주제를 이끌어냈으며, 이는 비극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던 자연 다큐멘터리 본편의 내용을 아울러 희극성을 통해 비극성을 극복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