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문사회환경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환선굴 주변지역의 인문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35
    • /
    • pp.61-6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환선굴의 동굴개발에 대하여 1992년 11월 삼척군이 보고한 $\ulcorner$대이리동굴주변개발에 관한 기본구상 및 계획$\lrcorner$을 요약 검토하고, 이에 입각한 인문환경과 관광환경을 중점적으로 분석.고찰하고자 한다. 과업의 목표는 삼척군 신기면 대이리 일대의 '대이동굴지대'관광자원과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개발을 동하여 환선굴 주변지역 보전 및 개발계획수립에 있다.(중략)

  • PDF

성류굴 주변지역의 환경분석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60-78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에서도 손꼽는 관광동굴로 유명하다. 가장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들과 깊은 인연을 맺어 왔으며, 이 고장의 지역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제 이 성류굴이 위치하는 울진지역의 자연 및 인문사회환경을 분석하고 성류굴의 환경보전을 위한 자료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중략)

  • PDF

국내 대학 인문사회계 분야 교수와 연구윤리

  • Yu, Byeong-Yeol
    • 대학교육
    • /
    • s.144
    • /
    • pp.44-53
    • /
    • 2006
  • 인문사회계 분야 교수의 연구 부정행위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개인적인 차원에서 다각도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연구윤리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 함으로써 환경적 분위기를 형성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에 필요한 구조와 제도를 확립해 나가야 한다. 해당 기관 등이 자체적으로 연구윤리와 관련된 기구와 규정을 마련하고 엄격히 실행해 가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인문사회계 분야 교수들 스스로가 학자로서 본연의 자세를 회복하고자 노력하는 일이 시급히 요구되며, 연구윤리와 관련된 교육을 제대로 실행해 가야 한다.

  • PDF

Socio-hydrologic Modeling Approach to Understand Influence of Multi-purpose Dam (사회-수문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다목적댐 영향 분석)

  • Lee, Slee Mi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6-126
    • /
    • 2019
  • 과거부터 수자원분야는 공학적인 측면을 주로 강조하였으며, 따라서 인문사회학적 요소(예, 토지이용, 인구, 생태 환경, 경제발전 등)가 종종 배제된 채 시설물 계획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의 모습이 복잡해짐에 따라, 수자원 관련 시설물의 계획에 있어 다양한 인문사회학적 요소를 고려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수문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사회-수문 상호 간 순환적 관계를 파악하고, 특히 다목적댐이 인문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가뭄과 홍수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다목적댐을 건설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으로 국내 강원도의 횡성댐을 선정하였다. 횡성댐은 하류에 위치한 횡성군과 원주시에 생 공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원의 역할과 섬강 하류지역에 발생하는 홍수를 방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횡성댐 유역의 사회-수문학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인과지도를 이용한 시스템 요소간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문학적 요소와 인문사회학적 요소 사이의 관계식을 구성하였다. 수자원 분야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생 공 농업용수 이용량 및 댐 저수량과 방류량을 선정하였으며, 인문사회학적 요소는 인구, 공업지역 농경지 주거지역의 면적 및 지역 내 총생산액을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사회-수문학 요소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사회-수문 전체의 동태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시스템 동적모의(System Dynamics) 모형을 이용한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다목적댐 건설 전 후로 대상지역의 용수 이용량과 인구 및 지역 총생산액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나아가 구현한 모형을 활용하여 향후 기후변화 발생 시 다목적댐이 대상지역의 용수이용 및 인구변화,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인문사회분야와 수자원분야 사이의 영향관계를 이해하고, 모델을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수자원 시설물 계획 및 정책마련을 위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Potential Drought Damage Index for socio-economic drought damage assessment (사회경제적 가뭄피해평가를 위한 잠재가뭄피해지수 개발)

  • Kim, Jin Hyuck;Ryu, Min Gyu;Lee, Chung Sung;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80-18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뭄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가뭄지수들은 자연현상만을 분석하여 가뭄의 심화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도시개발에 따른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문 사회적 요소들이 서로 얽혀서 결합되어 단순히 자연현상만으로는 가뭄재해를 표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개념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가뭄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원력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 가뭄위험지수, 가뭄대응능력 지수, 가뭄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가뭄위험지수로는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사용하였으며, 사회 경제적 가뭄을 판단하기 위해서 적합 가뭄지속기간을 고려하였다. 대응능력 지표로는 인문, 사회적 요소와 생활, 농업, 공업용수 공급량, 지하수 함양량을 고려하였다. 취약성 지표로는 인문 사회적 요소와 생활, 농업용수 부족량, 기상요소를 고려하였다. 각 요소의 가중치는 AHP분석을 통해 산정하였다. 산정된 SDI(Streamflow Drought Index), 가뭄대응능력지수, 가뭄취약성지수를 표준화하여 잠재가뭄피해지수 PDDI(Potential Drought Damage Index)를 산정하였으며, 실제 가뭄 기간을 참고하여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단순강우를 고려한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우와 증발산량을을 고려한 RDI(Recommaissamce Drought Index)와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력 개념을 고려한 잠재가뭄피해지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PDF

국토 연구와 환경 보전의 지속 가능성을 새 정부에 바란다

  • Lee, Min-Bu
    • 주택과사람들
    • /
    • s.214
    • /
    • pp.38-39
    • /
    • 2008
  • 지형.생태.자원 등 자연 환경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인문 환경을 총망라해서 지도화하는 작업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도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와 조사는 국가의 통치와 민생 안정에 상당한 역할을 한다. 새 정부에서 국토 환경에 대한 연구와 조사,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해 적극 실행해주길 바란다.

  • PDF

Luhmann's Sociology of Risk and Disaster Information Communicationm (루만의 위험사회학과 재난정보 소통)

  • Son, Ki-Ch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7-220
    • /
    • 2015
  •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인 고찰은 물리적이고 기술적으로 대응하는데 주력하는 재난관리 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재난관리가 국민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국가의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논의는 산업사회의 다음 단계로써 현대사회가 바로 위험사회라는 사회변동론적인 접근을 하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에 경도되어 풍부한 논의와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루만의 위험사회학은 소통에 기반을 둔 방대한 사회체계이론으로 위험에 관련한 소통을 위해와 위험으로 구별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처에 새로운 안목을 제시함과 동시에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루만의 위험사회학이 이론적으로 정교한 체계이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행위자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위험과 관련된 체계들, 즉, 재난관리체계, 정치체계, 법체계, 경제체계, 환경 체계, 언론체계, 등의 다이나믹스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the Facto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ased Convergence Research Performance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성과 영향요인 연구)

  • Noh, Younghee;Lee, Kwang Hee;Jeong, Dae 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667-67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earch result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ased convergence research. For this purpose, personal characteristics, research environment factor, researcher factor, research team factor, and support agency factor were set as influence factors of convergenc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or researchers who are conducting research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ased convergenc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actors influencing research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ased convergence were researcher factor, supporting agency factor, research environment factor(major), and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convergence research result was 51.6%.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performing the convergence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dividual factor of the research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factor of the research team in the performance of convergence research. Second, the support organization can improve the convergence research result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of convergence research results. Third, the research field (major) of the researcher also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the convergence research. Therefore, the research field (major)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the convergence research team.

백용동굴 주변의 인문 및 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32
    • /
    • pp.42-64
    • /
    • 1992
  • 거주환경을 둘러싼 대도시권, 지방도시, 농ㆍ산ㆍ어촌등 각각의 지역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각지역에 대한 지역 계발을 추진하는데 있어서는 국가 전체속에서 각각의 지역이 갖고 있는 역활을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기능의 정비방책이나 개발방향이 검토되지 않으면 안된다.(중략)

  • PDF

Soil Environment, a Key to Open up Jeju Society and Culture (제주 토양환경을 알면 제주의 사회.문화를 안다)

  • Hyun, Hae-Nam
    • 한국환경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7a
    • /
    • pp.3-20
    • /
    • 2011
  • Soil in Jeju Island is largely classified into dark brown non-volcanic ash soil weathered by basalt, dark brown ash soil and black volcanic ash soil origin from volcanic ash. Non-volcanic ash soil is similar to main land soil which can cultivate rice and barely, however, volcanic ash soil is very sterile therefore even barely cultivation is impossible. Although dolmen distribution, ancestral rites, folk songs and agricultural methods can be clearly classed into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adduce humanistic sociological basis. However, regional characteristics can be classified by using soil physic-chemical properties of non-volcanic ash soil and volcanic ash soil. Non-volcanic ash soil region relatively has cheerful folk song, dolmen is found and bunjitgeori ancestral rites are common. One the other hand, there are no dolmen are found in volcanic ash soil area. Sad shamanistic song such as Jinsadetsori is common and firstborn-son takes the lead in ancestral rites in this area. This lesson interprets socio-cultural difference using soil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