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력양성정책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49초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 행태분석 (Analysis of Human Resources Practices and Career Path Movement In the Field of Convergence Technologies)

  • 이중만;허태영;이정배;황규희;엄기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46-459
    • /
    • 2010
  • 융합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술융합 및 융합기술화 등 융합기술에 대한 전략적 활용도 증가하여 융합산업은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고, 다학제 교육의 활성화, 글로벌 협업의 증가, 지속적으로 타분야 지식습득을 위한 직무전환교육, 응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초과학 교육강화, 협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기술개발 및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에 대한현황과 연구원의 인력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이다. 산학연 전문가 209명을 대상 전문가 Survey 및 국내외사례분석을 통해서 융합기술 분야에 있어서 융합기술인력의 유동성 강화(Mobility), 글로벌 수준의 융합기술 인력양성, 인력이동 행태에 따른 다양한 공동협업연구(Collaboration) 및 전환교육, 인프라의 체계화 및 개선(Infra) 등 인력양성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바라본 국내 광학산업 및 인력 수요 동향

  • 한국광학기기협회
    • 광학세계
    • /
    • 통권98호
    • /
    • pp.55-59
    • /
    • 2005
  • 「정밀광학렌즈 및 광학박막기술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광학기기협회에서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간 전국 광학 관련 산업체 종사자 및 전 공자 7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우리나라 광학산업과 기술인력 동향 및 전망 등을 파악해보았다. 본 고에서는 이번 설문조사 내용이 국내 광학산업 동향에 대한 올바른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 중·장기 광학산업정책수립에 합리적인 지표로 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일부 내용을 발췌, 소개한다.

  • PDF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의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A Curr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Arts Professionals)

  • 이장원;임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58-274
    • /
    • 2010
  • 문화예술의 하드웨어 구축과 함께 정책적인 차원에서 이를 운영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과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정책적인 과제로 부각되었고, 국민의 문화욕구가 증가하면서 공연예술도 대형화와 전문화로 인해, 대형 뮤지컬의 제작 편수가 많아지고 외국과의 공연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무대기술 인력의 수요도 증가하였다. 이처럼 공연장이 증가하면서 전문적으로 안전하고 질 높은 공연을 위한 무대 기술 분야의 전문 인력이 요구되었다.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는 무대기술 분야의 직업적 전문성과 안정성을 높여 공연장과 공연 예술의 질적인 발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이 자격제도는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이 제도가 처음 도입될 당시 무대기술 분야 종사자들은 예술적 전문성을 인정받고 무대예술전문인으로서 자긍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문화예술 전문 인력 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인 방안과 무대기술 분야 인력정책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연예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첫 자격제도로서, 자격제도의 도입 취지와 걸맞은 운영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 현황 파악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대학 정보보호전공 교육과정 분석 및 융합교육정책 (Analysis of Academic Curriculum of Information Security Major in Domestic Univers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Policy)

  • 홍진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9-60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국내대학의 정보보호 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대학별 교육 차별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정보보호 산업체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분야별 인력채용 수요현황과 대학별 양성인력을 비교 분석하여 정보보호 인력의 충족정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공 교육과정 측면에서 향후 융합 분야의 정보보호 인력 요구와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국가 정보보안 이슈 및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National Information Security Agenda and Policies)

  • 김정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5-111
    • /
    • 2012
  •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변화에 따른 신규 보안위협의 등장, 사이버 공격의 증가, 국내외 정보보안 관련 법규 제정 및 시행 강화 등 제반 환경 변화에 따라 정보보안에 대한 대응방법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경제주체로서 정부, 기업/산업, 개인, 환경 등 네 가지 측면에서 국가 정보보안을 위해 해결해야 할 이슈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 정보보안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정보보안 산업 육성 및 기업보안 수준 제고 방안, 정보보안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정보보안 법 제도 정비 및 문화 형성 등 네 가지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주요 이슈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계층분석을 활용한 창의적 SW인재양성 정책방향 도출 (Derivation of Creative SW HRD Polic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중만;임명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95-102
    • /
    • 2013
  • 최근 들어 SW산업이 모바일과 클라우드 기술환경으로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데, 국내 SW인력양성의 현황 및 문제점을 PEST-SWOT분석을 통해 PEST요인과 연계하여 내외부 환경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모형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스마트 산업 생태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SW인재 양성정책 방향으로서 SW융합인재 양성, 창의성이 요구되는 SW분야 대학교육 내실화, 글로벌 인재양성 및 교류, 인프라인 SW벤처생태계 활성화 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AHP모형으로 SW인재정책비전에 대한 정책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SW기술 활용증대에 따른 SW융합인재 양성, SW벤처 생태계 활성화, SW창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SW분야 대-중소기업 상생발전 조성, 창의적 SW인재양성, 글로벌 우수인재 확보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다.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표준전문가 경력경로 연구 (A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Path of Standard Expert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황윤원;송용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01-109
    • /
    • 2017
  • 본 연구는 미국 EU 등 외국의 표준전문가 양성사례분석을 토대로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표준전문가 양성을 위한 경력경로를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 외국의 사례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럽과 미국의 사례를 통해 범용전문가와 특정분야전문가를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인력양성체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표준분야에서도 범용과 특정분야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분야를 융 복합할 수 있는 융합전문성을 갖춘 표준전문가를 육성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전문인력의 경력개발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직무이동/순환 제도, 경력 카운슬링, 멘토링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표준전문가에 대한 인증자격제도를 다양하게 구축, 표준교육을 담당할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교수자의 확보, 재직 표준관련 인력의 재교육을 통한 역량강화가 표준전문가 양성에서 기반으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연구가 미흡한 표준전문가 양성을 위한 경력경로를 탐색한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인터뷰 분석, 문헌연구와 외국 사례 분석에 기초한 기술적(descriptive) 연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에 제4차 산업혁명과 표준전문인력 관련 본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는 실증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지식재산(IP)스타기업 육성 정책과 지식재산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9년~2011년 스타기업을 중심으로

  • 조용형;박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43
    • /
    • 2016
  • 본 연구는 특허청의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통하여 발굴 선정된 지역의 지식재산스타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활동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2011년 지식재산스타 기업으로 선정된 16개 지역의 383개 기업에 대하여 정책을 지원한 전년도와 당해 년도의 지식재산활동 및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의 필요성을 기업에 확산시키고, 더불어 지식재산 지원정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청은 2006년부터 지역 중소기업의 견실한 성장을 위하여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여 독점적 지위 확보와 새로운 시장 개척(First-mover)의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장 잠재력과 기술력을 가진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3년간 지식재산컨설팅 및 특허 디자인 브랜드 등에 대한 맞춤형 종합지원을 제공하여 지역의 대표기업으로 성장시키는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식재산스타기업 육성 정책 지원을 통한 기업의 지식재산활동 중 지식재산 출원건수와 지식재산 전담인력수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가설을 실증분석한 결과, 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이 많은 기업들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매출액 증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중소기업에서는 체계적인 지식재산경영을 위한 전담인력 확충 등 노력이 요구되며, 정부 및 관련기관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강소기업 육성을 위하여 기업의 지식재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전담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식재산 전담인력 확충에 필요한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 이후에는 지식재산스타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와 수출역량 등 연구표본의 다양화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경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지식재산 기반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