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도 여성 소비자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제품구매시 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 분석 : 가정생활 양식유형, 안전의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Heo, Gyeong-Ok
    • Proceedings of the KHMA Conference
    • /
    • 2008.05a
    • /
    • pp.87-10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총 2,000 명을 조사대상으로 한 한국소비자원 (2007)의 "국민소비행태 및 의식구조 조사"자료를 가지고 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을 조사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안전의식과 가정생활양식 변수가 소비자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제외하고 농산물 구매에서 안전성보다는 가격, 신선도 등 다른 요인을 중요한 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어 안전추구행동이 낮은 수준이라고 하겠다. 둘째, 소비자 안전의식은 여성, 젊은 소비자, 가족 수가 3인 인 경우,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해 중간적 입장을 취한 소비자의 경우, 미래지향적인 소비자들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농산물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가 환경지향적이고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해 부정적인 소비자 일 수록 안전추구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경우 남성, 미혼자, 연령이 낮은 경우, 가족 수가 적은 경우 안전성을 중요한 구매기준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대체로 여성, 미혼, 나이가 많은 경우, 가족수가 적은 경우, 환경의식이 높은 경우 술의 소비가 적었으며, 여성, 고졸이하, 나이가 적은 경우, 가족 건강 여가 지향적인 경우 담배를 전혀 소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대졸, 고소득, 가족 건강지향적, 부정적 농산물수입개방 태도의 경우 수입농산물 구매에서 안전성을 제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었다. 끝으로, 여성, 고졸 소비자, 여가 현재 지향적, 환경의식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안전추구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의식은 안전추구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독신여성을 위한 상품기획 연구

  • 이연희;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87
    • /
    • 2003
  • 통계청이 5년마다 조사하는 전국 인구 센서스에 따르면 2000년 전국 총 1천4백39만 가구 가운데 독신 가구는 2백 22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15.4%를 차지하며 여성의 가구주는 2천6백 53명으로 48.25%가 혼자 살고 있으며 독신의 비율이 지난 10년 사이에 비해 많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한 독신, 그 중 여성 독신자를 대상으로 그녀들이 열어 가는 1인 가족시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위 한 상품기 획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Suggestion of smart Dressing Table design for one person household -Focusing on single women in their 20s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 디자인 제안 - 20대 독신 여성을 중심으로)

  • Kim, Da-Yeon;Lee, Dong-M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2
    • /
    • pp.165-1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mart furniture for single - person households and to suggest final design. It is assumed that smart furniture that meets the demand can be released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intend to solve the needs of the smart technology of the subj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ersona establishment through demand research. Curr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nd become the most important form of household composition in the fu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after the target selection for the target needs research. Then, after insights a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apply the applicable smart technology to create the expected scenarios and draw conclusions about how smart furniture will function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Feminizing of Real Estate Speculation -A Study on the Bokbuin in the Korean Narratives in 1970s~1980s (주거의 투기화, 투기의 여성화 -1970~1980년대 한국 서사에 나타난 복부인의 형상화 양상 연구)

  • Jun, Bong-Gwan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4
    • /
    • pp.321-359
    • /
    • 2019
  • In the 1970s,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area now known as Gangnam began, ushering in the era of real estate investment on apartments which transformed housing styles in Korea. Apartments were pitched as the most ideal type of housing, creating a competitive market of high demand and skyrocketing prices. The apartments were also viewed as a means of quick asset investment among middle-class Koreans. Within this apartment frenzy stood the female real estate speculator, the bokbuin. This study seeks to locate the bokbuin in the real estate development market after the late 1970s. The apartment speculation boom cannot be attributed to the bokbuin alone, yet she became the target of public anger and criticism, singled-out as being responsible for fueling illegal and unethical investments. The apartment boom of the 1970s was in fact generated in large part by the government, developers, construction companies and realtors. While their pursuit of profit was deemed as legitimate, the bokbuin's conduct was mostly tainted by presumed illegitimate and greedy motivations. This study problematizes this gendering of real estate investment and treat the bokbuin as a byproduct of the family-centered culture in East Asia. Analyzing Im Kwon Taek's film "Mrs. Speculator", Park Ki Won's conte, "Bokbuin", Park Wan Seo's short story, "Children of Paradise", "The People of Seoul", this study shows that bokbuin's pursuit was not hers alone; it was the collective pursuit with her husband for the enhancement of family finances. This stud y argue that the bokbuin embodied the thickly misogynistic climate of the 1970s that projected the chaotic rise of greed onto the woman.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go-subjectivity Recovery Experience of the Wives of Alcoholics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Choi, Mi-Ran;Cho, Hee-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576-589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wives of alcoholics could escape from the co-dependency relationship and recover their ego-subjectivity. This study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wives of alcoholic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posed by Giorgi[1]. First, researchers extracted five subjects, including 'Co-dependency (Loss of ego-identity)', 'Impoverished life', Ego-prop', Ego-awareness', and 'Ego-subjectivity recovery' in the course of the data analysis. Secondly, researchers identified "Ego-subjectivity recovery through Ego-awareness of a wife of an alcoholic", an essential theme, by integrating all subjects. Research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ed practical alternatives for various psychological treatment system and ego-prop like as counselling, family member of alcoholic wives and power of faith.

A Study of Consumer Purchase Decision and Determinants of Local Food in Anseong (안성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사 및 구매결정요인)

  • Jeon, Young-G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173-17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Anseong local food policy and local food activation by finding the key fact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for Anseong local food. First, we conducted a survey and derived consumer purchasing attributes for the local foo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or Anseong local food out of such seven attributes as 'excellent quality', 'safety', 'good for health', 'activation of local economy', 'low price', 'accessibility', 'variety of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cing attributes on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for Anseong local food were 'excellent quality' and 'low price' followed by 'accessibility' and 'activation of local economy'.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Fashion Lifestyle of the New Generation of Indian Women living in Mumbai (인도 여성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특성 연구 - 뭄바이 거주 신세대 여성을 중심으로 -)

  • Ko, Su-Jin;Koh, Ae-R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0
    • /
    • pp.1590-160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shion lifestyles and the effect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by female consumers living in Mumbai India.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Indian women in their teens to thirties living in Mumbai and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chi}^2$-test,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ve factors of fashion lifestyle are identified: fashion consciousness, price orientation, advertisement/brand orientation, being aware of others, and tradition orientation. Fe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fashion lifestyle factors: display/brand oriented group, active profit seeking group, fashion oriented group, and a tradition orient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ashion lifestyle groups on five criteria (latest fashion, price, commonality with existing clothing, size, and the distance to the store) out of the 13 criteria. The display/brand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 the latest fashion and size. The active profit-seeking group generally showed high scores on all five factors. The fash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 latest fashion and commonality with existing clothing when buying clothes. Finally, the tradition oriented group showed high scores only on the distance to the shop, while they (the tradition oriented group) showed low scores on the other criteria. The examination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lothing purchase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showed that only the monthly expenditure for clothi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play/brand oriented group and active profit seeking group spent more on clothing than the other two groups.

Pet Care and Internet Consumption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 Han, Hee-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388-400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et consumption behavior concerning pet ca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1 people who take care of pets. In this study, along with owners of domestic companion animals, stray cat caregivers were included as pet consumers, which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this category in existing research. Internet consumption was found to differ between people with dogs and people with cats. In the case of dog owners, they bought a lot of bath products, clothes harnesses, and strollers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cats. Although the pet-poor phenomenon is known to occur a lot among young consumers, who care for pets behavior at the cost of money spent on themselves, even stray cat caregivers, mostly middle-aged women, are wary of becoming pet-poor.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online shopping of pet consumers. In general, women, who did mainly Internet shopping, and if they are not used to using the Internet, their husbands made purchases online inst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