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접근도

Search Result 61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n Surveys of Economically Active Propulation (인구의 경제활동상태 조사방법에 관한 소고)

  • 김민경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73-92
    • /
    • 1996
  • There are basically three approaches of surveys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namely Labor Force Approach (or Current Status Approach), Usual Status Approach, and Gainful Worker Approach. The selection of an approach among these approaches to be applied to a survey or population censu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survey or the census and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a country. In the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eries which have been taken almost every five years since its first round in 1925, a sample survey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has been adopted since the 1960 round of census. Even if the labor force approach continued to be applied to the censns prior to 1980, the approach has been different from one round to another in recent rounds.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labor force approach continue to be adopted for the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for the following reasons: 1) the proportion of seasonal workers to the total workers is very small, 2)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whose type of activity for a specific duration is different from that for one year is small, 3) the approach for the census should be the same as that for a variety of sample surveys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hich adopt the labor force approach, since the census functions as a population as well as a bench mark for those sample surveys, 4) an application of labor force approach will facilitate international comparisons since most of countries that conduct a population census adopt this approach, 5) the labor force approa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results, thanks to its short reference period, etc.

  • PDF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 Kim, Sang-Gyoon;Shin, Sang-Young;Nam, Hyeon-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1
    • /
    • pp.51-62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accessibility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and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effects when expanding the evacuation places in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In order to consider real-world evacuees, the accessibility analysis i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not on resident population. Method: Location-allocation model as a GIS-based spatial optimization mode is used to analyze accessibility and vulnerable areas to evacuation places. Of location-allocation problem types, 'Maximize Coverage' method is chosen to allocate as many potential evacuees as possible to evacuation places. And impedence cutoffs or evacuation distances (times) are applied to three classes: 500m (7.5 minutes), 1,000m (15 minutes), and 1,500m (22.5 minutes). Case study area is Jung-gu areas, Seoul as a high-density downtown area. Result: Results show that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and population to evacuation places are much more in service population than in resident population. Accessi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increases when expanding the evacuation places in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Yet, accessibility-deficient areas are still remained since available lands are insufficient in the high-density downtown area.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emporary evacuation facilities like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need to consider real potential evacuees based not only on resident population but also on service population. Also, policy measures to provide emergency shelters need to more utilize spatial optimization tools like location-allocation model.

Stochastic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확률적 인구추계)

  • Woo, Hae-B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3 no.1
    • /
    • pp.161-189
    • /
    • 2010
  • Dealing with uncertainty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since 1980. This study reviews methodological developments in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important issue of the uncertainty surrounding demographic forecasts. Several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scenario approach to dealing with uncertainty are also discussed. Second, in forecasting demographic processes such as mortality, fertility, and migration, three approaches of stochastic forecasting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expert judgment, statistical modeling, and analysis of historical forecast error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issu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stochastic demographic forecasting.

환경문제 발생원인으로서의 연구

  • Jeong, Dae-Yeon;Jang, Sin-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313-343
    • /
    • 2005
  • 오늘날 환경문제는 범지구적이며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만큼 심각하다. 산업화가 환경문제 발생의 근원적 원인이다. 하지만 자연관, 자연에 대한 지식 증가, 기술개발, 경제성장과 불평등 등도 환경문제 발생의 중요한 원인들이다. 인구는 사회가 성립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지만 환경문제 발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인구가 지탱되는 데 필요한 의식주는 전적으로 자연자원에 의존하고 있는데 인구의 크기는 자연이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인구와 환경의 관계에서 인구를 하나의 집합체로 보고 양적으로 접근한다. 그러나 환경문제 발생원으로서는 인구는 질적 차원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집합체로서의 인구를 구성하는 개별 행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친환경적 행동을 하는 가라는 점도 파악돼야 한다. 왜냐하면 절대 인구수가 같더라도 전체로서의 인구를 구성하는 개별 행위자들의 자연관, 생활양식 등에 따라 자연에 전개하는 행동이 다르고 결국 자연에 가해지는 영향(impact)이 다르기 때문이다. 집합체로서의 인구가 환경문제 발생원인으로 의히마는 바는, 자연자원의 공급량을 훨씬 초과해 추출한다는 점과 자연이 흡수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으로 생산${\cdot}$유통${\cdot}$소비과정에서 과도하게 폐기물을 발생시킨다는 점이다. 반면 개별 행위자로서의 인구가 환경문제 발생원인으로 의미하는 바는 풍요성과 편리성을 극대화시키고 일상생활에서 친환경적이지 않은 행동을 무분별하게 한다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환경문제의 본질을 먼저 논의했고 환경문제 발생 메커니즘에 인구가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는 지를 두 가지 차원 - 집합체로서의 인구와 개별 행위자로서의 인구 - 에서 논의하였다.

Analysis of urban riverfront characteristics of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City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 수변 특성 분석)

  • Sung Eun Kim;Hyeonjung Nam;Won-Sam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8-448
    • /
    • 2023
  • 도심 속 하천과 그 주변 지역(이하 수변)은 물과 자연환경이 주는 정서적 안정감과 쾌적함, 그리고 건강성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도심 속 쉼터이자 힐링의 장소이다. 최근 수변이 도시경관의 질향상, 휴식 및 여가 공간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열섬효과 완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재조명되면서, 수변이 도시의 발전과 활성화를 이끌어낼 새로운 동력이자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4대 권역하천인 중랑천, 탄천, 안양천, 홍제천을 대상으로 하천과 하천 주변 500m 이내 구역을 하천공간과 수변공간으로 구분하고, 그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제방)으로부터 50m 이내 수변공간에 위치한 도로면적의 비율은 탄천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에도 중랑천은 31%, 홍제천과 안양천은 28%로 하천변 도로면적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랑천은 하천공간 내 도로면적이 하천변 50m 이내에 위치한 도로의 면적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안양천, 중랑천, 탄천 대부분의 구간에서는 친수활동을 하기엔 다소 수심이 낮고(0.3m 이하) 유속이 느린 것(0.3m/s 이하)으로 분석되었고, 수질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대장균 군수가 기준치를 수십에서 수백 배 초과하고 있어, 최상류 일부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수영·물놀이 등 수상활동이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울시민들은 주로 금요일과 토요일, 오후 12시에서 18시 사이에 하천을 가장 많이 방문하며 평균 2시간 정도를 머물렀으며, 대부분 걷기와 산책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보, 대중교통 등 교통수단에 따른 하천진출입로 인근평균인구 대비 접근 가능 인구비율을 산출하여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중랑천과 홍제천에서는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20~30%가 도보 및 대중교통으로 20~3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였고, 안양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5~20%가 30분 이내 도달가능하였으며, 탄천은 수변지역 내 평균인구의 10%미만이 30분 내에 도달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탄천의 접근성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using GIS - with Special Reference to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s - (GIS를 활용한 부산시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

  • Kim, Heu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204-214
    • /
    • 2006
  • The necessity of a management for a metropolitan has long intrigued many urban scholars and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Busan metropolitan spatial structure and it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by analyzing the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s, for the period of 1993, 2001.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While main-centers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loss of population, sub-centers have been growing. Jung-Ang Dong still has high accessibility in population potentials, but its accessibility has declined since 1993. Pu-Jeon Dong had increasing trend of population until 2000, but its population has also descended since that time. Meanwhile, the population of sub-centers has increased in its accessibility. And The spatial pattern of the population in Busan has changed from monocentric to polycentric. This phenomenon was almost spontaneously generated from population dispersion from existing main-centers. In terms of change of land values are there is a spatial and temporal rhythm in the urbanization of Busan. The highest land value in Busan is shown in CBD. The development of Busan proceeded along the north-south belt and extended to west Busan.

  • PDF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유동인구를 활용한 대피소 수용 능력 분석)

  • Kim, Mi-Kyeong;Kang, Sinhye;Kim, Sang-Pil;Sohn, Hong-Gy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4 no.1
    • /
    • pp.1-10
    • /
    • 2016
  • Seoul, a mega city, contains many features of the modern city. When the disaster or emergency occurs in Seoul, the place for shelter is required for evacuation urgently. There are currently the numbers of shelters in Seoul City, which can hold the twice more capacity of population of Seoul. However, the population distribution fluctuation in the day and the night needs to be considered.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apacity of shelt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study, the substantial accessibility and the capacity of shelters in Seoul were analyzed by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accessibility of shelter was investigated through a network analysis that includes the pedestrian road data, while the capacity of shelter was analyzed by the local differences of daytime population distributions. Finall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vulnerable areas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shelter in the region.

Valuing Traffic Noise Cost Based on the Damage Cost Approach (피해비용 접근법을 바탕으로 한 소음비용 추정 연구)

  • JUNG, Dongjae;CHANG, Justin 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4
    • /
    • pp.292-306
    • /
    • 2017
  • Traffic noise cost can be assessed either by the damage cost approach or by the avoidance cost method.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ertinent studies of these two approaches and shows that the damage cost approach is more universal and reliable than the avoidance cost counterpart. This study then investigated three sub-components to address the damage cost framework. First of all, unit value per person exposed to noise per year was calculated. Secondly, the area exposed to noise was determined using noise prediction equation. Thirdly, the number of people affected by noise was compu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people exposed to noise with the percentage of people affected by noise. This paper also suggested a simplified equation that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damage costs and noise levels. Finally, the benefits of noise reduction derived from the damage cost method and those from the avoidance cost approach were compared and discussed.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 최초이동, 계속이동, 귀환 이동

  • Lee, Sang-Ri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43-72
    • /
    • 2009
  • 일반적으로 인구이동은 전형적인 연령패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에 따른 이동률의 변화는 생애주기와 지역애착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왔다. 많은 인구이동 연구들은 인구이동이 갖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한 거주지역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인구이동의 다양성에 주목한 연구들은 인구이동이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패널데이터(NLSY79)를 사용하여, 인구이동을 최초이동, 계속이동 및 귀환이동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생애주기 및 지역애착 등을 반영하는 사회경제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연령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인구이동이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한 연령패턴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초이동은 이동률이 성인초기 연령대의 매우 높은 수준에서 급감하여 중년에 이르러 일반적 이동률 수준으로 나타났고, 계속이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선형으로 꾸준히 감소하지만 그 폭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귀환이동은 이동률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령패턴의 다양성을 설명을 위해 이 연구는 인구이동에서의 보수성 증가라는 심리적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의 적정인구 추세에 관한 연구

  • Kim, Hyeong-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6.12a
    • /
    • pp.193-230
    • /
    • 2006
  • 본 논문은 국가별 추계인구와 미래 9개년 인구관련 설명변수들의 추정값을 통하여 적정인구 모형을 구형하고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후생을 고려한 생산함수 확장모형, 세계 176개국의 표본자료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를 추정하고 그 추세곡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UN에 의한 세계각국의 추계인구이고, 설명변수는 9개 변수 즉 PPP GDP, 인접지역 경제통합율, 교육수준, 영어구사비율, 국토유효면적, 에너지량, 기온, 수자원량, 무역거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sim}2300$년 한국의 적정인구는 $4,350{\sim}4,950$만명으로 추정되며, 2000년${\sim}$2050년은 $4,700{\sim}5,010$만명, 2050년${\sim}2100$년은 $4,770{\sim}4,400$만명이 된다. 2125년 최저점 4,350만명을 통과한 후 점진적으로 2300년의 4,870만명으로 접근해 갈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네 가지이다. 첫째 한국의 적정인구가 2125년을 기준으로 이전은 감소 이후는 증가 추세일 것이므로 정책결정시 적정한 목표인구를 설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현 추세로 진행되면 2050년 이후 적정인구가 추계인구보다 $500{\sim}600$만명 더 많아진다는 점이다. 셋째 2125년 이전의 적정인구는 좁게 $4,770{\sim}4,545$만명으로서, 출산율 향상을 통한 적정인구의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넷째 적정인구 추세의 기복은 출산기피로 인한 인구감소 때문으로 출산지원과 입양 및 이민 유입의 정책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