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 생명기상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National Plan and Vision on Comprehensive Rural Development in the 21th Century (21세기 농촌정비사업의 계획과 전망)

  • 김태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4
    • /
    • 2000
  • 21세기는 생명, 환경, 정보를 주제로 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20세기 절대빈곤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장제일주의의 경제개발정책은 짧은 시간에 성공적으로 달성되어 높은 문화수준과 산업사회를 이룰 수 있었다. 한편, 국민생활향상과 산업발전에 결정적 역할을 해왔던 수자원개발은 동강에서, 시화호에서, 지리산, 인천 앞바다에서 개발 부작용으로 생태와 환경이 심한 몸살을 앓기 시작하고 있다. WTO에 의한 시장개방으로 생산구조가 붕괴되고 농촌지역이 공동화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누군가는 농촌에서 농사를 짓고 살아야만 국가의 산업구조가 유지되고 아름다운 국토의 자연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 농촌은 식량생산을 위한 공간과 인간생활을 위한 공간 등 두 가지 기능을 가진 공간이다. 쾌적한 농촌을 이룩하려면 농업생산성을 향상시켜 농업소득을 높이고, 농공단지의 활성화와 농촌관광과 휴양시설에 의한 농외소득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농업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은 물론 홍수 및 토양침식 억제, 수자원함양, 수질정화, 대기정화, 생물 다양성 등 환경보전적 기능이 WTO에 대응하여 쌀시장을 지킬 수 있는 논리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George Brokeway (경제인의 종말, 1991)의 “ 이윤극대화라는 경제원칙이 인간의 자연파괴와 기상이변 앞에 모순을 드러내고 있어 경제학의 인간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지적에 비교우위론자들은 다시 한번 귀기울여주기 바란다.

  • PDF

Stationary test of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Data Screening (Data screening을 이용한 우리나라 연강수량 자료의 시계열 특성 분석)

  • Lim, Ga Kyun;Kang, Dong Ho;J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1-231
    • /
    • 2019
  • 수문자료는 수문과정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장래 예견되는 자연재해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수자원 계획 수립 및 대규모 수공구조물 설계 시 수문학적 설계기준이 되는 강수량 및 유출량과 같은 설계 수문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과거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수문자료 관측을 위한 관측소가 대부분 근래에 설치되어 자료의 기록기간이 짧은 실정이며, 수문자료의 질적인 면에서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경우가 많아 수문 시계열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한국의 경우 수문 시계열 자료가 정상성이나 독립성을 지니고 있다고 가정하고 수문분석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상성을 가정한 수문분석으로 인해 왜곡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기상청 63개의 기상관측소 중 45년 이상의 장기간의 관측 자료를 가지고 있는 37개의 기상관측소의 연강수량 자료를 대상으로 Data Screening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37개소의 기상관측소 연 강수량의 시계열 자료 중 4개 관측소의 연강수량 자료에서 경향성을 보였으며 평균과 분산의 시간변동성을 의미하는 안정성은 22개 관측소 연강수량 자료에서 불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4개 관측소 연강수량 자료에서 지속성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향성이 없고 평균과 분산의 안정성이 존재하며 지속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연 강수량 시계열 자료만을 정상성이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분석 결과, 37개 관측소 중 23개 관측소(약 62%) 연 강수량자료가 비정상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Construction of the Transgenic Drosophila melanogaster Expressing a Human Megsin Gene. (인간 신장질환 유발인자가 발현하는 형질전환 초파리 구축)

  • Goo, Tae-Won;Kwon, Ki-Sang;Kwon, O-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7 no.5 s.85
    • /
    • pp.719-722
    • /
    • 2007
  • IgA nephropathy(IgAN) is considered to be a multifactorial disease wi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its pathogenesis. The genes involved in susceptibility and progression of the disease have not yet been clearly elucidated. Megsin is an important candidate gene, predominantly expressed in glomerular mesangium and upregulated in IgAN. To understand biological function of megsin, in this work we have produced transgenic D. melanogaster fly over-expressing human megsin(actin-gal4>UAS-Megsin fly). Introduced human megsin was confirm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Its phenotype is melanin deficiency-abdomen and the megsin gene is stably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s.

Production of Recombinant Human Keratinocyte Growth Factor from Bombyx mori (Lepidopera: Bombycidae) Bm5 Cells (누에배양세포에서 인간형 재조합단백질 각질세포 성장인자 생산)

  • Han, Song-Yi;Jin, Cho-Yi;Kwon, Ki-Sang;Yun, Eun-Young;Goo, Tae-Won;Kim, Seung-Whan;Choi, Jong-Soon;Yu, Kweon;Kwon, O-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6
    • /
    • pp.907-911
    • /
    • 2011
  • Using silkworm Bombyx mori Bm5 cells, we established a stable cell line expressing the human keratinocyte growth factor (hKGF), named by the Bm5-hKGF cell, in which the protein hKGF is synthesized in the cell and secreted in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CCS) at approximately 15-20 ng/ml. When the Bm5-hKGF cell was co-expressed with B. mori protein disulfide isomerase (bPDI) cDNA, its secretion increased by about two times the original amount. Through wound healing migration assa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secreted hKGF included in the CCS has a very powerful biological activity of keratinocyte proliferation. We expect to produce useful human recombinant proteins from silkworm cultured cells in large quantities at low prices.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NETWORK Model at Geum River Basin Downstream (NETWORK 모형을 이용한 금강유역 하류지역 물수지 분석)

  • Jeon, Kyeong Soo;Muhammad, Azam;Maeng, Seung Jin;Choi, Si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9-589
    • /
    • 2015
  • 물은 인간생활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용수 수요량은 도시화로 인한 인구증가와 기상 이상화 현상으로 인해 점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우량 2/3가 6, 7, 8월에걸쳐 3개월 동안의 강우량에 따라 가뭄빈도가 잦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피해는 앞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어지고 있다. 실제로 2012년 5 ~ 6월 충남 서부지역에서는 예년평균의 20%로 관측되어 전국최대의 가뭄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효율적인 이용 및 보전계획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B(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Boston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기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중권역 단위의 물수지 분석에서 시군 행정구역단위로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공급방안 제시하였다. 이 때 이용된 권역별 유출량 자료는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네트워크는 시군 행정구역단위 모의 목적에 따라 구현하여 적용하였다. 물수지 계산시간 간격은 최대 갈수년 1967년을 설정하여 목표연도 2025년까지 총 45년간 반순단위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물수급 분석 방안에 의한 산정결과 생공용수의 지역적 물수급 불균형과 농업용수의 월별 물부족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되어 가뭄에 대비한 중장기적 이수전략, 다양한 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groundwater on the flood runoff (홍수유출에서의 지하수 영향 분석)

  • Joo, Jaewon;Tian, Yong;Jeong, Sujong;Ahn, Sang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4-314
    • /
    • 2021
  • 홍수(floods)는 인간의 생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 중 하나로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하여 홍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홍수 발생 시 정확한 홍수량 산정을 위하여 유역 내 지표수 및 지하수 흐름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물 순환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표수-지하수 연계 모형을 활용하여 홍수 발생 시 미호천 유역에서 지하수가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Hydrological-Ecological Integrated watershed-scale Flow (HEIFLOW)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시간단위 홍수 사상 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구축을 위하여 2013년과 2014년도의 미호천내의 7개 기상 및 강우관측소, 1개의 수위 관측소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표수 모형을 구축하며, 같은 기간의 지하수 모형 구축을 위해 7개의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지하수 수위 자료와 유역의 수문지질도(Hydrogeological map)의 정보를 활용한다. 미호천 유역 내 HEIFLOW 모형의 홍수 모의 결과 산정된 하천 유량은 관측 유량과 0.79 R2의 우수한 모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하 수위 모의 역시 지하수 수위 변동을 적절하게 모의한다. 또한, 미호천 유역의 하류 지역은 하천으로 유출되는 지하수가 하천의 기저 유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홍수 시에는 지하수 유출의 증가로 인한 급격한 첨두 홍수량의 상승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수 모의 시 지표면 유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는 홍수 국내의 홍수량 산정 방법에 지하수의 거동 및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국내 홍수량 산정의 새로운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of Beach Areas in Summer - Woljeong-ri Beach, Gujwa-eup, Jeju-si,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여름철 해변지역의 인간 열환경지수 및 열쾌적성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변 -)

  • Park, Sookuk;Sin, Jihwan;Jo, Sangman;Hyun, Cheolji;Ka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4
    • /
    • pp.100-108
    • /
    • 2016
  • The climatic index for tourism(CIT) has recently been advanced, which includes complete human energy balance models such as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PET) and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UTCI). This study investigated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at Woljung-ri Beach, Jeju, Republic of Korea, in spring and summer 2015 for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in beach areas. Microclimatic data measurements and human thermal sensation/comfort surveys from ISO 10551 were conducted together. There were 869 adults that participated. As a result, perceptual and thermal preference that consider only physiological aspects ha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2$) with PET in linear regression analyses: 92.8% and 87.6%, respectively. However, affective evaluation, personal acceptability and personal tolerance, which consider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had low $r^2s$: 60.0%, 21.1% and 46.4%, respectively.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PET were all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The neutral PET range in perceptual for human thermal sensation was $25{\sim}27^{\circ}C$, but a PET range less or equal to 20% dissatisfaction, which was recommended by ASHRAE Standard 55, could not be achieved in perceptual. Only PET ranges in affective evaluation and personal tolerance affected by both aspects were qualified for the recommendation as $21{\sim}32^{\circ}C$ and $17{\sim}37^{\circ}C$, respectively. Therefore, the PET range of $21{\sim}32^{\circ}C$ is recommended to be used for the human thermal comfort zone of beach areas i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as well as tourism and recreational planning. PET heat stress level ranges on the beach were $2{\sim}5^{\circ}C$ higher than those in inland urban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Also, they were similar to high results of tropical areas such as Taiwan and Nigeria, and higher than those of western and middle Europe and Tel Aviv, Israel.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Modification Effects of Street Trees Depending on Planting Types and Street Directions in Summertime Using ENVI-Met Simulation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 Lim, Hyeonwoo;Jo, Sangman;Park, Sook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2
    • /
    • pp.1-22
    • /
    • 2022
  • The modification effects of street trees on outdoor thermal comfort in summertime according to tree planting types and road direction were analyzed using a computer simulation program, ENVI-met. With trees, th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decreased, and the relative humidity increased. In the case of mean radiant temperature (Tmrt) and human thermal sensation,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PET) and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UTCI), there was a decrease during the daytime. The greatest change amo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by trees happened in Tmrt, and PET and UTCI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Tmrt·The most effective tree planting type on thermal comfort modification was low tree height, wide tree crown, high leaf area index, and narrow planting interval (LWDN). Tmrt, PET and UTCI showed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shadow patterns of buildings and trees according to solar altitude and azimuth angles, and building locations. When the building shade areas increased, the thermal modification effect by trees decreased. In particular, results on the east and west sidewalks showed a large deviation over time. When applying the LWDN, the northwest, west and southwest sidewalk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8.6-12.3℃ PET and 4.2-4.5℃ UTCI at 10:00, and the northeast, east and southeast sidewalks showed 8.1-11.8℃ PET and 4.4-5.0℃ UTCI at 16: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st effective type (high tree height, narrow tree crown, low leaf area index, and wide planting interval) was applied, the maximum reduction was up to 1.8℃ PET and 0.9℃ UTCI on the eastern sidewalks, and up to 3.0℃ PET and 0.9℃ UTCI on the western on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modification effects on Tmrt, PET and UTCI between the tree planting types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tree effects were reduced by the effects of building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make the most appropriate street tree planting model for thermal comfort improvement in urban areas in summer.

Quantitative Analysis of Microplastics in Coastal Seawater of Taean Peninsula using Fluorescence Measurement Technique (형광측정기법을 이용한 태안반도 연안 표층수의 미세플라스틱 정량분포 스크리닝)

  • Un-Ki Hwang;Hoon Choi;Ju-Wook Lee;Yun-Ho Park;Wonsoo Kang;Moonjin Lee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8 no.1
    • /
    • pp.68-77
    • /
    • 202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in the surface seawater at 8 points near the Taean Peninsula using fluorescence staining. The study revealed a detection range of microplastics from 0 to 360.5 particles/l, with an average of 149.7 ± 46.0 particles/l. When classifying the microplastics by size, it was found that particles smaller than 50 ㎛ were dominant,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t Site 3. Moreover, it was not possible to identify clear correlations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microplastics based on collection area and particle size.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including plastic material, dynamic ocean conditions (such as currents, wind, waves, tides), geological characteristics (topography, slope), sediment materials including coastal organisms, human activities (fishing, development, tourism), and weather conditions (floods, rainfall), affect the behavior of microplastics. Therefore,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standardizing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nd conducting fundamental research on microplastic monitoring, including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