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화학적 성질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5초

사질답(砂質畓) 토양(土壤)에서 수도생육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토양개량제의 효과 (Application of Some Soil Amendment Materials to Sandy Soil and the Growth of Rice Plant)

  • 김창배;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3
    • /
    • 1981
  •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字的) 성질(性質)을 개량(改良)하기 위(爲)하여 생고(生藁), 인곡,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산적토(山赤土) 및 Zeolite 등(等)의 토양(土壞) 개량제(改良劑)를 시용(施用)한 후(後) 수도생육 및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개량제(土壞改良劑) 시용(施用)으로 경수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 증가하였고 Zeolite시용구(施用區)는 초기생육(初期生育)보다 후기생육(後期生育)이 양호(良好)하였다. 2. 수도증수 효과(效果)는 규산질비료(珪醒質肥料) 인곡 Zeolite시용구(施用區)가 각각(各各) 1%수준(水準), 산적토시용구(山赤土施用區)가 5%수준(水準)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증수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생고시용구(生藁施用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사질답토양(砂質畓土壤)에서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에 의(依)한 증수요인은 등열비율(登熱比率) 수당입수 및 조고비율등(租藁比率等)이 증가한 때문이었다. 3. 수도분체내 양분함량(養分含量)은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施用)으로 출수기(出穗期)까지 규산함량(珪醒含量)이 지속적(持續的)으로 증가하고 최고(最高) 분얼기(分蘖期)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하였으며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았다. 이들이 증수의 원인(原因)으로 나타났으나 한편 생고시용구(生藁施用區)는 출수기(出穗期)에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규리함량(珪里含量)은 높았으나 규산함량(珪醒含量)이 낮았다. 4. 토양개량제(土壞改良劑)를 시용(施用)함으로서 pH와 CEC가 높아지고 규산(珪醒) 및 유기물(有機物)의 함량(含量)이 증가하였다.

  • PDF

활성탄 첨가에 따른 담배용 필터지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harcoal Added Paper for Cigarette Filter)

  • 이문용;전양;김영호;이정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77-77
    • /
    • 1999
  • 담배용 필터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는 아세테이트, 종이, 폴리프로펼렌, 부직포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 며 담배연기의 흡착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활성탄 제오라이트와 같은 흡착제를 담배필터에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펼터에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활성탄을 종이 제조과정에 첨가하여 나타나는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였고 제조된 종이를 담배필터에 적용하기 위하여 현행 습식 크림핑(crimping)방법과는 달리 건식 크림핑(crimping)방법을 이용한 적합한 조건을 검토하 였으며 이에 따른 담배필터에서의 연기흡착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트의 물리적 특성과 담배 연기성분 홉착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펄프의 불성과 uv 홉착능을 분 석한 결과 Sw-BKP가 Hw-BKP에 비하여 강도적 성질이 우수하였고 또한 메틸렌불루(methylene b blue) 흡착능도 높은 경 향을 나타내 었다. 2. 활성탄 함량의 증가에 따라 섬유간의 결합력이 약화됨에 따라서 시트의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가 감 소하는 경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평량이 펼프 배합비보다 높은 인자로 작용하였다. 또한 인자 간의 교호작용에서는 평량과 활성탄 함량에 따라서 크게 나타났으며 평량, Sw-BKP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3. Stiffness는 활성탄 함량 펄프 배합비 평량의 순에따라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고 활성탄 함량 이 많을수록 stiffness는 감소하였으며 평 량 Sw-BKP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인자간의 교 호작용은 평량과 활성탄 함량이 다른 요인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인열강도는 활성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시트의 평량이 펄프 배합비보다 높은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평 량 Sw-BKP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인자간의 교호작용에서는 펄프 배합비와 활성탄 함량에 따라 크게 나타났다. 5. 종이 필터지에서 시트의 평량이 bulk에 가장 큰 인자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같은 두께에서 평량올 변화시킨 요인으로 판단되며 시트의 평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활성탄 함량, Sw-BKP의 배합비 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인자간의 교호작용은 평 량과 활성 탄 함량에 따라 크게 작용하였다. 6 6. Crimp index는 관능검사 결과로서 활성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평량 및 S Sw-BKP의 배합비가 높을수록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자간의 교호작용에서는 평량과 펄프 배합비에 따라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활성탄을 첨가하여 제조한 종이필터의 담배 연기성분 흡착능은 acetate tow에 charcoal을 첨가한 필터에 비하여 tar흡착능이 6% 이상 향상되었고, 특히 증기상 물질(vapour phase)중 aldehyde류에 대한 제거율(removal efficiency)이 높게 나타났다. 8. 건식 크림핑 방법에 의한 담배필터 제조시 펼프의 홉착능, 시트의 강도적 특성, 크림핑 조건 및 담 배 연기성분 흡착능 등을 고려하여 적정조건을 선정하였으며, 펄프 배합비(Sw-BKP따w-BKP)는 6 65/35, 시트의 평량은 40g/$m^2$ 활성탄 함량은 10% 이었다.

  • PDF

관능검사법(官能檢査法)에 의한 식품(食品)의 품질평가(品質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4 보(報) : 시판(市販) 아이스크림의 관능적(官能的) 품질(品質)에 대한 평가시험(評價試驗)- (Studies on the Evaluation for the Quality of Food by Sensory Testing -IV. Evaluation for the Sensory Quality of Commercial Ice Creams-)

  • 채수규;이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09
    • /
    • 1982
  • 시판(市販) Carton 및 Cone 형 아이스크림에 대한 화학성분(化學成分) 분석(分析) 및 지방성분(脂肪成分)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고, 또한 선발(選拔) 및 훈련(訓練)된 파넬에 의해 관능적(官能的) 품질(品質) 평가시험(評價試驗)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가. 시판(市販)아이스크림 중의 지방(脂肪), 총고형분(總固形分), 총단백질(總蛋白質), 무지유고형분(無脂乳固形分), 유당(乳糖) 및 조회분(粗灰分)함량은 제조회사별(製造會社別)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 그들의 평균함량은 각각 Carton형이 8.53%, 34,18%, 3.43%, 11.02%, 6.17% 및 0.84%이었고 Cone형이 6.54%, 34.02%, 3.29%, 10.40%, 5.84% 및 0.77%이었다. 나. 추출(抽出)된 아이스크림 지방(脂肪)의 산가(酸價), 감화가, 요오드가(價) 및 Reichert-Meissl가(價)는 제조회사별(製造會社別)로 다소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들의 평균값은 각각 Carton형이 0.58, 221.88, 19.63 및 29.04이었고 Cone형이 0.65, 219.45, 18.64 및 28.82이었다. 다. 시판(市販) 4개회사(個會社) 제품(製品)의 아이스크림을 시료(試料)로 하여 3점시험법(點試驗法), 순위시헙법(順位試驗法) 및 채점시험법(採點試驗法)에 의한 관능적품질(官能的品質) 평가시험(評價試驗)을 실시한 결과(結果) 거의 5% 수준(水準)이상에서 제조회사별(製造會社別)로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으여, Carton 및 Cone험 모두가 C 및 D 회사(會社) 제품(製品)의 아이스크림이 A 및 B회사제품(會社製品)의 것보다 우수하게 평가(評價)되었다.

  • PDF

한우유(韓牛乳)의 단백질(蛋白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DEAE-Cellulose에 의(依)한 한우유단백질(韓牛乳蛋白質)의 분별(分別) (Studies on Milk Protein of Korean Cattle I. Fractionation of Milk Protein on DEAE-Cellulose)

  • 김영교;장계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5-78
    • /
    • 1974
  •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현재(現在)까지 학문적(學問的)으로 충분(充分)히 밝혀지고 있지 않은, 한우유(韓牛乳)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한우유(韓牛乳)의 주성분(主成分)을 분석(分析)하고, 또한 DEAE-cellulose를 사용(使用)하여 산(酸) casein, 유청단백질(乳淸蛋白質)을 분별(分別)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한우유(韓牛乳)의 비중(比重)은 1.036, 산도(酸度) 0.21, pH는 6.4였고 알콜시험(試驗)에서는 정상(正常)이었다. 2. 한우유(韓牛乳)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88.39%였고, 무지고형분(無脂固形分) 9.53%였고, 지방(脂肪)은 2.08%, 단백질(蛋白質)은 3.99%, 유당(乳糖)은 4.76%였고 Sialic acid는 0.25%였다. 3. 총단백질중(總蛋白質中) casein이 3.07% 유청단백질(乳淸蛋白質)이 1.13%, lactoglobulin 0.34%, lactalbumin은 0.66%였다. 4. 6M 요소(尿素)를 함유(含有)한 0.005M TCU-buffer를 사용(使用)하여 DEAE-cellulose column에 의(依)해서 한우유(韓牛乳)의 산(酸) casein을 분별(分別)한 결과(結果) 4개(個)의 fraction을 얻었다. 5. 0.04M phosphate-buffer를 사용(使用)하여 DEAE-cellulose column에서 유청단백질(乳淸蛋白質)을 분별(分別)한 결과(結果) 4개(個)의 fraction을 얻어 각(各) fraction의 면적(面積)을 냈다.

  • PDF

한국 전통 쌀가공 식품에 관한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Rice-Processed Foods)

  • 강미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5-97
    • /
    • 1993
  • 문헌을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쌀가공 식품의 분류 및 역사적 배경에 관해서 고찰하였으며, 1970년부터 1992년 9월까지 각종 학술지에 개제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쌀가공 식품 중 병 과류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에 관해서 고찰하였다. 문헌에 기술된 쌀가공 식품은 죽류ㆍ밥류ㆍ떡류ㆍ주류ㆍ과자류ㆍ음청류ㆍ조미료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죽류 및 밥류는 첨가재료와 품질 특성에 따라 7-8종류이었다. 떡류는 제조방법의 특성에 따라 증기로 찐것(증병유), 찐것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쳐서 만든 것(도병유), 모양을 만든 후 찌거나 삶은 것(단자병류), 기름에 지진 것 (유전병유), 발효 후 찐 것(이병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모두 81종류이었다. 주류는 출원 문헌에 의한 시대적인 구분으로써 정리하였으며 약90여종에 달하였다. 과자류는 5종류, 음청류는 9종류이었고, 조미료류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명칭이 언급된 문헌이 없었다. 쌀로 제조되는 전통 병과류 중에서 우리 전통 떡에 관한 최근 연구 논문은 27편에 불과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연구되어진 것은 백설기와 증편이었다. 보고 되어진 논문의 대부분이 제조방법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들이었다. 전통 떡류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위해서는, 제조과정 중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 및 품질특성과 저장수명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한편 쌀로 만든 한과 중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진 품목으로는 유과(강정)뿐이며 연구 논문은 14편이었다.

  • PDF

제주 감귤원에서 Arbuscular-Mycorrhizae 형성과 감귤 잎 중의 무기양분 조성 (Arbuscular-Mycorrhizae Formation and Nutrient Status of Citrus Plants in Cheju)

  • 정종배;문두길;한해룡;임한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1-186
    • /
    • 1997
  • 인의 고정이 심한 제주도 토양에서 인 시용량을 줄이고 불용태 인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써 mycorrhizae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주도 감귤원에서 그 분포 실태를 조사하고 mycorrhizae형성율과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및 감귤 잎의 무기양분 함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주도 내 토성과 위치를 달리한 14개소의 감귤원에서 감귤 뿌리를 포함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 건조 토양 100g당 $9,000{\sim}40,000$개의 mycorrhizae포자가 관찰되었으며 조사된 전 감귤원에서 mycorrhiza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귤 뿌리중의 mycorrhizae형성율은 $14{\sim}60%$로 감귤원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토양 중 유효태 인의 함량이 낮을수록 mycorrhizae 형성율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Mycorrhizae 형성율이 높을수록 감귤 잎 중의 인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mycorrhizae에 의한 인 흡수 증대 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mycorrhizae의 이용은 제주 감귤원 토양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과량의 인 시비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백미의 저장온도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 김성곤;조은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46-153
    • /
    • 1993
  • 백미를 $4{\sim}30^{\circ}C$에서 3개월 저장하는 동안 수분흡수 속도 상수값과 부피증가 속도 상수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현저하였고, 동일 온도에서는 부피증가 속도 상수값의 감소 정도가 컸다. 수분흡수의 활성화 에너지는 저장온도 $25^{\circ}C$를 전후하여 달랐고, 저장온도 $4{\sim}25^{\circ}C$에서는 저장 1.5개월까지, 저장온도 $25{\sim}30^{\circ}C$에서는 저장 2개월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에는 증가폭이 원만하였다. 쌀알의 경도는 저장 중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증가하였다. 취반 속도 상수값은 저장시간의 경과에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4^{\circ}C$에서 보다 $20^{\circ}C$ 저장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20^{\circ}C$ 이상에서는 감소율이 크지 않았다. 취반의 활성화 에너지값도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1.5개월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4^{\circ}C$에 저장한 쌀은 색도의 변화가 없었으나 $20^{\circ}C$ 이상에서는 b(황색도)값이 증가하였다. 쌀가루의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최고점도는 저장시간과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시차주사열량계로 측정한 호화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 PDF

Acyl화에 의한 어류 단백질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Change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Acylated Fish Protein)

  • 방찬식;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52-61
    • /
    • 1990
  • 단백질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acetic anhydride(AA), succinic anhydride (SA) 및 maleic anhydride(MA)로 단백질을 acyl화 시켜 소수성과 기능성 변화를 측정하여 기능 특성과 소수성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인 amino기와 sulfhydryl기의 acyl화에는 AA에 의한 수식율이 가장 높아 amino기의 89.5 % sulfhydryl기의 72.2 %가 수식되었으며 amino기가 sulfhydryl기 보다 쉽게 acyl화 되었다. Succinyl화 및 maleyl화에 의해 어류 단백질의 소수성은 감소 하였으나 acetyl화는 단백질의 소수성이 근육 단백질보다 높다. AA, SA 및 MA로 acyl화 되면 단백질의 용해도, 유화특성, 포말특성, 수분 흡수력 및 지방 흡수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근육 단백질이 농축 단백질보다 기능적 특성이 좋았다. 단백질의 소수성 감소와 용해도 증가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유화특성 및 포말특성은 단백질의 용해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단백질의 소수성도 중요하였다. 단백질의 수분 흡수력은 용해도와 상관이 크나 소수성과는 큰 관계가 없었으며 지방 흡수력은 단백질의 용해도 보다는 소수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PDF

홍삼농축액 함유 유화액의 유화특성에 관한연구 (Emulsifying Properties of Concentrated Red Ginseng Extract: Influence of Concentration, pH, NaCl)

  • 류관모;장현호;이의석;이기택;홍순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4-5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삼농축액의 유화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홍삼농축액의 표면활성능을 조사하였으며, 이어서 홍삼농축액 유화액을 제조하고 이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홍삼농축액의 물/기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은 홍삼농축액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홍삼농축액을 이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한 결과, 첨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화 지방구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홍삼농축액 농도가 3.5 wt% 이상일 경우 일정한 지방구 크기($d_{43}$$0.39{\mu}m$)의 안정한 유화액을 형성하였고, separation analyzer($LUMiFuge^{(R)}$)를 이용한 유화안정도 평가 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정도 변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홍삼농축액 유화액 중 지방구 크기는 pH 및 NaCl 농도변화에 의존하였는데, pH가 감소함에 따라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고 음의 제타전위 값[-67.0 mV (pH 9.0) ${\rightarrow$ + 2.1 mV (pH 2.0)]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aCl 농도(0.1 M ${\rightarrow$ 0.5 M)가 높을수록 지방구 크기는 증가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홍삼농축액의 유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illus sp. SP-KSW3을 이용하여 제조한 간장의 발효 기간에 따른 효소 활성 및 기능성의 변화 (Changes of En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Kanjang(Soy Sauce) during Fermentation in the Using Bacillus sp. SP-KSW3)

  • 김병수;이창호;홍영아;권태형;신미경;김진희;우철주;김영배;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3-299
    • /
    • 2008
  • 청국장 제조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SP-KSW3을 메주 제조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담근 후 일정기간 숙성시킨 다음 간장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미노산도는 실험구보다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다. Amylase활성은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protease의 활성은 실험구가 약2배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숙성 기간이 동일한 경우 대조구 보다 실험구가 약 7% 이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2년간 숙성시킨 경우에 실험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100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MNNG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35.17%와 28.37%를 나타내었다. 또한,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98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NPD와 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각각 25.48%와 21.64%를 나타내었다. 수소 공여능은 2년간 숙성시킨 실험구가 8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장의 isoflavon 중 daidzin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genistin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Aglycone의 일종인 daidzein은 실험구가 각각 3.95 mg/g와 4.62 mg/kg, genistein은 각각 1.25 mg/kg와 3.55 mg/kg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