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혼부모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초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 versus Single-Father Households of Children 12 or Younger: Focusing on Divorced Parents)

  • 이연주;김승권
    • 한국인구학
    • /
    • 제34권2호
    • /
    • pp.17-43
    • /
    • 2011
  • 1990년대 중반부터 이혼율이 급증하여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의 문제는 통상적으로 모자가정의 문제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최저소득층의 경우 모자가구의 형성자체가 어려워 편부가 자녀양육을 맡게 되고 따라서 편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편모에 비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005년 센서스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12세 이하 아동표본을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 부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친가구 모와 부, 별거가구 모와 부, 무배우 모와 부 중에서 무배우 부의 교육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특히 중학교 이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무배우 모에 비해서 무배우 부의 취업률은 높지만 취업자만 볼 때 직업적 지위는 더 낮았다. 무배우 부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도 무배우 모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보다 교육수준이 낮았다. 다음, 분석에서 암시된 저소득여성의 자녀별거성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세 이하 자녀를 가진 이혼모 표본을 이용하여 자녀와 비동거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적을수록 자녀 비동거의 확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여성의 교육수준이 자녀 비동거와 뚜렷한 부의 관계를 보였고, 부모와의 동거가 자녀 비동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구의 분포를 보면 무배우 모의 수가 무배우 부보다 더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양부모가구보다 현저히 낮다는 사실과 더불어 무배우 부 가정의 취약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혼가정 아동의 우울과 불안 판별 연구: 자기효능감, 또래애착,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Predicting internalizing problems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The role of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parent-child communication)

  • 이순형;김지현;이옥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99-11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riminate important variables among general self-efficacy, peer attachmen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hat could predict internalizing problems(anxiety, depression)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The participants were 101 children aged from 10 to 13.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a) the discriminant function derived from 3 variables was effective in classifying high, moderate, and low group of children's anxiety and depression, (b) parent-child communication plays a key role in predicting anxiety and general self-efficacy plays a key role in predicting depression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c) but peer attach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only to predict depression. This means that anxiety and depression of Korean children of divorce result from different kind of interactions among children's important contexts.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30-40대 기혼여성의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Study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ith Experience in Parental Divorce)

  • 전보영;조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51-75
    • /
    • 2016
  •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experience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to 40s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owards the women, this study takes a life history research appr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8 women who have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are now married with children.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spiral of analysis, following the process of Wolcott's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experienced emotions such as fear, anger, and lack of affection.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divor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articipants'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elf concept and in turn,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and withdrawal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me had difficulties in concentrating on their schoolwork, which was caused by psychological effects from their instable home environments and some were negligent at school due to their parents' indifference or as an act of rebellion towards them. Third, although participants displayed interest towards the opposite sex, fear towards the opposite sex or unrealistic expectations led to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Participants also confessed that although they married so that they could escape their original family and form a new happy one, they experienced a rocky start at the beginning of their marriage. Fourth, parental divorce had a lifelong impact on children. Even after the children became adults, parental divorce affected each key stage of transition in life such as dating, choosing one's spouse, marriage, and child rearing. Fifth, participants displayed a strong attachment to life under the assumption that only they themselves can be depended on. This led to their strong commitments to a successful marriage without the possibility of divorce. In conclusion, parental divorce is not a transitory or incidental event. Rather, it becomes a part of the children's lives with lifelong implications.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 진태원;김사준;이흥표;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163-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군, 행동장애군,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SM-III-R 기준에 따라 선별된 행동장애군 47명과 소년원군 173명 및 남녀 중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설문과 주제정의검사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은 한국판 가정환경척도(신윤오와 조수철 1994)를 사용하였고 도덕발달단계는 Rest의 주제정의검사(문용린 1986)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환경과 도덕발달의 행동장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cheffe test에 의한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1) 소년원군의 교육수준은 중학교 2, 3학년이 많았던 데 비하여 행동장애군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이 가장 많았다. 세 집단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이라고 지각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신체적 학대에 대한 지각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년원군에서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가 가장 많았으며 행동장애군에서도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특히 소년원군의 경우에는 영유아기와 초등학교의 어린 시기에 부모의 이혼과 별거를 경험하였다. 2) 가정환경요인의 비교결과 표현성, 독립성, 지적-문화적 추구, 도덕적-종교적 강조, 조직화 및 조절성 등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족내 응집력은 정상군이 소년원군보다 높았으며 가족갈등은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또한 성취 지향성이 소년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능동적 여가활용성에서는 정상군이 월등하게 낮았다. 3) 도덕적 발달단계를 비교한 결과,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하위 도덕발달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년원군의 반체제 지향성이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이 체벌이나 사회경제적 변인보다 부모의 이혼과 별거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붕괴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혼과 별거의 조기발생이 높을수록 비행에 일찍 노출될 가능성이 많았다. 또한 가족구성원간의 정서적 응집력과 가족구성원들의 충동 및 감정통제능력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행동장애군과 소년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학업부담과 성취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유희와 즉각적 욕구만족을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고, 대개 도덕발달 수준이 낮았으며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성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 PDF

이혼하려는 부부의 ‘이혼 전 부모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Percep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during Divorce Procedure)

  • 김재연;이재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53
    • /
    • 2007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education administered during divorce procedure on the perception of parent-education programs. The subjects were 60 couples who were in divorce procedure at the Seoul Family Court and had children under 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20 couples each: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2 that were homogeneous in demographical and legal backgrounds. Experimental group 1 was shown pamphlets and videos on the role of divorced parents, and experimental group 2 was shown pamphlets and videos on the role of divorced parents as well as given explana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pamphlets and videos. No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perception of the necessity for parent-education programs. Demand for the number of sessions and hours, and the effect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2 than in experimental group 1.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parent-education programs, experimental group 2 was positive particularly to mandatory injunction, the payment of education fees and expectation of helpfulness. All three groups expected that parent-education programs would be helpful.

  • PDF

이혼 부모와 자녀의 건강한 사회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ll Integrated Group Therapy Model for Divorced Families' Better Adjustment)

  • 정문자;김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1-183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group therapy program for divorc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for increased self-esteem, problem-solving technique, communication 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This comprehensive program was based on Solution-Focused and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Models, as well as on therapeutic activities from various sources. Six mothers and 18 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hich consisted of six, two-hour sessions.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communicative ability in addition to emotional support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nd among participants. Therapeutic activities were implemented in harmony with the Solution and Experiential based values and techniques, which seemed to heighten the fun and motivation for the participants to change their view points and behaviors in a positive way.

부모의 이혼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 주 양육자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The Path Analysis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rough Child-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 황혜정;천희영;옥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7호
    • /
    • pp.99-11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h of parental divorce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rough child-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The participants were 162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and 194 from intact families. The Instruments used were CBQ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 (Rutter, 1967), Child-rearing rating scale (Park, 1995) and SEI (Self Esteem Inventory) (Coopersmith, 1967).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self-esteem, and caregivers' child-rearing behaviors between children from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Second, parental divorce affected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child-rear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의 자기실현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심상유도 음악치료(GIM) 적용-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Self-actualization of Middle-aged Single Mothers - Application of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

  • 임재영;신동열;이주영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2호
    • /
    • pp.55-62
    • /
    • 2021
  • 한 부모 가족은 2000년 이후로 증가하였는데 50대의 이혼율의 급증과 40대와 50대 남성의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은 생의 발달 과정이라는 시기와 맞물려 자기실현의 의식화 과정이 드러나는 시기에 속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 부모 중년여성가장의 GIM을 통한 자기실현의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8년 9월부터 2020년 6월까지 4명의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10~11회기의 GIM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한 부모 중년 여성가장이 GIM을 통해 경험한 심상을 신체, 감정, 기억사고, 감각의 4개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하고, 8개의 의미단위 요소를 46개로 범주화하였으며, 152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둘째, GIM을 통해 경험된 자기실현 과정은 참여자들에게 그림자와 페르소나, 자기라는 원형상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GIM 안에서 현재 가족관계의 부정적인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고 수동적인 자신의 심상 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경험을 통하여 그림자의 의식화 과정을 거쳤으며, 긍정적이고 밝았던 자신의 내적인 모습을 재확인하였다. 이들은 부모나 형제들에게 억압되고 소외된 자신의 삶이 착한 딸과 종교인이라는 페르소나에 억눌린 상태와, 분노하는 자신과 타인을 향한 이중적인 사고와 감정을 지니게 된 현재 상태를 연관 지어 경험하며 페르소나의 자각과 재정립을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심상의 경험과 음악을 접하며 부정적 사건의 재경험을 이끌어 냄으로써 고유한 자기로 새롭게 탄생하는 본질적인 자기다움의 자기실현과정을 이루는데 의의가 있다

음주문제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보건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Alcohol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Alcohol Problems)

  • Lee, Young-Sook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문제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음주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문화적 행위로서의 음주행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음주로 인한 위해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음주행동은 한 사람이 속한 사회의 문화와 관습이 허용하는 범위에 따라 그 사회가 공유하는 음주에 대한 태도나 가치의 영향을 받아 학습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음주는 사망률, 이환율, 유산율, 범죄율 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생명손실은 엄청난 것이다. 매스미디어를 통한 음주교육은 다른법적 제재와 병행될 때 효과적이다. 음주연령이나 세금부과 등을 통해 음주행위를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주교육의 주기능은 법령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perceived fear)를 높이는 것이다. 음주행위에 관용적인 사회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법령이나 처벌보다 더 효과적이다. 과도한 음주행위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같은 비공식적인 사회적인 제재가 음주문제의 예방에 더욱 중요하다. 청소년의 음주행위는 부모와 동료집단과의 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모와 동료집단의 참여하에 객관적인 태도를 통해 자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음주교육에 대해 지식과 경험을 갖춘 교사가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음주문제에 대한 이해와 바람직한 태도를 습득하게 하고 동료집단의 압력을 거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편견이 없는 객관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하고 최종적 결정은 지식에 근거하여 청소년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음주는 가정불화, 좌절감, 실업, 이혼 둥의 부정적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깊은 인간관계를 통한 상담이 효과적이다. 단주친목과 같은 자발적인 민간단체는 알코올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모여 친목하는 가운데 도움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단체의 활용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병원에서의 음주교육은 노조의 참여하에 전문적인 의료인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전에 알코올중독에서 회복된 사람을 동료교육가(peer educator)로 활용하는 것도 효율적인 교육방법중의 하나이다. 의과대학의 교과과정에 음주교육에 대한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야 한다. 음주교육은 음주라는 행위의 저변에 깔린 문화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음주교육은 지역사회 전체의 참여를 통해 부모, 학생, 정부, 민간단체, 매스미디어의 공동참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