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 versus Single-Father Households of Children 12 or Younger: Focusing on Divorced Parents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12.26
  • Accepted : 2011.06.17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With a substantial rise in divorce rates since the mid 1990s, single-parent households are increasing rapidly in Korea. Often it is believed that children in single-mother households suffer the most economically and socially with the marital disruption of the parents.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in Korea the socioeconomic status of single-father households may be lower than that of single-mother households mainly because low-income divorced women are not able to form their own households with children. The analysis is based on two sub-samples from the 2% sample of the 2005 Census, one, with children 12 years old or younger and, the other, with divorced mothers of children of the same ages. Th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reviously-married single fathers show the lowest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6 groups of parents: fathers and mothers from two-parent families, fathers and mothers from married but spouse-absent families, and previously-married single fathers and mothers. Divorced mothers'likelihood of living apart from their children has a strong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with the highest likelihood among women of middle school or lower education and the lowest likelihood among women with college education. Although single mothers comprise a larger percentage of single-parent households, single-father households demonstrate a particular vulnerability with their weak socioeconomic status.

1990년대 중반부터 이혼율이 급증하여 한부모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한부모 가정의 문제는 통상적으로 모자가정의 문제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최저소득층의 경우 모자가구의 형성자체가 어려워 편부가 자녀양육을 맡게 되고 따라서 편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편모에 비해 더 낮을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005년 센서스 2%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12세 이하 아동표본을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 부모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양친가구 모와 부, 별거가구 모와 부, 무배우 모와 부 중에서 무배우 부의 교육수준이 가장 낮았는데, 특히 중학교 이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무배우 모에 비해서 무배우 부의 취업률은 높지만 취업자만 볼 때 직업적 지위는 더 낮았다. 무배우 부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도 무배우 모가 속한 가구의 가구주보다 교육수준이 낮았다. 다음, 분석에서 암시된 저소득여성의 자녀별거성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세 이하 자녀를 가진 이혼모 표본을 이용하여 자녀와 비동거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사회적 경제적 자원이 적을수록 자녀 비동거의 확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여성의 교육수준이 자녀 비동거와 뚜렷한 부의 관계를 보였고, 부모와의 동거가 자녀 비동거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구의 분포를 보면 무배우 모의 수가 무배우 부보다 더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양부모가구보다 현저히 낮다는 사실과 더불어 무배우 부 가정의 취약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2005)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3(9): 15-26
  2.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청, http://www.kosis.go.kr (2010년 10월 접속)
  3. 김미숙.박민경.이상헌.홍석표.조병은.원영희 (2002)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2002-10,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미숙.원영희.이현송.장혜경 (2005)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 구 연구보고서 2005-13,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승권.김태진.김유경.송수경 (2001)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연구 연구보고서 2001-12 서울: 보건사회연구원
  6. 김오남 (2005)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 가족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 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1): 129-144
  7. 김현정 (1999) "자녀양육비 결정요인 및 영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8. 김학주 (2006)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경제적 특성연구" 한국인구학 29(3):73-87
  9. 김혜란.박은미.오정수.정익중.허남순.홍순혜(2004) "가족형태에 따른 빈곤아동의 실태에 대한 연구" 동광 100: 3-44 발췌: 허남순 외 빈곤아동과 삶의 질
  10. 송다영 (2006)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권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년도 추계 공동학술대회 2006: 327-333
  11. 유희정.김정자.임선희.윤영숙.김영옥.이민진(1984) 편부모가족의 지원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여성개발원
  12. 이상헌 (1998) "편부가정의 실태와 지원방안" 보건사회연구 18(2): 106-135
  13. 이찬진 (1999) "분리.해체된 편부.편모자가정의 생활보호 필요성" 월간 복지 동향 14: 36-37
  14. 이태진.노은정(2002) "저소득 모자가정의 주거실태 및 주거복지요구" 보건사회 연구 22(2): 72-103
  15. 장혜경.민가영(2002)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40-13,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6. 정계숙(2008) "한부모 가족 아동의 사회-정서적 유능성 발달: 동거 부모와 주 양 육자 영향" 아동학회지 29(3): 207-222
  17. 정윤남 (2002) "부자가정 자녀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종미(2005) "저소득 모부자 가정의 빈곤실태와 지원정책연구: 서울시 서대문구 저소득 모부자 가정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19. 조윤주(2006) "이혼으로 인한 한부모 가정의 자녀양육문제에 관한 연구: 모자가 정의 경제적 빈곤의 법적 구제방안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명숙 (2005) "저소득 여성세대주의 자립지원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저소득 여성세대주 가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논문
  21. 최외선.김갑숙.최선남 (2001) "편부모 자녀의 의사소통과 특성불안에 관한 연구" 재활심리학 8(2): 191-207
  22. 최해경(1997) "사회적 지지망구조가 편부모가족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3: 377-395
  23. 한인영.이용우.유서구.박명숙.김주현 (2007) "아동 신체학대 발생의 영향 요인: 한부모 가구와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 187-216
  24. Amato, P.R. (2010) "Research on Divorce: Continuing Trends and New Developm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3): 650-66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723.x
  25. Amato, P.R. & J.M. Sobolewski (2001) "The Effects of Divorce and Marital Discord on Adult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 900-921. https://doi.org/10.2307/3088878
  26. Cherlin, A (2005) "Public & Private Families: A Reader" (4th edition), Boston: McGraw Hil
  27. Frisco, M. L., Muller, C., & Frank, K. (2007) "Parents' Union Dissolution and Adolescents' School Performance: Comparing Methodological Approach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 721-74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402.x
  28. McLanahan, Sara (2002) "Life without Father: What Happens to the Children?" Contexts 1(1): 35-44 https://doi.org/10.1525/ctx.2002.1.1.35
  29. Potter, D. (2010) "Psychosocial Well-B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vorce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4): 933-94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0.00740.x
  30. Powers, D. A. (2005)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the Risk of First Premarital Birth in the Presence of Correlated Unmeasured Family Effects" Social Science Research 34: 511-537.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4.04.007
  31. Strohschein, L. (2005) "Parental Divorce and Child Mental Health Trajector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1286-1300.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217.x
  32. Sun, Y., & Li, Y. (2002) "Children's Well-being during Parent's Marital Disruption Process: A Pooled Time-series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742-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