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축압출기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1초

Lauryl lactam-EPDM의 연속중합 및 In-Situ 블렌드 (Continuous Polymerization and In-Situ Blends of Lauryl lactam-EPDM)

  • 계형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4호
    • /
    • pp.255-266
    • /
    • 1998
  • 본 연구는 한대의 modular 치합형 동방향회전 이축 압출기에서 음이온 중합 mechanism을 이용하여 Lauryl lactam 단량체의 고분자합성 도중 EPDM을 투입하여 연속적 중합을 수행한 연구이다. PA 12의 반응 도중 EPDM과 반응블렌드(reactive blend)를 하고 기계적블렌드와 그 물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 PDF

PP 분말/CNF 1 wt% 슬러리 복합체의 CNF 분산 및 물성에 대한 개질 PP의 영향 (Effect of Modification PP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NF Dispersion of PP Powder/CNF 1 wt% Slurry Composite)

  • 김준석;김연철
    • 공업화학
    • /
    • 제33권3호
    • /
    • pp.284-288
    • /
    • 2022
  • 폴리프로필렌(PP) 분말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 1 wt% 슬러리 현탁액을 감압여과 및 오븐 건조한 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PP 분말/CNF 1 wt% 슬러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PP는 곁가지 및 극성기가 도입된 개질 PP를 사용하였다. 곁가지는 디비닐벤젠을 이용하여 도입하였고 극성기는 말레인산무수물(MAH)을 이용하여 개질하였다. CNF의 분산성 및 복합체의 물성을 검토한 결과 PP 분말/CNF 1 wt% 슬러리로부터 제조한 복합체의 경우 CNF 분말로부터 제조한 복합체와 비교 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에서는 동등 이상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비목 곤충용 펠렛사료 조제법 개발 (Development of Pellet-type Artificial Diet for Lepidopteran Insect by Using a Twin Screw Extruder)

  • 설광열;홍성진;김남정;김성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5-78
    • /
    • 2006
  • 곤충 사육용으로 개발되어 있는 인공사료는 습체형으로 사료의 조제 및 사육에 많은 노력이 들고 불편함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나비목 곤충용 인공사료의 펠렛화를 시도하였다. 펠렛사료의 제조에는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였는데 바렐 내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2축의 앞부분에 역스크류를 2개씩 장착하였고, 수차례의 조정 끝에 메인모터 속도 300rpm, 피드모터 속도 228rpm, 사료조제시의 첨가물량 $75m{\ell}/min$로 맞추었고 이때 사출공의 직경은 5mm의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사료의 메뉴는 기존의 것을 첨가량 및 첨가비율에서 다소 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료의 점착성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조성분으로 젤라틴을 첨가함으로 사료의 물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조제된 사료의 적정 수분흡수량을 검토한 결과 사료 무게의 $1.2{\sim}1.5$배의 물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이 사료를 파밤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에게 각각 공시하여 사육한 결과 전반적으로 기존의 습체형 인공사료에 비해 사육성적이 떨어지지 않아 추후 곤충용 차세대 인공사료로서 조제하여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펠렛사료 조제법을 특허출원 하였다.

모듈라 치합형 동방향회전 이축 스크류식 압출기를 이용한 폐 XLPE의 재활용 (Recycling of Waste XLPE Using a Modular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 방대석;오수석;이종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2호
    • /
    • pp.131-14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고전압용 전선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XLPE(crosslinked polyethylene)의 재활용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XLPE 스크랩 및 폐기물의 분쇄를 위해 약 $100{\mu}m$ 이하부터 약 $1000{\mu}m$까지 입자크기의 조절이 가능한 두 종류의 분쇄기를 사용하였다. 모듈라 치합형 동방향회전 이축 스크류식 압출기(modular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폐 XLPE의 조성, 폐 XLPE의 입자크기 및 종류, 스크류 조합, 매트릭스 수지의 종류(LDPE, HDPE, PP, PS)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배합물을 제조하고 그들의 기계적 및 유변학적 특성과 파단면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내외 전도층을 포함한 폐 XLPE 배합물의 충격강도는 내외 전도층을 제외한 배합물보다 충격강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XLPE의 함량이 증가하고 입자크기가 작아 질수록 배합물의 충격강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LDPF의 경우 XLPE를 약 80 wt%까지 충전하여도 정상조건의 압출공정이 가능하였다. 스크류조합에 따른 배합물의 충격강도는 니딩디스크 블록(kneading disc block)의 수가 많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XLPE의 양이 증가할수록 배합물의 용융점도가 증가하였으나, 압출 전단속도 범위에서 shear thinning 경향을 나타내었다. 폐 XLPE를 범용 고분자수지와 혼합할 경우, LDPE, HDPE, PP 및 PS 모든 배합물에서 충격강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PS/XLPE 배합물의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2 배정도 향상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펙틴/전분 블렌드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형태학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y of Pectin/Starch Blend Films)

  • 신부영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1008-1013
    • /
    • 1999
  • 펙틴/전분 블렌드의 열가소성과 펙틴/전분 비와 가소제 함량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블렌드는 이축 압출기로 제조하였으며 시험용 필름은 슬릿 다이가 부착된 일축 압출기로 제조하였다. 대부분의 블렌드는 열가소성 성질을 가지고 있었으나, 펙틴/전분비가 아주 높은 블렌드는 열가소성 성질이 매우 약하였다. 필름의 인장 물성은 가소제인 글리세롤의 함량에는 크게 변화였으나 펙틴/전분 비의 변화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적게 변화하였다. 습조성 블렌드의 DSC 곡선은 $125^{\circ}C$에서 유리전이온도와 유사한 전이온도를 포함하고 있었다. 파단면의 전자현미경사진은 펙틴과 전분의 계면에서는 접착 현상이 좋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고에너지 물질 시뮬란트의 분산도의 In-Line 모니터링 (In-Line Monitoring the Dispersion of Highly Energetic Material Simulant)

  • 이상묵;홍인권;안영준;이재욱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272-277
    • /
    • 2014
  • 고온용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장착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고에너지 물질 시뮬란트의 분산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연구를 하였다. 결합제 수지 및 충전제로 ethylene vinyl acetate(EVA)와 Dechlorane plus 25를 각각 사용하여 고에너지 물질 시뮬란트 현탁계를 구성하였다. 충전 부피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현탁계의 초음파 속도는 전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음파 감쇠는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는 바 고르게 분산된 현탁계를 대상으로 초음파 감쇠를 측정하면 충전함량을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60 v% 이상으로 충전된 고농축 현탁계에서는 반복 압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음파 감쇠의 편차가 감소하여 직선값에 접근하는 경향을 보이는 바 분산도의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on-line 및 in-line으로 측정된 초음파 감쇠와 off-line으로 SEM 및 Image Analyzer 그리고 열중량분석을 병행함으로써 분산도 및 충전 함량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PP/SAN과 PP/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P/SAN and the PP/ABS Blends)

  • 박정훈;성운모;현재천;김우년;홍병권;홍존희;임양수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53-60
    • /
    • 2002
  • Polypropylene(PP : 연속상)/poly(styrene-co-acrylonitrile)(SAN : 분산상), 그리고 PP/poly (acronitrile-butadiene-styrene)(ABS : 분산상)블렌드를 혼합 조성, shear rate, 그리고 상용화제(PP-SAN copolymer)의 첨가량을 변화시켜가면서 이축압출기를 통해 제조하였다. 압출공정시 PP/SAN 블렌드에서 SAN을 0에서 40 wt%로 첨가함에 따라 분산상의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굴곡강도와 인장강도는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스크류의 속도가 10에서 60 rpm으로 증가됨에 따라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굴곡강도와 인장강도는 상승하였다. 상용화제가 5 phr 첨가된 PP/SAN 블렌드에서 최대의 기계적 물성값과 최소의 분산상 크기를 나타내었다. 상용화제가 첨가됨에 따라, PP/ABS 블렌드의 굴곡강도와 인장강도가 증가되었고, 상용화제가 5 phr 첨가되었을 때 굴곡강도 및 인장강도가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편백나무 목분을 첨가한 합성목재 패널의 제조 및 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Wood Plastic Composite Panel Fabricated with Chamaecyparis obtusa Wood Flour)

  • 김수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6-132
    • /
    • 2022
  • 데크재, 산책로 등 옥외용도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und;WPC)를 실내 용도의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항균성,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TVOC), 난연성 등이 개선된 WPC 패널을 제조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편백나무 목분(Chamacyparis obtusa wood flour), 항균제 및 난연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 컴파운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 WPC 컴파운드 펠렛을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목재 패널(303mm×606mm×10mm)은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패널의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량(TVOC)은 0.062mg/m2·h 였으며, KS F 2271의 난연성 2등급 표준을 달성하였다.

반응압출 공정으로 개질된 PLA 나노복합체의 유변학적 및 열적 물성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 Nano-composite Modified by Reactive Extrusion)

  • 강경수;김봉식;신부영
    • 청정기술
    • /
    • 제15권2호
    • /
    • pp.102-1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틱산(PLA)의 용융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몬모릴로나이트(MMT), 기능성 단량체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와 반응개시제를 함유한 PLA를 이축압출기로 개질한 후 열적 특성과 및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X선 회절장치(XRD)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이용하여 MMT의 분산도를 측정하였다. 이 나노복합체의 $T_g$는 GMA 함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MT의 양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표면분석에 의해 MMT의 양이 증가할수록 박리형(exfoliation) 보다는 삽입형(intercalation)에 가까운 나노복합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점도 및 저장탄성률은 MMT의 첨가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다.

목분-고밀도폴리에틸렌 복합체의 연소성 및 열적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Thermal Properties for Wood Flour-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 신백우;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89-9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목분-HDPE 복합체를 모듈라 회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연소성 및 열적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 실험및 열중량 분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복합체의 난연성능 향상을 위하여 난연제(3종)를 첨가한 복합체의 화재성능을 평가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 난연제를 첨가하지 않은 복합체의 열방출률이 가장 높았으며 최대 열방출률 값은 $446.6kW/m^2$, 평균 열방출률 값은 $185.5kW/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중량 분석 결과 난연제 첨가한 복합체들의 열분해가 먼저 시작되고 열 안정성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