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효과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29초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이중 변화형태 모형의 적용 (Dual Trajectory Modeling Approach to Analyzing Latent Classes in Youth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rajectories)

  • 노언경;홍세희;이현정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3-14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의 다양한 변화형태를 추정하여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두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적합도(전공적합도, 교육수준적합도, 기술수준적합도)와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년패널 2001의 만 15∼29세 청년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종단자료를 이용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의 잠재계층을 동시에 도출하기 위해 준모수적 집단중심 접근 방법의 확장모형인 이중 변화형태 모형(dual trajectory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도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은 4개로 분류되었고, 변화형태에 따라 증가집단, 감소집단, 중간수준집단, 고수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직의사 변화에 따른 잠재 계층은 3개로 분류되었고, 변화형태에 따라 저수준집단, 유지집단, 급감소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이직의사에 시간의존적 변수인 전공적합도, 교육수준적합도, 기술수준 적합도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도가 낮거나 이직의사가 높은 집단에는 교육수준 적합도 또는 기술수준적합도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오랜 기간 직무만족도가 낮거나 이직의사를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는 청년 취업자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잠재계층 모형을 확장시켜 두 가지 변수의 잠재계층을 동시에 도출하고, 그 잠재계층을 결정짓는 데 미치는 시간의존적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증하는 종단연구 방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PDF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몰입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 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59-67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통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서울.경기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수행기관에서 재직 중인 활동지원사 290명을 대상으로 2019.5.1.-6.30.까지 설문조사하여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심할수록 직무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계갈등이 많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할수록 직장문화에 적응이 힘들수록 이직의도는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몰입을 향상시키며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줄'인가, '연결'인가?: 인적 네트워크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Nepotism or Network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s in the Labor Market)

  • 김영철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3호
    • /
    • pp.133-186
    • /
    • 2012
  • 본 논문은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노동시장에서의 인적 네트워크 활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임금근로자 개인의 구직 네트워크 가치를 추정하였다. 흔히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이직을 '연줄' 혹은 '정실인사'라고 하여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많으나, 본 연구는 인적 네트워크가 이직자와 구인자 사이의 정보전달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회 전반의 일자리 매치(job match)의 적합성을 증대시키는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론을 활용하여 검증한 결과, 자발적 이직자들의 이직을 네트워크형 이직과 비네트워크형 이직으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네트워크형 이직만이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의 적합도를 각기 (100점 만점에서) 2.13점과 2.52점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적합도의 개선은 월 4.074만원(2010년 기준)의 임금상승효과로도 재확인되었다. 덧붙여, 이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 개인의 구직 네트워크의 가치를 추정해 보면, 구직 네트워크의 생애 금전적 가치는 1,872.0만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여기에 주관적 만족도에 대한 보상측면까지 고려하면, 만족도 1점의 현금가치를 n만원으로 환산할 때, 대략 (1,872.0+758.2n)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 PDF

제조업에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사 제조업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Knowledge and Proficiency Level on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Manufacturing Employees in the S Company)

  • 조환철;엄재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17-230
    • /
    • 2018
  • 제조업의 기술고도화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과거의 숙련도 중심에서 전문기술과 지식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인력과 역량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해야 경쟁력 유지와 안정적인 조직 운용이 가능한 상황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역량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지만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자들의 시각은 숙련도에 국한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의 확장된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 환경의 변화가 빠른 S기업의 가전제품 조립 공장의 생산직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지식, 숙련도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변화된 제조업 생산 조직의 역할을 배경으로 그 구성원들의 직무지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제조 근무자들의 직무역량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번아웃의 경험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enced Job Burnout on Individual Performances)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00-608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 구성원이 경험하는 번아웃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직무 번아웃과 성과와의 관계에서 리더의 행위가 유효한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국내 모 대기업의 482 사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결과, 정서적 소진과 개인성취감 감소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몰개인화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의 결과, 지원적 리더십은 직무번아웃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한편 지원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휴먼서비스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별 다집단분석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of Chief Executives)

  • 신용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31-44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휴먼서비스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별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휴먼서비스조직 중 건강가정지원센터를 대상으로 서울, 경기도 56곳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종사자를 설문조사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여 최고리더자의 근무형태별 경로계수의 차이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감성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감성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감성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최고관리자의 근무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Public Social Welfare Officers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

  • 정규형;류주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37-344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노원 구정연구단에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복지 업무 담당 인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노원구 19개 동주민센터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갈등은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다. 소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hild Welfare Employees)

  • 강현아;노충래;박은미;신혜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107-127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 스트레스 요인(역할 갈등, 아동복지 업무고충 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혹은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의 양에 대한 인식이 소진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지 그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정위탁서비스와 아동보호서비스 담당자들로 총 190명을 포함하였다. 통계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보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대한 인식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 PDF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탐색 (Exploring Antecedent Factor that Influenc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연우;신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29-337
    • /
    • 2019
  • 치과의료에 대한 공급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구강보건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문성이 의료현장에서 실제로 인정받는다고 보기에는 힘든 상황이며, 이로 인해 치과위생사의 직무불만과 이직의도는 의료기관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여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선행요인을 보다 다각도로 탐색하게 위해 개인의 특성(낙관성)과 직무와 관련된 특성(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과 관련된 특성(조직지원인식)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 199명의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치과위생사의 낙관성과 직업전문성, 그리고 조직지원인식은 모두 직무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만족이라는 매개변수에 의해 보다 큰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과위생사의 높은 이직률과 직무불만으로 고통받는 치과 의료기관들에게 문제해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 : 워라벨(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among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ork-Life Balance)

  • 곽윤복;김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63-27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워라벨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추출하였고, 3개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워라벨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3.55, p<.001).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워라벨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더불어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워라벨을 향상시켜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