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xperienced Job Burnout on Individual Performances

번아웃의 경험이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5.14
  • Accepted : 2018.06.01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experienced job burnout on individual performances. The objective is to analys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ive leadership behavior in response to experienced job burnout among employees. For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482 employees working in a Korean conglomerate.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have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a posi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Supportive leadership i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ere is no moderation effect betwee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current research highlights the fact that supportive leadership can determine job satisfaction in respond to workers' experienced job burnout.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overcoming workers' job burnou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 구성원이 경험하는 번아웃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직무 번아웃과 성과와의 관계에서 리더의 행위가 유효한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국내 모 대기업의 482 사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의 분석결과, 정서적 소진과 개인성취감 감소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몰개인화는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 검증의 결과, 지원적 리더십은 직무번아웃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한편 지원적 리더십은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정언, 김강식,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 관리와 성과의 관계를 둘러싼 논의," 질서경제저널, 제12권, 제1호, pp.85-107, 2009.
  2. 송선미, "스트레스 관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함의," 국민건강증진포럼, 제4호, pp.4-17, 2017.
  3. C. L. Cor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4, pp.621-656,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9402210153
  4. L. Tourigny, V. V. Baba, and T. R. Lituchy, "Job Burnout among Airline Employees in Japan: A Study of the Buffering Effects of Absence and Supervisory Support," Cross Cultural Management, Vol.5, No.1, pp.67-85, 2005.
  5. 조주연, 오이복, "IT인력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09-228, 2011.
  6. 잡코리아, 직장인스트레스 현황과 원인,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 2015.
  7.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2, No.2, pp.99-113, 1981.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8. 하성욱, 장함자, "직무요구와 직무소진 그리고 리더십 유형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4호, pp.23-47, 2014.
  9. 박상언, 김주엽, 김민용, "소진(Burnout)에 대한 직무요구, 직무통제 그리고 사회적 지원의 효과," 인사관리연구, 제29집, 제2권, pp.25-57, 2005.
  10. D. C. Ganster and J. Schaubroeck, "Work Stress and Employee Health,"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2, pp.235-271, 1991.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202
  11. L. M. Russell,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High-Risk Occupations: Leader Influence on Employee Stress and Burnout among Police," Management Research Review, Vol.37, No.4, pp.367-384, 2014. https://doi.org/10.1108/MRR-10-2012-0227
  12. 강흥구,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26집, 제2호, pp.1-23, 2011.
  13. 한광현, "자기효능감 및 집단효능감이 호텔 근로자의 소진과정에 미치는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제14권, 제2호, pp.63-87, 2005.
  14. M. P. Leiter and C. Maslach,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nvironment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9, No.4, pp.297-308, 1988. https://doi.org/10.1002/job.4030090402
  15. 박경환, "직무요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직무소진을 매개로 하는 부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3집, 제4호, pp.35-63, 2009.
  16. J. L. Price and C. W. Mueller, "A Causal Model for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4, No.3, pp.543-565, 1981.
  17. J. Landau and T. H. Hammer, "Clerical Employees' Perceptions of Intraorganizational Career Opportuniti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No.2, pp.385-404, 1986. https://doi.org/10.2307/256194
  18. L. E. Atwat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Situational and Individual Variables in Predicting Leader Behavior: The Surprising Impact of Subordinate Trust," Group & Organization Studies, Vol.13, No.3, pp.290-310, 1988. https://doi.org/10.1177/105960118801300304
  1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